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안경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른 굴절이상의 분포와 굴절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 서초동 소재 안경원에 내원한 922명(1,844안)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라 10대군(10∼19세), 20대군(20∼29세), 30대군(30∼39세), 40대군(40∼49세), 50대군(50∼59세), 60대 이상군(≥60세)으로 분류하고 타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굴절이상은 등가구면굴절 력을 이용하여, 근시군(SE≥-0.75 D), 원시군(SE≥+0.75 D) 및 난시군(Cyl≥-1.00 D)으로 나누고, 난시는 (-) 원주축 방향에 따라 직난시(180°±15°), 도난시(90°±15°), 사난시(16°∼74° 또는 106°∼164°)로 구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각 요인을 독립표본검 정(independent T-test),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안의 굴절이상 분포는 근시 84.4%, 원시 5.7%, 정시 9.9%그리고 난시는 46.1%로 나타 났다.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10대 -3.77±2.06 D, 20대 -4.44±2.61 D, 30대 -3.85±2.61 D, 40대 -3.48± 2.70 D, 50대 -1.92±2.65 D, 60대 -0.56±2.58 D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시에서 원시로 유의 하게 변하였다(p<0.05). 난시는 직난시 54.8%, 사난시 30.4%, 도난시 14.9% 로 나타났고 10대에서는 직난 시가 월등히 높았으며, 도난시는 60대에서 45.3%로 가장 높았다. 결 론: 청소년기에는 근시와 직난시의 유병률이 높지만, 연령이 증가하면서 굴절상태는 변하여 노년층에 서는 원시와 도난시의 유병률이 높았다. 굴절상태는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에 근시화가 진행되고, 근시안과 정시안의 경우에는 40대 이후에 원시화가 나타나며, 근시화와 원시화 정도는 근시안이 정시안보다 더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 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 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 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 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 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 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 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 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 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 (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 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 였다.
목 적: 안경광학과 대학생들의 전공 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전공 선택 동기 및 전공 만족도의 관계 분석 을 통해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높이고, 학생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재학생 343명을 대상자로 전공 관련 특성을 설문 조사하여, 전공 선택 동기 와 전공 만족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전공을 선택하는 동기로는 주변의 권유가 가장 많았으며, 전공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는 부모님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 중 교과 만족이 3.52로 가장 높았다. 본인의 적성과 흥미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은 적지만, 전공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다. 전문대와 4년제 학생들은 일반 만족과 관계 만족, 교과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출신학교 유형별로는 일반 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전공 선택 동기는 전공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전공 결 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식 만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결 론: 안경광학과의 전공 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연구를 통해 학생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 용하여 안경광학과의 위기를 극복하고, 우수한 안경사 인력을 배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measured the indoor concentration of radon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June 2008 to June 2011. Indoor radon densities of elementary schools by season were 86.4 Bq/m3 in winter, 71.2 Bq/m3 in fall, 61.1 Bq/m3 in spring, and 40.5 Bq/ m3 in summer in order. Among flooring materials by construction material, the radon level of concrete was 57.8 Bq/ m3, and cement was 71.5 Bq/m3. For exterior wall material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ensity of cement, concrete, wood, and soil was 102.9 Bq/m3, 64.4 Bq/m3, 51.0 Bq/m3, and 48.7 Bq/m3,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radon densities according to distances between a detector and floors, 150 cm and under was recorded at 99.3 Bq/m3, 151 to 200 cm was recorded at 62.6 Bq/m3, and 201 cm and more was recorded at 59.2 Bq/m3 sequentially.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radon concentra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elementary schools, it was discovered that the nearer the distances to floors were and the older the construction was(r = 0.300), the higher wer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With regard to factors influenc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elementary schools, deriv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distances from floors has the greatest influence(β = 0.354, p < 0.05).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nstruction year was also a factor contributing to indoor radon levels. This had an explanation power of 27.9%.
