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8

        10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ims at analyzing a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live in bottom of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Korea.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seasonally fluctuation, a seasonally fluctuation of the dominant species and it's appearance type were analyzed with the fishes caught by the bottom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from May, 2011 to March, 2012.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sh caught in this area composes 10 orders, 25 families, and 37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n number of fish was Pennahia argentata which was occupied at 42.1% from the whole number, the second most dominant species was Konosirus punctatus which was occupied at 14.2%.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 biomass of fish was Pennahia argentata which was 31.3% out of the whole catch, the next dominant species was Lophius litulonwhich which was 18.2%. The first group (Trichiurus lepturus, Zeus faber, Pennahia argentata, Chelidonichthys spinosus and Lophius litulon) was appeared at May, August, October, the second group (Sphyraena pinguis) was appeared at May and November, the third group (Pampus argenteus) was appeared at August, the fourth group (Pampus echinogaster, Leiognathus nuchalis, Konosirus punctatus and Engraulis japonicus) was appeared at March.
        4,000원
        10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of 330 specimens caught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2011. The size of Pacific bluefin tuna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34.1 to 67.3 cm in fork length (F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was 41.8%.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and Cephalopoda based on percentage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The main fish preys were Trachurus japonicus, Bregmacero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and Cephalopoda were Todarodes pacificus, Loligo edulis, Watasenia scintillans. T. orientalis showed ontogenetic change in diet composition. Although Pisces dominated the diet of all length classes the portion of Cephalopoda was relatively higher in size between 40 and 50 cm other than length classes. In terms of seasonal variation in feeding habits, Pisces was the main prey group in all seasons, but Cephalopoda was also frequently consumed during spring and autumn based on %IRI.
        4,000원
        10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s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a monthly monitoring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were conducted at the three serial lakes (Lake Ui-am, Lake Cheong-pyeong and Lake Pal-dang) in the North Han River for 11 times from May 2014 to March 2015. In the three serial lakes, phytoplankton communities showed that seasonal changes in Bacillariophyceae- Cyanophyceae-Bacillariophyceae. Anabaena and Pseudanabaena were dominant species in August and September 2014. At the same time the odors (Geosmin, 2-MIB) were also detected with high concentration.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yanobacterial abunda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abaena circinalis and geosmin (r=0.983, p<0.01). In the case of Pseudanabaena limnetic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total nitrogen (r=0.685, p<0.01) and NO3-N (r=0.723, p<0.01). In addition, similarly Pseudanabaena limnetica and 2-MIB (r=0.717, p<0.01) was high. The odorous compounds appeared in the North Han River water were considered to be a direct relationship with cyanobacteria.
        4,000원
        10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봄 출현 나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겨울 기후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2개 지역(전라남도 무안군, 경기도 용인시)에서 2013 ~ 2015년까지 나방을 채집하였다. 채집은 4월 한 달 동안 light trap을 이용하여 주 2회 실시하였고, 기후데이터는 1주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온도,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풍속, 상대습도, 일조시간, 운량, 신적설 등 겨울의 기후요소가 봄에 출현하는 나방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기적인 영향(0-3주 전)과 장기적인 영향(4, 8, 12주 전)을 분석하였다. 2013년, 2014년, 2015년에 채집된 나방은 각각 78종 1,085개체, 194종 3571개체, 97종 322개체가 채집되었다. 온도는 2014년 겨울평균온도가 2013년과 2015년에 비해 약 1∼3℃ 가량 높았고, 주별 기온차가 가장 적었다. 강수량의 경우 2014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우려가 있는 독립변수를 회귀식에서 배제하기 위해 각 기후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가 높은 독립변수를 제거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단기적인 기후요인에서는 채집 주의 평균온도가 출현 종 수(F=3.793, p<0.005)에 유의함을 나타내었고, 장기적인 영향에서 1달 전 평균온도가 출현 종 수에 유의함(F=4.085 p<0.005)을 나타내었다. 주별 출현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른 봄에 출현하는 나방 발생의 채집 주와 1달 전 평균 온도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봄의 곤충상의 변화가 예상되며, 기후변화가 나방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0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빅데이터 활용, 앙상블 기후모형과 작물모형의 결합, 작물모형과 사회경제모형의 결합 등 다학제간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많은 농업모형 연구자들에 의해 작물 생물계절/생육단계모의 모형, 기상재해 및 병해충 예측모형 등이 꾸준히 개발되었고, 이와 더불어 각 모형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농가에서 쉽게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하고 또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러 농업모형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다 현실적인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는 드물었다. 농업생태계를 구성하는 작물,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적 환경 (병원균, 해충, 잡초 등)과 비생물적 환경 (토양, 기상 등)은 서로 밀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고려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상호작용들을 모의한 종합적인 농업생태계 모형을 만들어 내는 것이 우리 연구자들이 앞으로 해야 할 중요한 숙제임에는 틀림없다. 최근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의 서식지가 중국 북서부에서부터 전세계로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과수 농가에도 상당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다. 따라서 이 해충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과수 개화일 예측모형과 복숭아순나방 출현모형을 이해하고 이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민해 보려고 한다.
