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1947.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동과 연계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이 노인의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또한 욕구충족을 통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D노인주간보호소 에셔 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 7명을 대상으로 2005년 2월 14일부터 12월 26일까지 주 1회씩 총 41회를 실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셜계하였다. 안정욕과 인정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작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식물심기와 감자 속 파기 둥과 같은 과거 익숙한 작업을 션택하여 노인들이 쉽게 배워서 아동에게 가르쳐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 감자, 당근, 보리, 창포 둥 과거 친숙한 소재를 제공함 으로써 과거 일을 회상하여 아동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건강을 자랑하고 싶은 생존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당한 힘이 요구되는 작업을 선택하여 아동 스스로 할 수 없을 때 노인들이 도와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인의 욕구 충족에 의한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은 42.86검에서 실시 후 49 점으로 유의하게(p=.038)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하위항목별 변화는 과거 차원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14.57점에서 실시 후 16.86.으로, 현재 차원에서는 18.14점에서 21.43점으로, 미래 차원에서는 10.14점에서 10.71점으로 조금씩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생은 없었다. 아동과 연계하여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우선적으로 유대관계형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아동들이 대상자에게 많은 것을 묻고 대답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상자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 었다. 뿐만 아니라 늘 몸이 불편하여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나약한 존재로만 여겨왔던 것이 이번 활동을 통해 비록 어린 아동이었지만 그들에게 자신들의 능력과 정력을 폰중받을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되었다. 노인들은 본능적으로 자식이나 젊은이에게 사랑을 베풀고 싶어 한다. 이러한 내리사랑을 배풀 수 없을 때에 노인들은 외로움을 느낀다. 이번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틀에게 잠시나마 그러한 내리사랑을 베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 것이 상당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194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의 발달, 그리고 지식에 대한 파지 효과를 추구할 수 있는 환경오염에 대한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의 2학년 인문반 4개 학급 13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학급, 통제집단 2학급을 설정하여 개발된 PBL 수업과 전통식 강의형 수업을 2주간 6차시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는 ‘환경에 대한 태도와 행동 검사지’, ‘환경에 대한 지식검사지’, ‘면담계획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BL 수업은 전통적인 강의 위주의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지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P<0.05). 반면 환경에 대한 지식 검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 위주의 수업이 PBL 수업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인터뷰 분석을 통해서 보았을 때 학생들은 PBL 수업 후 스스로 알아가는 학습능력이 신장되었고, 발표를 통해 자신감의 향상, 협동적인 학습태도 등이 향상되었다.
        1949.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는 경남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검사(TAI-K)를 실시하여 점수가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은 학생들 중 집단상담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TAI-K로 김문주(1991)가 TAI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개발한 초등학생용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시험불안 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95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eme-type self-harvest concept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as a relevant reference in planning and realizing urban-rural exchange facilities at the village leve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concept, to characterize the self-harvesters and organic farmers involved, to illustrate the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interaction and the possible constraints of the concept. What is more important, however, is to develop programs for consultants, organic farmers and green-minded consumers, to vitalize direct transaction. The proponents of selfharvest are convinced that this concept leads to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which will help to design a sustainable food supply system for small, medium and large cities.
        1951.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고 있는 G아동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2007월 10월 1일부터 2008년 2월 18일까지 주 1회 총 20회 실시하였다. 대상자 전체의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충동성 검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오류개수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공격성 검사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신체적 공격성과 우회적 공격성, 흥분성의 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95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차이가 지적 장애인의 정서와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꽃장식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다양한 실내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모두 2007년 7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23회 실시하였다. 꽃장식 프로그램 집단의 사회기술 평가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정서행동 평가결과 불안과 공격이 유의한 의미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중 중 부적응행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한 실내원예 프로그램 집단의 사회기술 평가 결과 5% 유의 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냈으며, 정서행동 평가 결과 불안, 우울, 자아개념이 유의한 의미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1% 유의 수준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적응행동 평가결과 중 부적응행동의 하위영역 중 공격, 반사회, 반항, 위축 항목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꽃장식 프로그램과 다양한 실내원예 프로그램은 사회기술, 적응행동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 하위항목 중 현실감 부재와 적응행동 중 대인관계 하위항목에서 다양한 실내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꽃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 집단보다 유의차(0.05)가 나타나게 향상 되었다. 두 집단 간 정서행동과 사회기술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실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현실감 부재 하위항목과 적응행동 중 하위항목 대인관계에서 프로그램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 프로그램에서 기대되는 효과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경험을 접함으로서 프로그램 간의 효과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195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정기간의 지속적인 학습프로그램 경험을 통해 그들의 가설지식 생성능력과 설명경향이 생물학자와 비교하여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규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4명과 생물학자 7인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경우,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주 1회씩 생물학 가설에 관련된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지식수용형 학습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다. 학습의 전과 후에 미리 제작된 생명현상에 관한 측정과제로 생성한 가설에 대한 설명경향과 가설생성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변화 없이 설명대상을 분할하지 않고 가설을 생성하며, 2)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에는 다차원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이나 비교집단은 그렇지 못했다. 3) 또한 실험집단은 사후에 현상적 설명자 뿐만 아니라 생물학자들처럼 이론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설명자의 유사도 역시 증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이 과학자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어갈 수 있고, 지식수용형 학습의 경험만으로는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 및 가설생성능력의 변화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195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이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 5세 유아에게 4주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유아 18명과 통제집단 유아 18명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난감 없는 프로그램 적용에 따라 놀이 상황에서 친사회적인 방법으로 상호작용하는 놀이상호작용 행동은 증가하고 놀이를 방해하는 행동은 감소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놀이를 거절하고 무시하는 등의 놀이 단절 행동에 대해서는 그 효과를 밝혀내지 못하였다.
        195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학교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적응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학교적응에 있어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을 위해 보다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규칙에는 잘 적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잠정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론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다음, 그 타당성을 확인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요구에 시의적절할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195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analyzing domestic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consisted of 3 fields - understanding, experiencing multifunctionality, and applying it to classroom,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3 expert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268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s were about motivation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 of program, and so 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