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5

        44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자고등학교 교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발냄새, 머리냄새, 쉰냄새, 땀냄새)와 대표악취물질(부티르산, 암모니아)에 대한 뇌파반응을 분석하였다. 냄새자극 시험은 30~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교실냄새와 대표악취물질의 자극에 대한 뇌파 지표들의 변화 경향은 측두엽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 악취물질의 측두엽에서 반응은 바탕뇌파대비 상대알파파를 0.04~0.13 감소시켰고, 상대베타파 0.02~0.06, 상대감마파를 0.03~0.09 증가시켰다. 교실냄새들과 두 악취물질들은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를 감소시켰고, 각성과 긴장 및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고베타파(18~30Hz)와 불안과 흥분상태를 나타내는 감마파(30~50Hz)를 활성화시켰다. 냄새물질들의 뇌 각성 및 자극정도는 머리냄새 > 부트르산 > 발냄새, 쉰냄새 > 암모니아> 땀냄새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실냄새가 과도한 각성이나 긴장을 유발하므로 수업 집중력이나 학습능력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44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안전한 사회 구축을 위한 4대악 척결과제 중 하나인 학교폭력에 대하여 가해학생의 실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발굴하여 이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수용중인 전체 소년수용자의 전산정보에 대한 전수분석을 하였으며, 이들에 대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부가하여 보완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소년수용자 중 120명이 학교폭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이들 외에도 소년수용자의 대부분이 학교폭력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정단계에서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소년수용자의 1/5정도가 학교폭력의 피해를 경험한 사실이 있었으며, 피해 시기는 중학교 재학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폭행피해 뿐 아니라 언어폭력 및 갈취, 강제적인 심부름 등 다양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었으나, 피해 후 적극적인 신고를 통한 해결보다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혼자 감당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가해경험의 경우에도 유사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전산 자료에 의한 기초조사와 설문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폭력에 관한 사실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사건 개요에 의하면 상당수가 성폭력을 동반한 경우가 많음에도 설문 응답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응답을 기피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교정시설은 형사절차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는 바, 소년수용자에 대한 교정의 적극적 개입은 당연한 요구일 것이다. 소년수용자에 대한 교정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을 통하여 출소 후 재범방지를 위한 교정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는 이유일 것이다.
        6,100원
        44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출신고등학교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과 소진감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지도 현장에서 학생 관리에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로서 383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었다. 첫째, 출신고교별 인지적 유연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일반고등학교 출신자에 비하여 인지적 유연성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구체적으로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다양성선호유연성과 복잡성선호유연성 모두 일반고등학교 출신자 보다 높았다. 둘째, 출신고교별 소진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예술고등학교 출신자가 일반고등학교 출신자에 비하 여 소진감을 적게 인지하였다.
        4,900원
        44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e aim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scrutinize a strength characteristic and ductility of the beam-column frame of reinforced with steel subjected to the cyclic lateral load. First and foremost, I the author embarks upon making four prototypes vis-à-vis this research. Through this endeavour, the author has analysed cyclic behavior, fracture shape,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of the normal beam-column frame and a beam-column frame of reinforced with steel. In addition, the survey has revealed the exact stress transfer path and the destructive mechanism in order to how much a beam-column frame of reinforced with steel has resistance to earthquake regarding all types of building, as well as school construction. To get the correct data, the author has compared the normal beam-column frame and three types of the beam-column frame of reinforced with steel following these works, the characteristic of cyclic behavior, destructive mechanism,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of normal beam-column frame and a beam-column frame of reinforced with steel have been examined clearly.