This study tried to survey air quality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about 5km of industrial complex targeting aldehyde, PM10, PM2.5. Also, the aim was also to examine both a change in indoor air after 3 years and within 3 years of addition and improvement, and a change according to season. It collected specimens at totally 20 places. Aldehyde was analyzed through HPLC. PM10 and PM2.5 were measured by using Met One 831.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detected with 42.1 μg/m3 and 5.7 μg/m3 at the school where is located inside 5km of the industrial complex, and were detected with 55.0 μg/m3 and 6.8 μg/m3 at the school where is located outside 5 km. This could be confirmed to have been detected more highly in the indoor air than the outdoor air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industrial complex. Most substance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by about 150% in the indoor air within 3 years than the indoor air following 3 years of addition and improvement. However, PM10 and PM2.5 were measured with 32.6 μg/m3 and 14.9 μg/m3 after 3 years and were gauged with 22.4 μg/m3 and 14.2 μg/m3 within 3 years. Seeing a seasonal change, Formaldehyde and Propionaldehyde were detected with 5.5 μg/m3 and 1.0 μg/m3 in spring, 7.7 μg/m3 and 1.6 μg/m3 in summer, and 8.3 μg/m3 and 1.9 μg/m3 in autumn. This could be confirmed the tendency of growing according to season.
본 연구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물계절학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하 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학적 특징 분석은 현 장 관찰 자료의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식물계절 경향성 및 변동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현장 관찰 값과 광역 식물계절 관측 값의 연결을 통하여 광 역 수준에서 보다 정밀도 높은 식물 계절현상 모니터링 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의 기반이 된 MODIS EVI 자료는 Timesat Algorithms의 double logistic function으로 평활화시켜 분석하였다. 제주→남해안→지리산→소백산→설악산 의 위도 분포에 따라 식물계절 시작일은 늦어지는 경향 을 보였다. 그러나 11년간 주요 산림 지역에서의 식물 계절 시작은 해마다 시작일에 다르게 나타나는 연변동 의 특징을 보였다. 변동 자료를 고차다항식으로 변형한 결과, 제주도는 연간 0.38일, 소백산지역은 0.174일 계 절 시작이 늦어지고, 남해안은 0.32일, 지리산은 0.239 일, 설악산 지역은 0.119일 개엽일이 빨라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식물계절 시작 시기의 특징을 공간적 으로 살펴보면, 주요 산림 지역은 늦어지고, 분지나 산 록의 남사면지역에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으로 살펴보면, 제주도의 남서해안 및 북동해안 사면지 역, 동남해안 지역이 빠른 경향을 보였다. 행정구역별 식물계절 시작 시기를 분석한 결과, 2001 년에는 서울과 경기도, 동해안, 남해안, 마산, 창원, 밀양, 대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작되었다. 이는 서울, 경기도, 마산, 창원, 밀양, 대구 등의 도시지역은 도시화 에 따른 기온상승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경향은 2005, 2010년에도 같은 경향으로 보이고 있어 도시화가 식물계절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규모인 10년 이내에서는 기후변동 에 따른 식물계절 현상의 변이성을 잘 나타내었으며, 이 러한 식물계절 모니터링 기법은 30년 이상의 보다 장기 적인 자료를 축적을 통하여 기후변화 양상에 따른 생물 계절 현상 변화와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 각된다.
