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66

        160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l foams have a cellular structure consisting of a solid metal containing a large volume fraction ofpores. In particular, open, penetrating pores are necessary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in high temperature filtersand as a support for catalysts. In this study, Fe foam with above 90% porosity and 2 millimeter pore size was suc-cessfully fabricated by a slurry coating process and the pore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e Fe and Fe2O3 powdermixing ratios were controlled to produce Fe foams with different pore size and porosity. First, the slurry was preparedby uniform mixing with powders, distilled water and polyvinyl alcohol(PVA). After slurry coating on the polyure-thane(PU) foam, the sample was dried at 80℃. The PVA and PU foams were then removed by heating at 700℃ for 3hours. The debinded samples were subsequently sintered at 1250℃ with a holding time of 3 hours under hydrogenatmosphere. The three dimensional geometries of the obtained Fe foams with an open cell structure were investigatedusing X-ray micro CT(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the pore morphology, size and phase. The coated amount ofslurry on the PU foam were increased with Fe2O3 mixing powder ratio but the shrinkage and porosity of Fe foams weredecreased with Fe2O3 mixing powder ratio.
        4,000원
        160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수수 수확 시 세절여부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및 laceration)과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세절(20 mm)한 것(T1구)과 세절하지 않은 옥수수 사일리지(T2구)를 이용하여 총 60분간 배합하면서 시료를 채취한 후 Penn State Particle Separator(PSPS)로 분석하였다. 모든 배합시간에서 T2구보다 T1구에서 상층(>19 mm)과 하층(<8 mm)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중층(8-19 mm)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굵은 비율(≥1 mm)의 감소율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eNDF>8.0 및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도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세절하지 않은 것보다 세절한 옥수수 사일리지가 적정 peNDF 범위가 유지되어 조사료로서 사료적 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160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폴리아마이드 박막 역삼투 복합막(PA TFC RO Membrane)은 우수한 분리투과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내염소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OH나 -COOH 기가 도입된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고, 그 표면에 폴리아마이드 박막을 형성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역삼투막의 구조 및 분리투과 특성은 여러 가지 기기분석 방법과 투과테스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폴리아마이드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민계 단량체로는 메타-페닐렌 디아민(MPD)과 2,6-디아민 톨루엔(2,6-DAT)을 사용하였고, 디엑시드계 단량체로는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TMC)를 사용하였다. 제조된 복합막의 투과도는 800 psi에서 약 1.0 m3/m2day 이상이었으며 이때 염배제율은 99.0% 이상이었다. 내염소성도 친수성기가 없는 폴리설폰 지지체를 사용한 복합막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9,200원
        1604.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에너지절약 및 자원절약 차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전제품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대하여 재사용, 재활용, 재제조 등에 대한 법적 규제 및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는 재제조에 대한 판심과 정부의 지원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활발하게 산업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다. 득히 자원순환법이 고시되면서부터 재제조에 대한 인식과 이에 판련된 부품의 재제조 기초연구를 버롯한 기반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디양한 부품에 대하여 재제조 기술 개발 및 품질인증이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부품의 승차감올 향상시키는 쇽업쇼버에 대하여 재제조와 관련된 재제조 공정을 비롯하여 재제조 검사기준 등에 대하여 연구하여 관련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하게 연구하였다.
        4,000원
        1605.
        2014.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al barrier coatings(TBCs) are being applied in many industrial fields such as thermal power generation, aviation and seasonal fields. ZrO2-Y2O3(8%) thermal spray coating powders are commercially used as thermal-barrier coating materials to protect against oxidation and corrosion of heat-resistant alloys at elevated temperatures. Currently, ZrO2-Y2O3(8%) thermal-spray powder is made using the industrial co-precipitation process, which is very complex and requires a lot of time. In this study, orthorhombic ZrO2 and Y2O3 powders were fabricated by mechanical mixing, which is more economical than the co-precipitation process. A tetragonal, yttria-stabilized zirconia(YSZ) coating-layer was produced by plasma spraying, using orthorhombic ZrO2-Y2O3(8%) powder. Our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ZrO2-Y2O3(8%) mixed powder can be used economically in industry becaus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make this powder by liquid and gas-phase methods.
        4,000원
        160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Mori cortex radicis powder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by testing different amount of Mori cortex radicis powder and sugar in cookies prepared with Mori cortex radicis powder. In regard to its antioxident effects, Mori cortex radicis powder had a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49.56 mg GAE/g and 137.77 μg/mL, respectivel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obtain ten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Mori cortex radicis powder and sugar) and Mori cortex radicis cookie formulation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produc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p<0.05), texture (p<0.05), sweetness (p<0.01) and overall quality (p<0.05), an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sweetness (p<0.001), redness (p<0.01) and spread ratio (p<0.5).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s obtain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found to be 16.84 g of Mori cortex radicis powder and 64.42 g of sugar.