        4,200원
        44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상 야외 답사(VFT)는 전통적인 야외 답사의 매력적인 대안으로 간주되지만,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를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처치 사전 및 사후에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 처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과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공간 시각화 능력 향상 정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공간 시각화 능력의 세 가지 하부 범주 중 공간 조작 능력 향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범주에서 실험 집단의 화산 개념 이해 향상 정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나, 1개 범주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셋째, VFT 활용 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 간의 상관관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200원
        44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人性敎育에 대한 德目과 內容 體制는 시대의 요구와 가치 미래비 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와 내용을 현시점 과 미래 지향의 방향에서 재점검하고 시대에 적합한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교육체계도 8차 교육과정에서는 創意的 人性敎育이라는 융 합된 형태로 인성교육의 내용이 바뀌어 추진된다. 하지만 오늘의 인성 교육이 主知主義적 관점에서 실천적인 관점으로 기본취지가 변경되고, 실천 중심의 창의적 인성교육은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창의적 인성교육의 실천에 대한 고민이 광의적인 검토되고 확 장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성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을 위한 제반 노력들도 요구되고 있다. 예술교육은 창의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장점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이런 점에서 많은 예술관련 과목 들이 개설되었다. 하지만 書藝의 경우는 미술과목 자체속의 일부분인 현실이다. 서예가 교육현장에서 저 평가받고 있는 현실은 書藝 자체 와 서예를 둘러싸고 있는 제반 관계들에서 기인한다. 그간의 서예는 시대를 달리하면서 발전하고 변화하는 제반의 조건들과 무관하게 과 거의 시점들에 갇혀 지내온 것이 사실이다. 외연과 내용의 변화에도 둔감하게 반응하며, 修養論적 측면에서 인 성의 涵養이라는 구시대적 프레임으로 일관해온 측면이 강하다. 이러 한 상황에서 서예를 통한 창조성이나 인성의 함양을 제기 할 수 없 다. 따라서 독창성이나 유창성, 공동체성, 그리고 도덕적 판단력 등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지표들을 높일 수 있는 서예의 대안적 프로그램들의 개발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6,700원
        44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helping the high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by providing information on excellent physical education plans and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and limits of two different models. It proposes the possi
        4,300원
        44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3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like (47.2%)’, ‘fair (30.7%)’, and ‘dislike (22.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p<0.01).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seafood serving frequency, ‘1~2/week (44.9%)’, ‘3~4/week (33.7%)’, and ‘everyday (10.2%)’ were observed in that order. When the preference of favorite seafood was evaluated using a Likert scale (strongly like 5-points, strongly dislike 1-point), ‘crustacea (4.34)’, ‘mollusk (4.21)’, and ‘processed food (4.1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In terms of cooking methods for seafood, 5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grilling’ and ‘frying’ seafood compared to others (p<0.05). As for the occurrence of seafood leftovers, 4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ometimes’ than 5th grade students (p<0.001). As for certain desir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improvement of taste (39.3%)’, ‘various kinds of seafood (20.1%)’, and ‘variable cooking methods (18.5%)’ were observed in that ord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seafood, students should attempt to achieve proper intake though nutrition education.
        4,000원
        45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의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윤문작업을 거쳤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스크린 작업을 하였다. 본 조사는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총 842명(교정시설 589명, 소년원학교 253명)이 참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조정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총 691명(교정시설 505명, 소년원학교 186명)이 참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요인, 63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27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800원
        451.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gym teachers by measuring the levels and finding the major elements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provide reliable statistical and evaluative materials by which to maximize job satisfact
        4,600원
        452.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umbrella of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problems with it, to suggest feasible reform meas
        5,100원
        453.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 and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on after-school programs related with entering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performed in high schools, where after-school programs are not vitalized when compared with vitalized pr
        7,800원
        455.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by presenting an efficient operational direction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that could satisfy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an accurate i
