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August 31, 2019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who worked in tertiar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Braun & Clarke’s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Four themes and eighteen sub-themes emerged as follows. ‘Falls resulted in fatal consequences, the importance of precaution education’, ‘Errors occurred due to incompliance to verification protocol’, ‘Responsibility for catching other people's errors’, ‘Hospital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hich may have serious consequences and are not easily addressed. Programs to prevent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systems to guard against these incidents should be establishe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lso needs to be improved.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into hemodialysis patients' dietary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bstacles and requirements to maintain a recommended diet therapy in hemodialysis patients. Fiv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in the renal chamber of the general hospital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interviews were based on an interview guide and analyzed by Giorgi’s method of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elemental factors and 12 subelemental factors were derived. Derived elements were “difficulty in dietary guidelines”, “recognizing necessity of diet therapy”, “awareness of importance of diet”, “difficulty practicing diet therapy”, and “looking for ways to practice diet therapy”. Patients not only felt difficulties in practicing dietary guidelines but also recogn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diet therapy. Patients seemed to have difficulty practicing meal therapy and eating with their families or others. They were also stressed by the limited selection of dietary components and rapid dietary changes before and after dialysis. However, patients showed a willingness to implement dietary managemen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practice dietary therapy.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e of dietary manage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long-term dietary habit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monitoring, not just one-off education. Moreover, patients should be educated that adherence to dietary control may be less burdensome on their families.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이주여성의 배움 경험이 이주한 사회에의 적응만을 위함이 아니라 자기성찰을 위한 변화임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주민들 다수는 선주민에 비해 배움의 기회와 조건 등이 사회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움 경험을 유지하는 이주여성들은 과연 무엇을 배우는지, 이런 배움이 자신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이 경험들이 향후 미래에 어떤 쓰임새로 작용하기를 기대하는지 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이주여성들은 외형적 자격을 갖추기 위한 배움과 함께, 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배움을 함께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주여성들은 다양한 배움 경험을 통해 개인의 역량과 상황인식능력을 향상시키며 삶의 태 도를 변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셋째, 이주여성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가치의 상승과 성장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었다. 나아가 다문화공동체에서 각자의 역할을 찾는 사회적 쓰임새로 확장되었다. 배움 경험 은 이주여성에게 자신을 재인식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삶의 가치와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향후 이주여 성들이 각자의 삶을 스스로 계획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문가 추천 사례 방식(reputational-cases selection)’으로 진행했고, 노인상담기관에서 진행 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심층면접 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기노시타 야스히토(木下康仁)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했다. 분석결과 총 61개 개념, 23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범주로 발견되었고, 이를 두 개의 분석주제인 ‘분노경험’과 ‘분노조절 과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분노경험과 분노 조절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노인의 분노조절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보완에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개입방식의 효과성 검증 및 개입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orea’s R&D invest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quantitative outputs such as number of papers and patents have also increased with the investment. However, the quality of R&D outputs has not been fully addressed. In particular, quality of technical performance, such as the quality of patents,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In this paper,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 was used to construct models for efficiency analysis of R&D investment, focused on quality of technical performance. Indices were propo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of R&D investment.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R&D efficiencies, the measurement units of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standardized. Based on cases of livestock quarantine R&D projects of Korea,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projects were analyzed and factors that would influence R&D efficiencies were identified.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R&D efficiency. Also, it is recommended to care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s during project selection stage.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연구자들은 1993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92편 중 질적 연구 16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을 Tong 등(2007)이 개발한 질적 연구 보고 통합 기준(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팀과 성찰’영역에는 연구 목적 및 참여자 권리와 연구자 의무에 대한 고지 항목은 잘 지켰으나 연구자의 경험과 훈련 보고 항목은 미흡했다. 두 번째 ‘연구 설계’ 영역에 서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이 가장 많았으며 면접 지침은 대부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하지만 면접 탈락 자 및 면접 환경 보고는 미흡했다. 그리고 세 번째 ‘분석과 결과’ 영역에서 참여자 인용문과 주제 제시의 항목은 대체로 잘 지켜졌으나 면접자 점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COREQ가 질적 연구 보고 분석에서 체계적인 보고 틀을 제공하여 연구 방법의 일관성 과 연구 방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COREQ의 활용 은 작업치료 질적 연구 보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y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completed education programs for training of food citizen leaders. Focus group interviews of seven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China, Mongolia and Russia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NPT).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program (coherence) and their confidence in organizing and reconstructing the knowledge of nutrition was increased after education (reflexive monitoring). However, they had difficulties attending long-term education programs (cognitive participation) and overcoming language barriers (collective action). Although the program was beneficial for the participants in that they could apply acquired nutrition knowledge to their everyday life as food citizen leaders, the continuous monitoring and feed-back system (management), customized application, and consideration of personal and social factors need to be developed and facilitated.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 may increas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se women. The NPT proved beneficial in conceptualizing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utrition intervention needs special support to overcome barriers to cognitive participation and collective action.
