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1

        102.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70세 이상 노인이 거주하는 농촌지역 가정을 방문하여 집의 구조적인 문제와 거주자의 신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평가를 통해 농촌 주거공간내 안전생활을 진단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농업기술센터 용역 사업으로 농촌노인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을 위해 진행되었다. 70세 이상 노 인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마을 2곳을 대상으로 총 25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평가 후 주거환경을 개선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0 년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이었다. 작업치료학 전공자에 의해 대상 가구의 일반적 주거상태를 인터뷰 후 주거환경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주거공간 내 안전생활의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이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정도는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점을 중요도로 평가하였으며, 개선 전후의 일상생활의 수행능력 정도는 수행도와 만족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 주거 공간 내 안전생활 진단 후 중재 결과 25가구에 총 170개의 보조도구가 지급되었고 1가구당 평균 6.8개의 보조도구 가 설치되었다. 그 중 설치 빈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가스자동차단기, 안전손잡이로 각각 21개였고, 미끄럼방지처리, 실버카, 목욕의자 순이었다. 보조도구 지급 전 후 COPM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안전손잡이, 스텝박스(문턱 보조도구), 목욕의자와 좌 변기 안전지지대의 설치 후 수행도가 향상된 반면 만족도는 안전손잡이, 지팡이, 스텝박스, 실버카 순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주거 공간 내에서의 안전생활 문제를 도출한 후 주거환경개선을 실시한 결과 만족도와 수행도가 높았다.
        4,300원
        10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서지역은 한국 고고학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발생지로 고고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현재까지 송국리형주거지와 전기의 대형 취락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그에 반해 후기의 송국리 형주거지가 아닌 노지가 설치되어 있는 방형주거지는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많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방형주거지가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함께 호서지역의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고를 작성하였다. 우선 방형주거지의 분포지역을 서해안지역, 아산만지역, 금강 상류지역, 금강 중·하류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주거지의 분류와 출토유물, 절대연대 등을 토대로 3개의 단계를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방형주거지는 전기 후반에 출현하여 후기에 지속적으로 분포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방형주거지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송국리유형과의 관계를 통해 호서지역의 청동기시대 후기 문화상을 이해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방형주거지와 송국리형주거지의 중복관계를 통해 병존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륙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전개양상, 주거 자체에 있어서 원형과 방형이라는 근본적인 형태적 차이를 기반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문화흐름에 있어서 송국리유형의 획일적인 문화상 전개가 아닌 송국리유형과 방형주거지 간의 교류를 통한 문화적 병존과 전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100원
        10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국리형 주거는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주거로서, 다른 주거에 비해 가장 오랜 세월동안 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전통성·지속성·보편성을 가지는 주거라고 할 수 있다. 전남의 남해안지역은 진도·해남권역, 탐진강유역권역, 고흥반도권역, 여수반도권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수반도권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권역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송국리형 주거 문화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여수반도권역은 남강유역권과 인접해 있어 점이지대 혹은 문화적 동화나 융합의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지역은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과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고 빈약하다. 현재까지 탐진강유역이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유물군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이미 대규모 취락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송국리형문화는 여수반도권역에서 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 지속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나타나는 대규모 송국리형 취락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전남 남해안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취락 형성기에 소위‘돼지코’형태의 주거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물질문화에서는 제주도의 특색을 강하게 보이고 있어 취락형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7,000원
        105.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ough the 20th century architectural theory of rational thinking and the principles according to the statement of the firm, Le Corbusier's early works by analyzing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ncluding his architectural concepts and helps the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Masters of modern architecture as a place among the works of Le Corbusier in the 1920s, ‘Le Corbusier’s White Period’ homes to target by age, and that his initial concept of the formation process of clarifying, further the construction of his golden age will be the key to understand. I selected housings from Maison Citrohan to villa Savoye, the category of architectural elements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ss, he examines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In analysis process, First of all, I am focused on between each eleme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to review and explicate the integration process. The advent of the machine which he lived, because of its incredible potential reorganization of human society, as well as to celebrate the start of a new lifestyle.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the times in the machinism could achieve progress and modern art, which i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natural world.
        5,500원
        107.