        4,200원
        456.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를 대상으로 ‘介詞’에 대 한 서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고찰하여 학교 문법에서의 개사에 대한 정의와 문법의미범주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介詞는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이룰 수 없고 명사나 명사에 상당하는 단어나 구, 절의 앞이나 뒤에 놓여 介詞句(介詞構造)를 구성하여 중심서술어의 앞 또는 뒤에 서 수식하거나 보충해주는 부사어나 보어의 기능을 하며, 서술어와의 관계에 따라 時間, 場所, 原因, 方式(道具방식, 身分방식, 手段방식), 對象(處置대상, 人物대 상, 比較대상), 行爲者(共同행위자, 被動文행위자) 등을 나타내는 동사 혹은 접속 사와는 구별되는 虛詞 중 독립된 品詞라 할 수 있다. 개사의 정의와 문법의미 분류는 한문독해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문장 구조 관 계를 통한 의미파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용어에 치중하거나 자세히 분류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예시문은 명시적이고 규범적인 것을 제시하 여 해석을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지 문법학습을 위한 문법교수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7,700원
        457.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survey of 1,030 students, 55.9% of the total respondents stated that traditional Korean food is 'Korean food that uses unique Korean recipes' (p<0.001). In terms of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 mo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ass media was the biggest influence, while elementary students said that their parents were the most pervasive influenc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food served in school, 13 menus had the highest popular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000원
        45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에 는 학교숲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다른 학교와 그 주변 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인 학교는 교내외 에 학교숲이 있었다. 생명의숲·유한킴벌리·산림청의 주도 로 1999년부터 학교숲운동이 펼쳐져 2011년까지 957개교 (전체 학교 수 11,510개교)의 학교숲을 조성하였다. 한국에서 학교녹화를 둘러싼 운동으로는 「학교숲 운동」, 「학교녹화 사업」, 「학교공원화 사업」, 「녹색학교」라는 이름 으로 진행되어졌다. (사) 생명의 숲의 「학교숲 운동」, 서울 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경기도의 「학교숲 조성 사업」, 인 천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교육부의 「녹색학교(Green School)」, 서울시 교육청의 「친환경 학교 숲 조성 사업」등 이 있다. 일본에서는 (사)국토녹화 추진기구1)의 「학교림 (学校林)운동」, (재)일본생태계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학교비오톱 운동」, (NPO법인) 학교숲의 「학교숲(学校の 森)운동」등과 유사하다. 일본의 학교림은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발족과 함께 걸어 온 긴 역사가 있다. 근대적인 학교가 들어서면서 학교건축 비용의 부담을 안게 된 지역사회가 향후의 학교운영을 고려 하여 기본 재산으로서 확보한 삼림이 학교림의 출발이 된 것이다. 메이지(明治)시대의 학교림은 지역의 교육력을 구 체화한 존재였다. 한편, 문교행정의 측면에서는 1895년에 방일한 미국의 노스롭 히로시(博士)가 식목일 (ArborDay) 을 전하였고, 이것이 문교부차관명으로 일선 학교로 전달되 었다. 학교림을 둘러싼 역사는 재산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 을 하고 있으며 임야(산림)행정과 문교행정에서 관리되어 져왔다. 학교림은 학교의 기본 재산 역할과 교육 시설로서 아동·학생의 교육활동에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1906년에 는 학교림이 2023교에 걸쳐 면적이 약5000ha에 이르면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사)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는 1950년 부터 학교림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5년마다 전국 학교림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림은 1974년도에는 5256 개교 면적28665ha, 2001년도 3312개교, 면적 약2만ha로 감소하고 있다. 2006년 조사에는 3057개교 20105ha로 나 타났으며 그중, 학교림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는 약 25%, 1183교에 머물고 있다. 전일본 학교환경녹화 콩쿠르 는 1974년부터 시작하였고 있다. 학교림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와 학교림의 거리인데 1km 이상 인 학교가 73%이다. 학교림의 위치가 교외에 있는 것이 90%가 넘고 있다. 지역별로 학교림의 면적이 차이가 있다. 홋카이도를 비롯하여 농촌과 산촌이 많은 현들이 학교림의 면적이 넓다. 목재수입과 목재소비량의 감소로 인한 삼림·임업을 둘러 싼 상황변화는 학교림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목재가격의 저하로 일본 임업은 위축되어지고 학교림은 학교와 지역사 회에 역할을 해온 재산 가치는 크게 감소되었다. 재산가치 의 저하로 인하여 벌채나 관리가 부실하고 식재→관리→벌 채→재식재 라는 순환 고리가 끊어지고 있으며 신규 식재 활동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와는 별도로 교육적 역할은 다른 움직임이 생겨났다. 지구환경위기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산림환경 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에 새롭게 평가되고 있다. 학교림 의 경제적 가치로는 토지·입목(立木)의 소유 관계와 경제 수종 (대부분 침엽수 조림지)이였지만 자연인가 아닌가가 문제되었지만, 산림환경교육의 장으로서는 다양한 생물 관 찰이 가능한 활엽수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학교림 조성과 활 용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교육적 활용을 최우선으로 한다. (2)교육적 활용에서 도 환경교육 이용이 제일 많다 (3)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으 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4)학교림의 소유는 국가, 도도부 현(都道府縣), 시읍면, 개인등 다양하며 시대의 요청에 따 라 소유로부터 이용을 우선한다. 최근에는 임야청에서는 「놀이 숲」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데 학교림 또한 이사업에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국유림에 있어서의 새로운 제도인 「유우(遊)들의 숲j에 대해서, 새로운 학교림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2년부터 시작된 「놀이 숲」 사업의 특징은 (1)교육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 단체와 협정을 맺고, (2) 그 활동을 위해 서 국유림을 제공하며 (3)토지나 식목에 관한 권리는 상대 에게 일체 이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림환경교육 실시 를 희망하는 단체(학교, 시읍면, 교육청, NPO법인)들이 소 유와 관계없이 삼림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놀이 숲」사업 은 2006년 현재 학교림도 8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시대적인 변화로 인하여 학교림은 소유에서 활용으로 의미가 변경되고 있으며 교육과 삼림이 새로운 관계 구축 을 위한 현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 과 가치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다.