Indoor pollutants seem to have a negative affect on people from vulnerable households who are considered to be weak by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uch as the elderly, infants, children, patients, and pregnant women.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were measured, especially those pollutants that endanger vulnerable households such as PM10, HCHO, TVOCs, TBC and fungi. The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September to October of 2013 in the Chungnam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M10 33.2 μg/m3, HCHO 20.35 μg/m3, VOCs 132.30 μg/m3, TBC 562.71 CFU/m3 and fungi 362.04 CFU/m3. In the case of TBC and fungi, there were excessive concentrations at 30.9% and 49.3% compared to the standards set by WHO. In the case of fungi, buildings built before the 1980s showed a concentration of 446.23 CFU/m3, those built in the 1980s and 1990s had a concentration of 320.21 CFU/m3 and those built in the 2000s had a concentration of 313.43 CFU/ m3 indicating that fungi concentration was higher when the building was olde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oor air pollutants and factors affecting indoor concentrations indicate that HCHO (r = 0.423), TVOCs (r = 0.329), and humidity (r = 0.359)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vulnerable households that were unable to protect themselves from indoor pollutants and where poor living circumstances prevailed such as households that do not receive much sunlight; thus, more attention and focus needs to be given to these particular households
We have observed the deuterated methanol, CH3OD, toward the hot core MM1 in the massive star-forming region DR21 (OH) using the Submillimeter Array with a high angular resolution of about 1 arcsecond. The position of the hot core associated with the sub-core MM1a was confirmed to coincide with the continuum peak where an embedded young stellar object is located. The column density of CH3OD was found to be about (2 ± 1) x 1016 cm-2 toward the MM1a center. The abundance ratio CH3OD/CH3OH was measured to be ~ 0.45, which is about the median value for low mass star-forming cores but much larger than those of the massive star-forming cores. The ratio is believed to change depending on, for example, the chemical condition, the temperature and the density of the source. This ratio may further depend on the evolutionary phase especially in the massive-star-forming cores. The sub-core MM1a is thought to be in the very early phase of star formation. This large abundance ratio found in this source indicates that even the massive star-forming cores, during a relatively short period in the very early stage of star formation, may also show a chemical state resulted from the cold and dense pre-collapsing phase, the enhanced deuteration as found in low mass star-forming cores.
이 논문은 그 제목을 ‘북한지역에서 외국인 및 외국법인의 토지이용과 관련한 법적 문제’이라고 정하였다. 현재의 남북한이 장래에 통일을 할 경우에 제도적 통합과정에서 통일한국의 토지제도를 어떻게 재편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재편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하여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장래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것인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것이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제도라고 한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토지제도는 새롭게 창출되는 제도가 아니고,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되어 온 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파악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법제도는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 정의에 합치될 수 있다. 통일한국이 합리적으로 토지제도를 재편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토지제도의 역사적 전개과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한 가지 유념하여야 할 것은 남북한의 통일은 분단의 아픔을 더 이상 후세에게 물려주지 말아야 한다는 민족통합의 차원에서, 그리고 통일이후의 북한경제의 활성화를 통하여 국가전체의 경쟁력을 상승시키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남한 헌법상의 재산권 보장규정을 통일이라는 사회변혁상황에 그대로 대입하여 원소유자의 권리회복문제를 논의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남북한이 분단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지역에서 정부를 수립하여 규범력있는 통치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과 국제사회에서 양자가 국제법 주체로서 평가받고 있다는 점, 특히 과거의 토지몰수행위의 목적이 불합리한 토지집중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등한 당사자의 관계에서 합의통일을 하는 것이 논리적으로도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분단 이후에 남한을 물론이고 북한에서 이루어진 토지제도의 정립행위도 모두 유효하다는 전제 위에서 통일한국의 토지제도를 재편하는 것이 타당하다.