        10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Pectinatella magnifica의 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발생시기인 2014년 7월~11월 동안 기본 분포조사와 출현밀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본류 구간 내 Pectinatella magnifica의 부착기질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기질에서 12.3%, 자연기질에서 87.7%로써 자연기질에서 매우 높게 확인되었으나 자연기질에 포함된 식물군락의 특정 종에 따른 선호하는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본 조사 결과에서는 고착대상으로 하는 기질의 분포 정도의 차이는 P. magnifica의 분포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태형동물이 선호하는 출현기질의 증가는 P. magnifica의 성장 및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써 작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nthly variations of cirriped larvae near Oryuk islets off Busan were investigated at four stations from January 2012 to January 2013. Zooplankton was vertically collected, using NORPAC net (mouth 45 cm, mesh 200 μm), from the surface to 1 m above the bottom. 12 species belong to five genera of 4 famil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one unidentified species. Cirriped larvae occupied small portion of total zooplankton, ranging 0.02 to 4.1% of total zooplankton densities. The densities varied monthly from 1 inds.m-3 to 715.1 inds.m-3, which was highest in September and lowest in February. Chthamalus challengeri, Balanus glanula, B. improbisus, B. nubilus and Octomeris sulcata were dominant species and accounted for 70.1% of total cirriped larvae. Larval densities of cirripeds between s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0.237, p=0.870). The larval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by cluster analysis. We discuss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irriped larvae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area.
        4,000원
        108.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ing habits of Okamejei kenojei were studied using 242 specimens collected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O. kenojei was carnivorous feeder that consumed mainly shrimps, crabs, and fishe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stomatods, cephalopods, amphipods. The size of O. kenojei ranged from 10.4 to 47.4 cm in total length (TL). O. kenojei showed ontogenetic dietary shift. <15.0, 15.0-19.9 cm size classes fed mainly on shrimps and amphipods. 20.0-24.9 cm size class fed mainly shrimps and crabs. Thereafter, shrimps and crabs were decreased with ontogenesis while fishes and cephalopods were increased. Increasing size, the mN/ST were constantly decreased, but mW/ST were constantly increased.
        4,000원
        109.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study periods, total 143 individuals of Lateolabrax japonicus were collected. Body length (BL) range was 2.0–11.8 cm. Empty stomach occurred in 8.4%. The most abundant prey was copepods. Among copepods, Tigriopus japonicus was the most abundant prey appeared 32.1 in %F. Next important prey was shrimps and mysids. The results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main prey of two small size classes (2.0–3.9 cm, 4.0–5.9 cm) were copepods. Thereafter, copepods percentage was decreased, but shrimps, mysids, fishes percentage was increased by increasing body length from 8.0 cm < size class.
        4,000원
        11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14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 된 어류는 14과 61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상대풍부도 20.3%),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2.6%)였고, 그 밖에 밀어(Rhinogobius brunneus, 9.2%),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4.4%),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4.0%)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 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25종(40.1%)이었고, 외래어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종이었다. 천연기념물은 어 름치 (Hemibarbus mylodon) 1종이었고, 멸종위기야생생 물은 I급의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와 II급의 다묵장어 (Lethenteron reissneri), 묵납자루 (A. signifer),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돌상어 (G. brevibarba), 꾸구리 (G. macrocephala) 6종이었으며, 회 유성 어종은 뱀장어 (Anguilla japonica, 강하성)와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양측회유성) 2종이 채집되었다. 조사지역 중 사미천 하류부(St. 5, 6)와 군남댐 인근(St. 11, 14)은 서식지가 다양하고 인위적 교란이 적어 33~ 42종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천연기념물 1종과 멸종위기야생생물 3~5종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았다.