        4,000원
        160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yield and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s for the preparation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jochung, a traditional food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the viscosity, color value, mineral contents and the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Jochung is prepared from steamed rice (STR), wet-milled rice flour (WRF) and dry-milled rice flour (DRF) by processing methods of rice and reacting times (6 hours or 13 hours) of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There is commonly added liquefying enzyme for rice liquefaction (0.4%/10 kg rice, at 85~90℃ for 1 hour or 4 hours) and saccharogenic enzyme with malt (2.5% or 4.5%/10 kg rice, at 56~60℃ for 5 hours or 9 hours). The inner structural properties of WRF showed the more distinct shape regular structure of uncombined starch particles but the DRF closely maintained particles of rice flour observed by SEM. If processing times for liquefation and saccharification were reduced from 13 hours to 6 hours, the yield of jochungs prepared with WRF increased 8%, the DRF 7%, and the STR 3% respectively and the sensory evaluation as well as color values and overall desirability received high scores. The viscosity, color a and b values of jochung processed with WRF for 6 hours were lower than that processed for 13 hours. The viscosity and color a, b value and Ca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jochung processed with WRF or DRF for 6 hours, but Mg, P and K were increased than that of STR. Jochung processed by 0.4% liquefying enzyme and 2.5% malt with WRF for 6 hours will increase the yield, save manufacturing times and costs and will thereby enable cost-effective techniques.
        4,000원
        160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유도상분리법(TIPS) 및 연신의 복합공정을 적용하여 막증류(Membrane distillation, MD)용 다공성 PVDF 중공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분리막의 투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분리막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능인자들 중 분리막의벽두께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분리막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리막 제조 시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중공 형성 시 주입하는 bore fluid 주입량을 증대시켰다. 토출량의 감소 및 bore fluid의 증가에 따라 벽두께는 감소하였고, 공기투과도와 수투과도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막증류 공정에 적용 시 투과플럭스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4,000원
        160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연공기전지의 분리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Polyetherimide (PEI) 재질의 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제조는 상전이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캐스팅 용액은 PEI, n-methylpyrolidone (NMP) 및 polyvinylpyrolidone (PVP)으로 이루어졌다. 제조한 분리막을 이용하여 아연공기전지를 제작하였다. 캐스팅 용액 내의 PEI 함량과 캐스팅 용액에 대한 PVP 첨가량이 분리막의 모폴로지, 기계적 강도와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SEM, 인장강도실험 및 임피던스 실험을 통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아연공기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정전류 방전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캐스팅 용액 중의 PE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캐스팅 용액에의 PVP 첨가는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용액 내의 PEI 함량이 증가하면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용액에 PVP를 첨가하는 데에 있어서 첨가량 10 wt%까지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다. PVP 첨가량이 10 wt%에서 이온전도도는 0.1 S/cm의 최대값을 보인 후 추가의 첨가에 따라서는 이온전도도가 감소하였다. 분리막의 이온전도도는 공기아연전지의 용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분리막으로 제조한 전지가 높은 용량을 보였다.
        4,000원
        161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환경 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독성이 거의 없는 초임계 유체가 물질의 합성과 프로세스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낮은 임계온도와 압력, 가격 경쟁력 그리고 무독성 등의 장점을 가짐으로써 초임계 공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매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들에게는 낮은 용해력이 단점으로 있어서 사용에 제한적이다. 따라서,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를 용해하기 위해선 하이드로카본 계열의 용매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Poly (methyl methacrylate)/클레이 나노 복합체 제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초임계 유체 내에서 분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Na+-MMT 클레이 표면을 플로린 계열의 surfactant로 개질 시키어 복합체 제조에 응용 하였다. 개질된 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 된 복합체는 neat Poly (methyl methacrylate)보다 향상된 기계적, 열적 특성을 보였으며, 제조 된 복합체는 X-ray 회절 방법, 열적 안정성 그리고 TEM 으로 나노 클레이의 분산성을 분석 하였다.
        4,000원
        161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anufactured a CIG-based composite coating layer utilizing a new warm spray process, and amixed powder of Cu-20at.%Ga and Cu-20at.%In. In order to obtain the mixed powder with desired composition, theCu-20at.%Ga and Cu-20at.%In powders were mixed with a 7:1 ratio. The mixed powder had an average particle size of35.4 µm.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warm spray process, a CIG-based composite coating layer of 180 µm thicknesscould be manufactured on a pure Al matrix.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and phase,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underwent XRD, SEM/EDS and EMPA analyses. In addition,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anannealing heat treatment was conducted at temperatures of 200℃, 400℃ and 600℃ for 1 hour each. The microstructureanalysis identified α-Cu, Cu4In and Cu3Ga phases in the early mixed powder, while Cu4In disappeared, and additionalCu9In4 and Cu9Ga4 phases were identified in the warm sprayed coating layer. Porosity after annealing heat treatmentreduced from 0.75% (warm sprayed coating layer) to 0.6% (after 600℃/1 hr. heat treatment), and hardness reducedfrom 288 Hv to 190 Hv. No significant phase changes were found after annealing heat treatment.