        201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uld growth can deteriorate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To alleviate the problems in the built environment,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for mould infestation is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mould growth problem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Bo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nd the behaviour of occupants have been studied as risk factor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randomly on a national basis. A total of 31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uld growth and activity factors was analyzed. As a result, about 30% of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reported mould problems. However, the types of residential building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mould problems.
        4,000원
        10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복지 전문직은 휴먼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로 고도의 윤리적 통찰과 결단이 요구되는 윤리 지향적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아직도 부족하다. 그간 수행된 사회복지 윤리관련 연구들은 하버마스의 보편윤리사상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적 논의,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윤리가 지향하고 있는 내용, 자기결정과 관련된 문제 등 주로 이론적 논의에 머무르고 있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중 가장 빈번하면서도 사회복지사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실제로 겪고 있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내용과 결정 과정 그리고 해결유형을 살펴보고자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문제에 접근했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현직 사회복지사들로부터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take(1995)가 제안한 4단계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의 딜레마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는 유형을 가치론적 결정형, 절충형, 회피형으로 분류했다.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직면하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양상과 원인 그리고 결정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찾을 수 있는 함의는 연구 참여자들은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과 같은 이론적 기준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정책, 전문가의 조언, 기관 관계자들의 견해는 물론 자신의 가치관, 클라이언트의 구체적 상황 등 모든 맥락을 최대한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을 좀 더 유연하게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윤리적 민감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위를 위해서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과정을 포함하고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윤리슈퍼비전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담당 사회복지사들이 감당하기 벅찬 윤리적 문제도 적지 않게 발생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관의 관계자, 성직자, 학계와 같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한 사회복지실천현장윤리위원회의 실효성 있는 운영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7,700원
        10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출소자 재입소율은 2006년 기준 24.3%로 출소자 재복역률이 20%를 넘어서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출소자 5명 중 한 명은 3년 이내 재범을 저질러 다시 교도소에 수감되는 심각한 상황으로 출소자 재범문제가 사회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갱생보호제도는 통상 주거부정자 본인 및 관계기관의 신청이나 동의가 있을 때에만 원조를 제공하는 임의적 갱생보호 (voluntary aftercare) 형식으로 규정되어 있어 한국 법무보호복지공단의 생활관 생활을 꺼려하는 비자발적 주거부정 범죄자에게는 적극적인 행동수정 및 사회복귀를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정 출소자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 영국과 미국의 갱생보호 사례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권적 갱생보호 도입 방안을 검토해 보도록 한다. 미국의 지역사회 거주센터 (community residential centers)와 함께 영국의 보호관찰 허가 주택 (hostel-type accommodation, 일명 보호관찰 호스텔)을 살펴본 후 우리 나라의 적용여부를 논하고 그 유권적 갱생보호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본다. 특히 적용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출소자 기본권 침해 문제와 고위험 범죄자 선별 문제, 법무보호복지공단 운영 주체의 문제 등을 함께 논의한다.
        6,700원
        110.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type of reside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69 female students from the Gyeongju area.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height and weight means were 162.7±4.6 cm and 53.9±6.7 kg respectively. For BMI, 44.2% of the subjects were with in the normal (18.5-23) and 49.1% were underweight and 6.2% were overweight. In terms of alcohol consumption, 78.9% of the subjects consumed alcoholic beverag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residence However, for drink proportion and the preferred type of alcoholic drin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1). Third, for smoking status and the intention of quitting smok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0, p〈0.05 respectively). Also, for exercise regularity and preference as well as food preference and taste, there were again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type of residence (p〈0.001). Finally, in terms of breakfast intake and kinds of foods eaten at breakfa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the type of residence (p〈0.01).
        4,000원
        111.
        2009.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ELF-MFs) exposure level of housewives and the rel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with ELF-MFs exposure level in home. ELF-MF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58 housewives include 31 working women. Twenty-four hours personal MF exposure levels of housewives were slightly higher than working women as an arithmetic mean. However the median of 24 hours personal exposure levels for working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ousewives (p<0.05). The median of personal exposure levels due to the activity at home, working women were higher than housewives significantly (p<0.05). As a results of correl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such as their living environments, total income, type of water supply pipes, and distance from power line with ELF-MFs exposure level in home was different from the type of residence (p<0.05). This study could be informed as guidance for ELF-MFs exposure analysis in residential environment.
