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237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최소단면 보수가 완료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평탄성 평가를 위하여 경량 프로파일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평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프로파일러의 정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2회 측정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반복성(repeatability) 검증을 수행하였다. Cross-Corelation 함수를 이용하여 측정치간의 일치를 검증하였다. 최소단면 보수가 이루어진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부분과 기존 포장의 평탄성을 국제평탄성지수와 PrI 지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최소단면 보수가 이루어진 차선의 평탄성이 대체적으로 좋지 않았다. 향후 최소단면 보수 지역의 평탄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237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나방개체군의 일별 종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생물적(abiotic)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에 위치한 승달산 지류에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4월3일부터 4월 30일까지 매일 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일은 총 84회 이며, 채집이 되지 않은 10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74회의 조사에서 나방은 총 4과 52종 686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과별로는 밤나방과(Noctuidae) 가 27종 85개체, 자나방과(Geometridae)가 23종 137개체, 쌍꼬리나방과(Epiplemidae) 와 재주나방과(Notodontidae)가 각 1종, 463개체, 1개체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쌍꼬리나방과의 검은띠쌍꼬리나방(Epiplema plagifera)으로 463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67.5%를 차지하였다. 채집된 종 가운데 singleton은 24종이며, doubleton은 8종으로 나타났으며 각 46%, 15%로 나타났다. 기상정보는 최고온도, 평균온도, 최소온도, 강수량, 평균풍속, 상대습도, 일사량, 운량을 이용하였다. 일별 출현 종수와 상관관계 분석결과 평균온도, 최고온도, 풍속, 상대습도, 일사량과 유의한 결과(p<0.05)를 나타냈으며, 선형회귀분석결과 일별 최고온도만 유의함(F1.72=11.947, p<0.005)을 나타냈다. 나방의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온으로 볼 수 있으며, 기온이 상승하면 나방의 활동도 활발해진다. 기후변화로 인한 봄의 동식물상의 변화가 예상되며, 봄 개체군의 장기적인 조사는 변화경향을 제시할 것이다.
        237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부지역 배 과수원에서 채집된 잎말이나방 종류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Adoxpohyes spp.),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사과잎말이나방 (Hoshinoa longicellana), 갈색잎말이나방(Pandemis heparana), 매실애기잎말이나방 (Rhopobota naebana) 등이었으며,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가 82.3%를 차지하였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의 암컷 성페로몬 성분은 Z9-14:OAc (80%)과 Z11-14:OAc (20%)이었으며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Z11-14:OAc (97%)과 Z9-14:OAc (3%)이었다.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E11-14:OAc (70%)과 Z11-14:OAc (30%)를 성페로몬 성분으로 이용하는 반면에, 사과잎말이나방은 Z11-14:OAc (80%)과 E11-14:OAc (20%)이었다. 갈색잎말이나방은 3가지 성분(Z11-14:OAc, Z9-14:OAc 및 Z11-14:OH)을 95:3:2의 비율로 이용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수원지역에서 수컷 성충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상순, 9월 중순이었으며,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에는 6월 상순과 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한편 사과잎말이나방의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9월 중순이었다.
        237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0년대 초 중국으로부터 국내에 유입되었으리라 추정되는 꽃매미(Lycorma delicatula White)는 김 등(2006)이 국내의 천안, 연기, 서울 관악산 등지에서 최초 발생 보고한 이래, 해마다 그 발생면적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의 포도원과 그 주변의 발생 면적을 상황을 살펴보면 2006(1ha)→2007(7ha)→2008(81ha)→2009(2,946ha)→2010(8,478ha)로 해마다 7배에서 30배 이상으로 발생면적이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이렇게 꽃매미가 급증하는 원인은 이들은 1년에 1세대가 경과함으로써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다른 매미류(4~7년)에 비해 세대기간이 짧고,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가 400~500(왕 등 1981)개 정도로 매우 많으며, 현재 국내에 이들의 밀도를 억제할 수 토착천적의 부재가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월동난의 생존율이 매우 높아 이듬해 밀도 급증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꽃매미 발생현황은 9개 시도 49개 시군(2010년 농식품부 총조사)에서 발생이 되고 있으므로 국내의 전 지역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꽃매미 월동난의 생존율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후 확산가능 지역을 추정할 수 있고, 또 2008년과 2009년의 월동 생존율을 비교함으로써 동계 혹한이 꽃매미 월동난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237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관행관리와 친환경관리를 하는 경북 상주시 공검면 일대 10개의 배과원에서 2005년부터 5년간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을 페로몬트랩을 이 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은 5월말 1세대 성충이 발생이 시작되 어 7월 중순 최성기를 보였으며 9월 중순 이후 성충은 급감하였다. 년간 누적 발생량의 변이계수는 20% 이내로 과원별로 발생량의 차이가 매우 적은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년차별 발생량의 차이는 누적온일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관행관리과원에 비하여 약제가 적게 처리되는 친환경관리 과원에서 발생 량이 많았다. 반면 복숭아순나방은 월동 세대 성충이 5월말에 발생 최성기를 이루고, 누적온일도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 4세대의 성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 악되었다. 복숭아순나방은 매년 발생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이는 누적 온일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과원별 연간 누적 발생량의 변이계수는 5-46%로 과원별로 발생량의 차이가 매우 다. 