        4,500원
        11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부 DMZ 인접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2014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14과 61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상대풍부도 20.3%),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2.6%)였고, 그 밖에 밀어 (Rhinogobius brunneus, 9.2%),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4.4%),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4.0%)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25종(40.1%)이었고, 외래어종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1종이었다.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1종이었고, 멸종위기야생생물은 I급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와 II급의 다묵장어 (Lethenteron reissneri), 묵납자루 (A. signifer),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돌상어 (G. brevibarba), 꾸구리 (G. macrocephala) 6종이었으며, 회유성 어종은 뱀장어 (Anguilla japonica, 강하성)와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양측회유성) 2종이 채집되었다. 조사지역 중 사미천 하류부(St. 5, 6)와 군남댐 인근(St. 11, 14)은 서식지가 다양하고 인위적 교란이 적어 33~42종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천연기념물 1종과 멸종위기야생생물 3~5종이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았다.
        4,500원
        11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specimens of larvae (5.2~7.8 mm in standard length (SL)), of the family Scombridae,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eastern waters off Jeju Island in August, 2014. These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Katsuwonus pelamis have melanophores distributed on the 1st dorsal-fin spines and post ventral margin on caudal peduncle. An analysis of the cytochrome oxidase submit I (COI) sequences (652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showed that our specimens must be K. pelamis, because their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the adult K. pelamis (genetic distance= 0.000~0.002), followed by Auxis rochei (genetic distance= 0.061~0.063) and Euthynnus affinis (genetic distance= 0.077~0.079). During the larval stage, K. pelamis differed from Thunnus spp. species in melanophores distribution period of 1st dorsal-fin spines, lower jaws and ventral margin on caudal peduncle. In conclusion, occurrence of K. pelamis larvae means Korean waters are potential spawning ground of K. pelamis.
        4,000원
        11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catch condition of Scomberomorus niphonius in autumn season affected greatly, the catch price for the set net fishery. Catch production and the selling price were relatively even except 2009 showing a great big blooming jellyfish of Nemopliema nomurai in 2008~2011. The fishing cost of the set net fishery in Yeosu has increased gradually by the decrease of catch production and unexpected environmental change like as jelly fish blooming. The increase of fishing cost diminished net income and caused a negative impact in profitability. The lowest Fisheries ratio of gross profit to gross costs the set net fishery were appeared 60.2% in 2010, respectively.Bycatch was highest in 2008 and lowest in 2009. In general, the bycatch was occurred from May to July every year and when Scomber japonicus was most dominant in the catch price by bycatch had a advantage in the profit side. However, the catch increase of immature small fishes by the bycatch, which will bring about the decrease of fisheries resources. Finally, the present state in set net fisheries will act as a defect on the long-term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4,000원
        11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Pseudo-nitzschia produce the neurotoxin domoic acid (DA) known to be responsible for amnesic shellfish poisoning. Recently off the coast of Geomundo and in Exclusive Economic Zone (EEZ) of Korea Strait, P. cf. brasiliana predominated in summer, 2010. As P. cf. brasiliana was new to Korea,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t was observed that cells were linear to lanceolate in valve and girdle view, 51~76 μm long and 1.9~2.6 μm wide. In the central part a large interspace was absent. The number of fibulae and striae in 10 μm were 30~37 and 31~37. Each stria contained 2~3 rows of poroids, with 10 to 14 poroids in 1 μm length.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of P. cf. brasiliana were found to be similar with the P. brasiliana, except with the fact that P. cf. brasiliana carred more numbers of fibulae/striae in 10 μm and poroids in 1 μm. Based on our observation, we suggest that P. cf. brasiliana is a newly identified Pseudo-nitzschia species or a variety of P. brasiliana.