        4,000원
        161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ch research into fuel cells operating at a temperature below 800℃. is being performed. There are sig-nificant efforts to replace the yttria-stabilized zirconia electrolyte with a doped ceria electrolyte that has high ionic con-ductivity even at a lower temperature. Even if the doped ceria electrolyte has high ionic conductivity, it also shows highelectronic conductivity in a reducing environment, therefore, when used as a solid electrolyte of a fuel cell, the power-genera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uel cell may be degraded. In this study, gadolinium-doped ceriananopowder with Al2O3 and Mn2O3 as a reinforcing and electron trapping agents were synthesized by ultrasonic pyrol-ysis process. After firing, their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with those of pure gadolinium-doped ceria specimen.
        4,000원
        161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를 매트릭스로 용액 중합된 DBSA가 15 mole% 정도 도핑된 PAni를 첨가하여 도전성 PAni/PLA 복합 필름을 제조하여 기계적, 전기적 특성 및 표면 morphology를 고찰하였다. FE SEM 측정 결과 PAni/PLA 복합 필름은 PAni 입자들이 매트릭스 고분자인 PLA에 비교적 잘 분산된 상태를 보였으며, 인장강도는 PAni 함유량 15 wt% 인 경우 565.3 kgf/cm2에서 309.7 kgf/cm2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신율은 모든 필름에서 3-6%로 크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PAn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PAni 함유량이 15 wt% 인 복합필름의 경우 2.9 x 10-3 S/cm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다. PAni 함유량에 따른 복합 필름의 열적 안정성은 300℃ 이하에서는 약간 낮아졌으며, 고온 처리 후의 최종 잔존 타르의 함량은 PAni의 함량에 비례하였다. 결과적으로 PAni를 15 wt% 이상 함유한 복합필름은 전자파차폐 및 정전기방지 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
        4,000원
        161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nanocrystalline Cu-Ni bulk materials with various compositions were cold compacted by a shock compaction method using a single-stage gas gun system. Since the oxide layers on powder surface disturbs bonding between powder particles during the shock compaction process, each nanopowder was hydrogen-reduced to remove the oxide layers. X-ray peak analysis shows that hydrogen reduction successfully removed the oxide layers from the nano powders. For the shock compaction process, mixed powder samples with various compositions were prepared using a roller mixer. After the shock compaction process, the density of specimens increased up to 95% of the relative density.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shock compacted specimen demonstrates that a boundary between two powders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agglomerated powder particles remained in the compacted bulk. Internal crack tended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volumetric ratio of nano Cu powders in compacted bulk, showing that nano Cu powders has a higher coherency than nano Ni powders. On the other hand, hardness results are dominated by volume fraction of the nano Ni powder. The crystalline size of the shock compacted bulk materials was greatly reduced from the initial powder crystalline size since the shock wave severely deformed the powders.
        4,000원
        161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ports a simple way of fabricating the porous Cu with unidirectional pore channels by freezedrying camphene slurry with Cu oxide coated Cu powders. The coated powders were prepared by calcination of ball-milled powder mixture of Cu and Cu-nitrate. Improved dispersion stability of camphene slurry could be achieved usingthe Cu oxide coated Cu powders instead of pure Cu powders. Pores in the frozen specimen at -25oC were generated by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and the green bodies were sintered at 750oC for 1 h in H2 atmo-sphere. XRD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ated layer of Cu oxide was completely converted to Cu phase without anyreaction phases by hydrogen heat treatment. The porous Cu specimen prepared from pure Cu powders showed partlylarge pores with unidirectional pore channels, but most of po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contrast, large andaligned parallel pores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were clearly observed in the sample using Cu oxide coated Cupowders. Pore form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 initial powders was discussed based on the degree of powder rear-rangement and dispersion stability in slurry.
        4,000원
        161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무상 고분자인 PDMS (polydimethylsiloxane)에 HNT (halloysite nanotube)의 함량을 5, 10, 20, 30 wt%로 달리하여 PDMS-HNT 복합막을 제조하고, FT-IR, XRD, TGA, SEM에 의해서 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25°C, 3 kg/cm2 조건에서 수행하였고, PDMS-HNT 복합막의 HNT 함량 변화에 따른 H2, N2, CH4, CO2들의 기체투과도와 선택도를 조사하였다. H2, N2, CH4, CO2의 투과기체에 대해 HNT 함량이 0~30 wt% 범위에서 HNT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체들의 투과도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택도(CO2/N2)는 14~44의 값을 보였고, 선택도(CO2/CH4)는 3.0~7.7의 값을 보였다.