In this study we included 298 working women in Kangwon province to investigate the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related to constip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Roman II criteria as follows : normal, mild constipation and constipation groups. For the result, 48.4%, 42.7%, 27.2% and 28.6% of the subjects had constipation in the order of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Constipation group had low frequency of bowel movement per week and irregular visit to toilet compared to normal and mild constipation groups. There were higher percentage of people with reading habit while sitting on a toilet, in the constipation group compare to other groups. Constipation groups had difficulty having bowel movement when sleeping outside of their ho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consumption per day among the 3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eals consumed and the number of meals with snacks per day. For the food frequency, there was lower frequency of yogurt and vegetables consumption in the constipation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ow to eat fruit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in order to treat the constipation, it is recommended to take enough water and dietary fiber, and to have physical activities for the working women.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tifs and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s in order to promote the Iksan Seodong Festival,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festival in Iksan region. The motifs and pattern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ntroduce the distinct traditional culture depicting the legendary Seodong tale. This study used Adobe Illustrator CS4 and Adobe Photoshop CS4 to reconstruct the lotus motifs found from the green-oiled-lotus-motif rafter tile, the atrifact from Iksan Mireuksaji Museum. This lotus motif and the motif based on the Iksan City's logo were applied to a repeating pattern with colorways using the CMYK found from the Iksan city's logo. A total of 24 product designs, including 8 necktie designs, 8 scarf designs, and 8 T-shirts designs, were presented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design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mote not only the local Iksan culture but also the national image of Korea on a global sca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gional fishing gears and catches of the gape net with wings used in Jeonnam, Korea. The total length of the gear used in Yeosu, Wando and Jindo was 107.0m, 64.0m, 52.8m, and the size of codend was 4.3mm. 7.8mm. 9.8mm,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bycatch species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catches in Yeosu, Wando, and Jindo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21, 13, and 13 species. A total of individuals of anchovy accounted for over 90% out of total catches in all survey areas. The proportion of anchovy individuals was constantly high up to October in Yeosu, but it showed a sharp reduction to 18% in October in Wando with the increase of the individuals of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In Jindo, individuals of anchovy occupied over 99.8% out of total catches up to August. Since August,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Slimy (Leiognathus nuchalis)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anchovy individuals were decreased.
In 2013, for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Germany as well a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ispatch of Korean workers to Germany,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Bibimbab was carried out among students in Bayreuther, Germany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who had not tried Korean food before. As par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10 different foods that Germans might like were prepared, and the survey took place after food tasting. In the results, 44% of students noted that their first impression of Bibimbab was good, and impression was more favorable after tasting than before. The preference for nine foods other than Bibimbab was in order of Kimchi, Bulgogi, Mandu, Modum-jeon, Samgyetang, Gimbab, Japchae, Tteokbokki, and Sangchu-muchim. Students liked Bibimbab due to its healthiness, and most students showed interest in Korean food after tasting Bibimbab. To improve Bibimbab, most students answered diversifying sauces.
이 연구에서는 몽골 흡수굴 호수 인근에서 발견되는 설치류(땅다람쥐) 서관 구조의 일반적인 특징을 조사하였다. 설치류 서관 구조는 직선이거나 약하게 휘어진 형태이며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롤 보인다. 단면상의 모양은 원형 내지는 타원형이고 지름은 주로 8-10 cm의 크기를 보인다. 버려진 서관 구조들은 대부분 토양이나 자갈에 의해 수동적으로 채워져 있다. 연구 지역에서 관찰되는 서관 구조의 크기와 구조적인 특징들은 이전에 한국에서 보고된 플라이스토세 후기 서관 구조들과 매우 유사하므로 한국에서 발견되었던 서관 구조들도 땅다람쥐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서관 구조 충진물의 차이로 판단할 때 당시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이 몽골에 비해 훨씬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아스파라거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피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도에서 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총 5개목 16종의 해충이 관찰되었다: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하와이총채벌레(Thrips hawaiiensis),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 줄고운가지나방(Ectropis excellens),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아스파라거스잎벌레(Crioceris quatuordecimpunctata),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그 중에서 파총채벌레는 아스파라거스 전 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었다. 