        45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심에서는 실내 입시위주 교육과 주변의 녹지 환경 부족 으로 인해 학생들의 체력 저하, 개인주의 성향, 환경적 무관 심의 문제가 팽배하고, 특히 아토피와 같은 면역 질환이 증 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건강 증진・정신적 안정・ 환경 의식 함양 등의 효과가 있는 숲 교육의 중요성을 실감 하고 있다. 숲에서의 교육과 관련하여는 1890년대에 독일 을 중심으로 아동의 결핵 예방을 위해 open air school 운동 이 일어나고 이는 유럽 각국과 미국 및 일본에 영향을 주었 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에 여름방학 기간 중 일정기 간동안 임간학교, 임간교실을 시행하였다. 또한 1950년대 스웨덴의 숲그룹, 덴마크의 숲유치원을 시작으로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숲으로 나가 체험교육을 진행하는 숲유치원이 일어났으며, 해외에서는 forest school, forest kindergarten, waldkindergärten와 같은 용어로 퍼져나갔고, 우리나라에 는 2000년대부터 숲유치원의 용어로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숲유치원이 발달하면서 유아 뿐 아닌 초등학생, 중고등학 생, 성인까지 연령의 폭이 넓어진 숲학교가 생겨났다. 국내 의 논문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숲유치원의 사례와 효과에 대하여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전 연령대를 대 상으로 하는 숲학교에 관한 논문은 미흡한 현실이다. 때문 에 본 논문은 모든 연령을 대상으로 숲을 교육공간으로 활 용하는 교육시스템인 국내 숲학교 사례를 조사하고, 해외 사례를 통해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임간학교, 숲유치원, 숲학교와 관련하여 논문, 신문기사 및 웹페이지 자료를 통해 각각의 정의・효 시・사례에 대해 고찰하며, 본 논문에서 사용될 숲학교의 의미를 정하고, 국내 숲학교 현황을 파악하여 운영주체(공 공기관/민간), 교육 대상(아동/청소년/성인), 운영방식별(매 일형/체험형)로 분류하고 각각의 대표 사례와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한다. 자료를 통해 도출한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국내외 논문 을 통해 임간학교・숲유치원의 근간에 open air school 운 동과 Friuluftsfrämjandet 운동의 영향이 있었으며 모두 ‘자 유로운 공기를 지원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같은 근간 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며, 임간학교는 일정기간동안 막사 와 같은 임시시설이나 캠프할 수 있는 장소를 갖춘 지역에 서 교육을 시행하다가 점차 영구적인 시설물의 형태가 나타 났고, 숲유치원의 경우 어떤 날씨에든 숲 교육에 적합한 장 소로 찾아가 교육을 진행하는 특성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임간학교는 일본의 영향으로 들어오게 된 한자어의 용어로 추정되어 순수 우리말로는 숲학교, 숲속학교와 같은 용어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현 국내 사례 조사로는 공공기관은 대부분 체험형으로 월1-2회, 주1-2회, 2박3일 또는 그 외 단발성 참여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유 아를 대상으로 주5회의 매일형이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 체 험형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기관에서 체험형으로 숲학교를 진행하는 이유로는 도심에 서 벗어난 지역이어서 지속적이지 못한 점을 가능성으로 들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자연물을 이용한 만들기에 대한 프로그램이 많다면 해외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보다 전문적인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사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숲학교 프로그램이 단발성보다는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대상별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논문은 숲학교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을 목적으로 국내외 숲학교 사례 연구를 진행한 점에 의의 가 있으며, 한계점으로는 민간에서 시행하는 경우 그 현황 을 모두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각 분류에 대한 프로 그램의 비교나 유형 분류가 자세히 진행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앞으로 민간에 보다 쉽게 보급이 가능하 도록 대상별 프로그램을 유형화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r analysis in words and pictures of students who are educated about music appreciation with smart devices. 109 male and female students at G-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has been tested. There are two classes. One is Game Class these students has played music game, and the other is Listening Class these students has just listened the music. The words and pictures of two class students after their own class are compared. The students of Game Class has expressed creatively. In case of the pictures about “Symphonie No. 9 ‘Z nového svĕta’ Op. 95”, most students of Listening Class draw only sharks because of the music used at CF of the shark model ice-cream, but most students of Game Class draw a lot of types: battles,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etc… As a result, creative expression is expected to the students who are educated with smart devices in regular school class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