        4,000원
        161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prepare polymer solar cells incorporating organic ligand-modified Ag nanoparticles (O-AgNPs) highly dispersed in the P3HT:PCBM layer. Ag nanoparticles decorated with water-dispersible ligands (W-AgNPs) were also utilized as a control sample. The existence of the ligands on the Ag surface was confirmed by FT-IR spectra. Metal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surface chemistries exhibited different dispersion tendencies. O-AgNPswere highly dispersed even at high concentrations, whereas W-AgNPs exhibited significant aggregation in the polymerlayer. Both dispersion and blending concentration of the Ag nanoparticles in P3HT:PCBM matrix had critical effects onthe device performance as well as light absorption. The significant changes in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SC) of thesolar cell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polymer morpholog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AgNPsintroduced.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uniform dispersion of plasmonic metal nanoparticles and theirblending concentration conditions in order to boost the solar cell performance.
        4,000원
        161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uggests a specific model that could efficiently improve the interaction and the interface between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terminal and PDA terminal through real time processing in manufacturing shop. The proposed model shows that the new method can more efficiently perform to reduce processing time for shipping and receiving, compared with the current approach. As a result of the certain test among the main server, WMS system, and PDA terminal, it is noted in case of the new proposed system that the effects of proposed model are as follows: (a) While the receiving lead time for carrying by the current method was 2 hours, the receiving lead time by the new method was 20 minutes. (b) While the shipping lead time for carrying by the current method was 1 hours, the shipping lead time by the new method was 15 minutes. (c) While the inventory rate of accuracy by the current method was 85%, the inventory rate of accuracy by the new method was 98%.
        4,000원
        161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색두부용으로 개발된 청두 1호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고, 밥밑용으로 개발된 청자 3호의 소비촉진을 위하여 두부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색두부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미나리, 부추, 솔잎, 시금치와 쑥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결과 모든 두부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첨가물 중녹색도의 증진 정도가 가장 좋은 시금치를 녹색두부 제조에 이용하였다. 청두 1호와 청자 3호에 시금치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는 무첨가 두부에 비해 L과 a값이 낮았으며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와 조섬유 함량이 높았다. 시금치를 첨가한 두부의 물성검사 결과 무첨가구에 비하여 청두 1호는 경도, 검성, 응집성과 씹힘성이 유의하게 변하였고, 청자 3호는 탄력성에 차이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두부 색에 대한 기호도는 청두 1호로 만든 녹색두부가 청자 3호 보다 높았으나, 시금치 첨가가 식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녹자엽 콩을 이용한 녹색두부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고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후 이를 고려한 첨가량 설정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620.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은 건목이버섯 형태로 중국에서 전량 수입되었으나 2010년부터 전북 익산을 중심으로 재배가 시작되어 2014년 현재 재배농가는 20여곳, 생산량은 300여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이버섯은 중국요리나 일본의 우동 등에 주로 토핑으로 이용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잡채의 고명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목이버섯은 비타민D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암세포 사멸과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목이버섯의 영양성분 파괴를 최소화한 간편죽을 제조하고자 백미 또는 일부 흑미를 섞은 후 건조목이버섯을 0~4% 첨가하고 팽화시켜 호화도, 색도, 점도, 관능, 비타민D 및 식이섬유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쌀 혼합비율별 호화도는 흑미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최종점도(RVU)와 치반점도(RVU)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호화온도는 증가하였다. 백미 80%+흑미 20%에 건조목이버섯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최종점도와 치반점도가 증가하였고 호화온도는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4%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에 비해 8.4℃가 낮아졌다. 건조목이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죽 제조 후 점도는 무첨구에 비해 3% 첨가구에서 3.2배 증가하였다. 색, 맛, 향, 전반적인 관능은 백미 80%+흑미 20%에 건조목이버섯 3% 첨가 시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비타민D는 건조목이버섯 무첨가구에서는 전혀 없었으나 3% 첨가구에서는 18.5μg/100g이 함유되어 있었고 식이섬유 역시 무첨가구에 비해 1.11% 증가되었다. 건조목이버섯 3% 첨가구 가운데에서도 백미 100% 처리구에 비해 흑미를 20% 첨가했을 때 DPPH 자유 라디컬 소거능이 18.0% 증가하여 항산화성도 우수하였다. 개발된 목이버섯 죽은 간편하게 물만 부어 바로 먹을 수 있게 만들어져 고령화시대의 실버층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