아스파라거스잎벌레와 달팽이류는 봄 수확기에 아스파라거스 순을 가해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아스파라거스 입경기부터 생육기에는 진딧물과 나방류 해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나방류 해충 중에서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등 밤나방과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파라거스 재배에서 해충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오늘날 한국 교회가 처한 문화적 상황은 서구교회 못지않게 선교지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 논의는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전통 문화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 문화가 혼재한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화의 급류 속에서 더욱 다문화 사회로 그리고 다원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 가운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기독교에 대한 높은 반감과 무관심은 그들에 대한 전도를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상황 속에서 전도와 사회봉사의 사역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도적 접근법을 넘어서서 선교적(missional)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선교적 접근법은 먼저 성육신적인 방법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불신자들에게 다가가며 그들과 관계를 맺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자신의 교회문화보다도 불신자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와 개념으로 복음을 소통하고자 노력한다. 그들은 먼저 불신자들과 편안한 만남이 가능한 근접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또한 민간, 정부, 복지기관, 기업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 지역사회의 복지와 유익을 추구하며 협력관계를 개발한다. 더욱이 지역사회에 긴요한 영리사업을 추구함으로 해당 사회의 유익을 구하는 한편, 불신자들과의 접촉점을 개발하는 가운데 선교적 목적을 이루고자 한다. 이처럼 선교적 접근법은 다양하게 불신자들과 접촉하며 관계를 개발하는 가운데 자생적 신앙 공동체를 이루고자 한다. 선교적 공동체는 복음과 지역사회 문화와의 선교적 대면을 추구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먼저 지역사회 문화 속에 함께 거주하는 자로서 복음을 접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내면에서 복음과 문화의 내면적 대화를 통해서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가정들과 전제들을 복음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면적 대화는 교회 밖의 불신자들과 외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한 전제이며 선결조건이다. 선교적 회중의 내면에서 일어난 복음과 문화의 내적인 대화는 그들로 하여금 교회 밖에 있는 불신자들이 동일하게 복음을 붙잡고 또 복음에 의해서 붙잡힐 수 있도록 해석학적 렌즈를 제공하거나 불신자들에게 친숙한 용어로 복음을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중요한 부분은 상호간에 공통점을 찾는 일이다. 그러한 공통점은 복음을 전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접촉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역사회 속에는 개인주의로 허물어가는 공동체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대가족중심의 복지체계에서 정부중심의 복지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가운데에서 많은 복지적 욕구가 분출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지역사회 상황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을 받는 선교적 회중들이 그 명령을 따르기에 좋은 토양이다. 지역사회 속에서 봉사와 섬김의 사역을 실천함으로써 공신력을 회복시키며 지역사회로부터 좋은 호응을 받고 있는 많은 교회들이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하지만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간과해선 안 되는 점은 양자 간의 차이점이 분명하게 나타날 경우이다. 그럴 때 돌이키고 회개해서 문화적인 관점과 가치관을 복음적인 것으로 바꾸어 나아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교회는 대조사회로서 초월의 세계로부터 오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하는 공동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patterns, nutrient intakes, blood levels, and health statu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In this study, we classified subjects into normal weight (n=240), under weight (n=11), and obese (n=46) groups according to BMI. The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p<0.0001). The obesity was associated with overeating and frequent eating. The under weigh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of fast food, snacks, and fried food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The intakes of milk, meat, fish, eggs, and fried food and preference ratios were higher in the obese group (p<0.05). The male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insufficient intakes of calories, vitamin C, folic acid, and calcium. The plasma LDL-cholesterol level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intake of nutrient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is found to be insufficient and requires nutritional education. The under weight group showed regular eating habits and increased nutrient intake. The obese group was shown to need more exercise with higher intakes of vegetables and frui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group of 88 elderly women using the free meal service in Dong-gu, Gwangju city in Ko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July 2009, and the pretest,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post-test were applied in each stage. This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snack suppl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three times a week and 36 times in total. The nutrition education was led by the nutritionists and professionals us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Snack supplement included were milk, soymilk, carrot juice, bread, yogurt, and bananas. The result of pretest showed that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much below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level of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Comparison of the dietary behavior score and nutrient intak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indicated that the food behavior score increased from 3.1 to 5.6 (P<0.001) and intak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thiamin, niacin, vitamin C, iron, and potassium of the subject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Mean Adequacy Ratio (MAR) of their nutrient intakes was also improved from 0.53 to 0.64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in local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