상주지역 배 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 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37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식물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혀 이들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식물군락은 털진달래-사스래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입지 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는 눈잣나무군락, 분비나무군락, 눈측백군락,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별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보다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등의 양료가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이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고,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북사면이나 북서사면에,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은 남서사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37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ide in the design of an improved menu book, whi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arketing tool, the current version of the menu books and managers (subjects) of 295 restaurants in the Incheon area were examined. These were managers of Korean (36.3%), Western (25.8%), Japanese (14.6%), cafeteria (12.5%) and Chinese (10.8%) style restaurants. The level of service (self-evaluation, 3-point scale) was average 2.25±0.45. The general colorings of the menu books were green (19.0%), brown (18.6%), black (17.6%), yellow (15.9%), red (13.6%) and blue (13.2%). The material of the menu book cover was mainly leather (35.9%), and the internal material was mainly coated paper (59.7%). Physically, the design was two-panel fold (38.3%), two-panel multi-page (35.6%), die style (10.2%), single panel (8.1%) and tent style (7.8%). The type sizes were unchanged in 49.9% of the menu books and in 61.7% photos were not used. 53.9% of menu books did not explain the menus, and 13.2% did not classify the items into groups.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was not done in 66.8%. 51.5% of menu books were irreplaceable in parts. The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was less among the Korean style restaurants (p<0.001).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 of menu books was lower in both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p<0.001). The explanation of the items was lower in the Japanese restaurants (p<0.001). The classification of items into groups was lower in cafeteria (p<0.001). In cases in which there were both seasonal and event menus,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s of menu books was higher (p<0.001). Restaurants of which service level was less than ordinary were lower in the differentiation of type sizes (p<0.001), the use of photos (p<0.001), the explanation of menus (p<0.001), the classification of menus by groups (p<0.05), the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p<0.001) and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 of menu books (p<0.001). If these study findings are applied to the designing of menu books, the role of the menu book as an important tool for marketing could be greatly improved.
        4,000원
        237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 강동구 녹지축인 산림과 인접한 시가화지역 내 야생조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 도시생태계 현황 분석결과 시가화 비오톱은 녹지율이 높은 공동주택지 비오톱과 녹지율이 낮은 주상혼합지 및 상업업무지 비오톱이 주요 유형이었고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비오톱은 배후녹지 비오톱이 대부분이었다. 분석공간단위는 비오톱 유형별 블록을 기준으로 하였다. 봄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51종 3,419개체, 겨울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35종 4,213개체이었고 분석대상종은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시가화지역에 출현한 31종 중 도심지에 적응한 종과 맹금류, 수변에 서식하는 종들을 제외한 총 24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들을 대상으로 각 공간단위별 봄철, 겨울철 야생조류 출현종 및 개체수를 분석하였다.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출현과의 상관분석을 위해 분석 공간단위별 블록면적, 녹지율, 건폐율, 용적율 등 토지이용구조와 교목 아교목층 녹지용적, 관목층 녹지용적, 블록내 평균 녹지패치면적, 교목층 평균 수고 및 흉고직경 등 녹지구조를 산출하였으며 주요 녹지와 각 블록간의 최단거리를 구하였다. 토지이용구조와 야생조류 출현특성과의 상관분석에서 블록면적, 녹지율, 건폐율은 야생조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야생조류 출현특성과의 상관분석에서 층위별 녹지용적, 블록내 평균 녹지패치면적, 교목층 수고는 야생조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2380.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time spent watching TV and using interne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of 7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SPSS 12.0/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523 samples. Amount of TV-watching time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 subjects.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ose who watch TV “more than 1 hour” (p<0.0001). The children who watch TV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than the children who watch TV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internet usage was also related to the dietary habit score in these children: those who use internet “less than 1 hour/day” on weekday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less than 2 hours/day” on weekends had a better dietary habit score than the children who use internet “more than 2 hours/day” (p<0.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tend to have a better diet when their TV and internet time is limited and thus healthy dietary behavi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 sedentary pattern of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