이 논문은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의 모델 중에서 일터교회개척 (Entrepreneurial Church Planting)의 사회학적 함의들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과정을 담았다. 비록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은 영국교회에서 시작된 선교적 교회 운동이지만, 최근에 지구촌 북쪽인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그리고 다른 유럽국가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성장하고 있다. 필자는 일터/공공장소에서 하나님의 선교(MissioDei)를 실천하는 두 일터교회개척 모델들 (오떡이어 그리고 커피와 교회)을 공공 신학적 그리고 선교적 접근으로 연구했다. 또한, 한국적 상황에서 일터교회개척이 어떻게 실천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을 통해서 연구 자료와 분석 결과를 얻었고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터교회 개척의 사회학적 함의들을 소개한다. 2장에서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과 일터교회개척을 소개하고 성장하는 배경에 대해서 설명했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론에 대해서 언급하고 사례들을 소개했으며, 4장에서는 연구 분석 결과를 설명했다. 5장에서 는 이 연구 분석을 토대로 일터교회개척의 사회학적 함의를 서술했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관점에서 학점은행제 평가체제의 개선요구 요인을 피 평가기관 담당자의 심층면접을 통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피 평가기관 담당자 26명을 연구 참여자로 최종적으로 선정한 후,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는 Glaser와 Strauss(1967)가 제시한 근거이론 방식을 적용하여 개방코딩-축코딩-선택코딩의 순으로 분석절차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중심현상은 기본운영 여건, 질 관리 점검, 역량(성과)평가 영역의 구체화에 대한 변화였다. 이를 근간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순으로 학점은행제 평가체제의 개선요구 요인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신규평가, 재평가의 이원화된 평가지표 개선, 교․강사의 경력 인정 지표 개선, 수업목표와 관련한 평가지표 개선, 원격기관의 ‘조교 역할’ 지표 재구성 측면에서 정책적 함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Breakfast Club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provide breakfast and nutrition education to students who require need breakfa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hanges 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among high-school participants of the Breakfast Club.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high school students (10 boys and 10 girls) via a focus group interview at each school. Experienced improvement and suggested future tasks from the experience of the Breakfast Club were categorized at three levels (themes): personal factor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The health belief, knowledeg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ffects of th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but the personal barriers need to be improved. At the school level, peer influence and school food policies were improved but some aspects of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and social norms need to be improv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home environment, such as family influence, and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were better after the program. The Breakfast Club changed not only personal behaviors but also the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nursing unit manager's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ac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7 to December,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unit managers who worked in General wards, OPD or in the ICU of a general hospit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were elicited; dimens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plex feelings about the person after the accident, ambivalence for the accident triggers, leadership learned from accident management.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s on the nursing unit managers'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accidents, which held many nurs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develop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upport system for accident management personnel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공무원들이 퇴직 후 삶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퇴직 준비를 하고 있는 5년 이내 퇴직 예정 교정공무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정공무원들의 퇴직준비는 4개 범주와 11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는데, 4개의 범주는 ‘퇴직준비의 의미와 현실’, ‘퇴직준비를 위한 개인적 자원’, ‘퇴직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행동’과 ‘퇴직준비를 위한 대안’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정공무원들이 퇴직 후에도 일을 하려는 이유는, ‘퇴직 후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느끼기 위해’, ‘이루지 못한 꿈과 유사한 일을 하기 위해’서 인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직 중 퇴직준비의 어려움은 경제 사정과 근무 환경으로 나타났고, 현직에서의 업무 경험은 퇴직 후 진로 전환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의 퇴직준비를 돕기 위한 정책적 방안과 교정공무원의 특성에 부합하는 퇴직지원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스톡과 6개의 지식스톡(특허의 질적 가치)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기업의 시장가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빈Q 모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402개 기업의 미국특허등록 108,851건(연 도관측치 2,795건)의 특허를 분석하였다. Hall모형의 확장 모형 분석결과, 연구개발스톡/자산, 청구항스톡/특허스톡, 인용스톡/특허스톡 등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이 높진 않지만 피인용스톡/특허스톡, 발명자스톡/특허스톡 등 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특허경영시대에 특허의 질적 수준 고도화와 특허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