        4,000원
        11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에서 동계 대증식을 유발하는 Stephanodiscus속의 출현기간과 종 분류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 년 4월까지 주 단위로 21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동계 영산강에서는 규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집을 보였으며, 규조강 중 원형규조 Aulacoseira, Cyclotella, Stephanodiscus속이 주요 출현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Stephanodiscus spp.는 극우점 규조류로서 12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월에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고, 3월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녹조강, 남조강, 은편모조강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우점종은 거의 모든 조사시기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 (S. hantzschii)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동정되었으며, 3월 말과 4월 중에는 남조강인 Anabaena sp.와 은편모조강인 Cryptomonas sp.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출현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종 천이가 관찰되었다. 조사시기에 출현한 원형 중심목 규조류의 명확한 종 분류를 위해 전자현미경을 통해 동정한 결과, Stephanodiscus속 내의 S. hantzschii가 극우점한 가운데 부분적으로 S. minutulus와 S. parvus 동정되었으며, 그밖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에는 Cyclostephanos속의 C. invisitatus와 Cyclotella속의 C. meneghiniana, Discostella속의 D. pseudostelligera, D. woltereckii가 동정되었다.
        4,000원
        11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초나무종자는 전통적으로 향신료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지만 종자의 발아율이 낮고 묘의 대량생산이 어려워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초나무 종자 휴면타파를 위한 전처리방법을 정립하고 발아촉진물질을 처리하여 출현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종자 발아적정온도는 25℃로 서 저온보다 고온에서 발아의 시작이 빨랐고 발아율도 높았다. 종자 휴면타파는 노천매장보다 저온·습윤 처리에서 효과가 높았으며, 종자 외부의 과육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야 출현율이 향상되었다. 종자외부의 과육을 제거한 후 270일 동안 저온·습윤 처리하면 출현율이 74.7%까지 향상되었다. 휴면타파 처리기간이 길수록 평균출현일수는 단축되었다. 발아촉진물질 GA3, IAA, kinetin, KNO3 처리는 산초종자의 출현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저온·습윤 120일 처리한 종자는 파종 전 kinetin 2.5mM을 침종처리하면 출현율이 72% 까지 향상되었고 휴면타파 처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4,000원
        11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감자뿔나방살이자루맵시벌(Diadegma fenestrale, 벌목>맵시벌과>자루맵시벌 아과)은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등 의 유충 내부기생성 천적으로서, 국내에서는 2009년 제주도 대정읍의 감자밭에서 처음 채집, 보고된 기생봉이다. 이 천적 기생봉을 실내사육하면서 사육조건에 따라 감자뿔나방 유충에 대한 기생률 및 암수 출현율이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설탕 10% 용액과 물을 각각 급여한 기생봉에 감자뿔나방 유충 20마리를 각각 노출시킨 결과, 설탕액 급여구에서 평균 6.6마리의 기생봉이 발생하여 물 급여구 3.8마리, 무 급여구 3.6마리보다 많았다. 천적 기생봉 및 감자뿔나방 성충으로 출현하지 못하고 유충 상태에서 치사한 개체수는 무급여 8±2.1, 물급여 6.4±1.9, 설탕급여 7.4±1.3 마리였다. 따라서 기생봉 출현수와 유충 치사수를 합산한 실질적 천적 방제효과는 설탕 > 무 > 물 급여구 순으로 나타났다. 부화 7일차 감자뿔나방 유충을 기생봉에 24 시간 노출시킨 후 10, 15, 20, 25, 3 0℃ 생육상에 넣고 기생봉 성충이 출현하는 기간을 조사하였다. 모든 온도 조건에 서 기생봉 암컷의 우화기간은 수컷보다 길었다. 고온 조건에서 감자뿔나방의 우화 기간은 상대적으로 기생봉보다 짧았다. 즉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자뿔나방 성충이 기생봉 성충보다 먼저 출현하였는데, 이는 생물적 방제 측면에서 감자뿔나방이 먼 저 출현하여 기주식물에 산란하는 것이 천적의 기생활동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 로 생각된다.
        12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et composition of juvenile Korean piscivorous chub,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were studied using 277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in the surf zone of Nakdong river estuary. The size of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ranged from 2.6 to 9.1 cm in standard length (SL).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was carnivore that consumes mainly amphipods and insect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polychaetes, fishes, and algae and plant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showed ontogenetic diet change. Smaller individuals (< 4 cm SL) mainly consumed amphipods. The 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with increased consumption of larger preys such as polychaetes and fishes. Insects were preyed moderated values in all size classe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diet also showed diel change with consuming more on amphipods and polychaetes during da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