        4,600원
        112.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wall posts in pit-houses in the Bronze Age, in the Kyung-nam Province. Wall posts were found as post-holes, created after wooden posts had decayed. In this research, the role of wall posts is newly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struction engineering. While existing studies in archaeology regard wall posts as sub-posts that support the roof of a pit-house, this study views wall posts as piles installed to support the soil wall, not as sub-posts. Based on the existing reports on excavation in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by archaeologists, the study examines the remnants of the wall posts and remains after a fi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First, the wall posts were installed not as posts but as piles, cut sharply and hammered along the building lines of a pit-house. Second, wall piles were used to support the walls during earthwork, such as excavating and banking for low ground, mostly because a large amount of soil is often lost during the process. Third, wall piles were used as post piles of retaining walls that enabled the installation of transverse wall panels, which were used to prevent the soil loss.
        4,900원
        11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은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횡변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횡력 저항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 시스템은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여 시공이 어렵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불리한 점들이 있다. 반면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제진 시스템은 동적 하중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부가적인 제진장치에 집중시킴으로써 건물의 횡변위를 저감시키며, 댐퍼의 설치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아웃리거 설치와 같은 횡변위 제어시스템은 강성증가로 인해 풍응답이 증가되어 거주자의 불편과 같은 사용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다른 추가적인 제어방식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대한 횡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아웃리거시스템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다양한 제진장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횡변위제어 성능을 검토해보았다.
        4,000원
        11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1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와 보호자 중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지도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환경 내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의 필요도 및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서울과 경기도의 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외래 환자와 보호자 112명을 대상으로 2006년 11월 27일~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지식 여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로 구성되었다.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에 관한 설문은 주택 입구, 현관, 방, 부엌,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총 5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결과 :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서 이번 연구 전에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은 환자 33.9%, 보호자 35.7%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할 의사는 환자의 경우 33.9%, 보호자의 경우 57.1%이었다. 환자 및 보호자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전반에 걸친 편리도는 환자의 경우 2.89점, 보호자의 경우 2.82점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한 부분은 환자나 보호자 모두 주택 입구,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의 순서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중요한 부분은 환자의 경우 주택 입구, 욕실, 현관의 순서였고 보호자의 경우에는 주택 입구, 부엌, 욕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인식도가 낮은 편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가옥 구조의 변경과 보조도구의 사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인식시켜줄 필요가 있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 할 때 주택 입구, 욕실, 부엌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117.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raditional noble houses style of Ha-Dong area in Kyeong-Nam. The sequence of this study is at first finding the list of survey object, and investigating of those houses, after than drawing the site and floor plan, and lately analysis the characters of inner and outer space of them. It required six month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m are as follows. 1. The noble traditional houses in Ha-Dong are found eight samples which are not noticed in academic society. 2. The constructions of noble housing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re divided in three parts as a general role. Its grade is similar in Ha-Dong. The number of traditional noble house of (old) volunteer class is two cases. The (new) rich-farmer class is four cases. And there are two cases of (long) authority class. 3. The type of site plan is based on Korean south area style which is the style of departed rectangular type. But outdoor spaces are divided in several space by many fence than other area. It is the special item of construction. 4. The special character of indoor space is the use of 'Gong-ru'. It is called similar space used in top of main entrance building of large building. But it is located in various space in Ha-dong. It is included in any space of Sarang-Che, An-Che, Are-Che. The traditional noble houses of Ha-Dong area have special spacial characters. For long time there space was developed based on local identity. And its characters was divided various classes. Thus Ha-Dong area is definite place of useful identified traditional culture.
        5,500원
        11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방진층을 가진 바닥판을 포함한 건축물의 동적해석을 위하여 효율적인 모형화 방법과 이에 대한 해석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방진층을 포함한 바닥판의 모형화를 위하여 바닥슬래브와 상부 마감층을 각각 독립적으로 모형화하고 이들 사이에 방진층을 의미하는 스프링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방진층의 감쇠에 의한 비비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Newmark-{\beta}법을 적용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상하부를 각각 모형화함으로서 방진층 상하부의 재료적 차이에 의한 감쇠거동을 정확하게 모형화할 수 있었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