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sports involvement and delinquency of youth, showed the role and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nd provided data for establishing sports activity programs to lessen delinquency. Sports involvement was classified into behavioral, affective and cognitive involvement and delinquency into public order, property, position, relationship and seclusion to examin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ports and delinquency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and to what extent Participation in Sports may influence in deterring delinquency. Research was conducted on 602 urban and rura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questionnaire survey from papers (Koo, Changmo(1991), Kwon, Soonyong(1992), Ryu Inwon(2003), Oh, Yonghwan(1998), Lee,Yongsoon(2002)) were referred to and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through SPSS program by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ra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rom the demographical aspect of sports involvement definitional aspect showed the highest involvement followed by cognitive and active aspects. In detail, boys than girls, junior-high than high schools, and urban than rural residents demonstrated greater participation in sports. Upper class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involvement than in middle or low class, and students with parents who supported sports participation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ports than those without. Most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ed in sports whose parents had administrative occupation and least of those with specialized professions. Second, from the demographical aspect delinquency of posi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at of public order, relationship, seclusion, and property. Boys showed higher level of delinquency especially in public order and position level. Compared to junior-high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linquency in all aspects, and rural residents appeared to be more delinquent than urban residents. The lower the living standard gets, the more it was likely for the students to be delinquent. Students with parents who opposed to sports involvement showed higher level of delinquency than students with those who agreed, and greatest level of delinquency showed on the students whose parents were unemployed and lowest level on the students whose parents had administrative occupation. Third, affective involvement aspect of participation in sports with mostly favorable effects had greatest influences on delinquency level bringing self-esteem for the youth, then followed the behavioral involvement and cognitive involvement. In detail, delinquencies of public order, position, property and seclusion were influenced mostly by affective involvement followed by the behavioral involvement and least by cognitive involvement. Whereas delinquency of relationship was mostly influenced by affective involvement followed by cognitive involvement and least by behavioral involvement. Collective results show that demographical aspects and participation in sports have influences on the delinquency level and that participation in spor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ring and lessen delin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on of classes on selectiv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operation of such subjects by understanding the degrees of high school students' recogn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new sporting events, which could be intriguing for school children and boost their class participation, into P.E. instruction in an effort to further their attitude, interest and basic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Reducing the logistic cost may be accomplished by numbers of logistic management methods, but the most fundamental and essential one is the accomplishment of the consistent reverse logistics system that is the core of worker performance system, and the purpose of consistent reverse system is the treatment of logistic functions such as transportation, storage and unloading with consistent logistics, and increasing the turnover ratio i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s the turnover ratios is increased, this paper make reverse work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ith lifetime value include of weight variable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n the menu of school foodservi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establish subdivided menu developing direction.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637 high school students(435 males and 202 females, 5 direct type schools and 5 trust type schools) in Gyeongju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preferred school foodservice menu of subjects was 'seasoned roast chicken', 'steamed pork rib', 'beef rib soup', 'yogurt', 'sandwiches', '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boiled rice', 'watermelon', 'spaghetti' in that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spinach soybean soup', 'steamed Mideodeok', 'boiled lotus root', 'roasted sweetpotato stalk', 'chopped and seasoned cucumber' was very low. Males favoured rice and meats, while females liked better noodles and vegetables. Direct type foodservice students' preference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ype foodservice students in side dish menu categories. The preferred and satisfied menu of subjects was meats and sweet foods, and but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vegetables and tough foods was very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and to assess student's nutrient consump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food habits, food attitudes, and food consump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50 students enrolled in 34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s. A final response rate was 88.2% (3,570) excluding responses that had significant missing data. Data of the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2-test, and t-test using SPSS WIN(ver.11.0).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was converted into nutrient consumption using conversion factor. Man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kipped breakfast and/or dinner. Approximately 29% of the students did not eat vegetables and fruits. Scor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19.1) towards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18.7)(p〈.001). Student's nutrient intak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with DRIs(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their age groups. The result of EAR(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cut-point method demonstrated 57.7% of middle school boys, 64.4% of middle school girls, 70.2% of high school boys, and 71.0%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meet EAR for Calcium. Additionally, it showed that 39.0% of middle school boys, 23.7% of middle school girls, 58.4% of high school boys, and 24.4%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consume EAR for Vitamin B1. 25.7% of middle school boys did not meet EAR for Vitamin B2, while 44.4% high school boys did not satisfy EAR for Vitamin B2.
The purpose of the study w3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 For the investigation, 373 fifth-grad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Incheon and Gangwhado were surveyed by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0.0 program. As for the frequency to take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bab and kimchi are taken almost everyday, and gug, jjigae, jorim, gui, namul are taken frequently. And juk, jeongol, jeon, sanjeog, jutgal, hangwa and umryo were shown to be taken occas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by the residence and the gender. The students in urban area take hinbab, jabgokbab, hobakjuk deonjanggug, sangsunjorim, jangiorim more frequently than the students in rural area. The students in rural area take mandu, kuksoo, yeongunjorim and kongiorim more frequently than the students in urban area Female students take sangsunjorim, jangiorim, sangsungui, bulgogi, sangsunjeon, hobakjeon, sukchae, jutgal and oiji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Most of the schoolchildren answered that in the future they would like to take the traditional foods more frequently than now.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y the gender. As for the food such as bibimbab, gug, jjigae, jeon, namul and jang-aji, female students responded to take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The 39.1% of them responded that the taste is the point to be most improved in the fut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y gender and the residence In order to make the taste of traditional food more attractive to modem people, the 37.8% of them replied it does not need to change the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However, similar percentage of the schoolchildren(35.7%) answered it is needed to change partly the traditional preparation method. As for the effect of traditional foods on health, the 68.4% of schoolchildren thought that the our traditional foods are healthier than western foods.
이 연구는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46명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개념 변화를 면담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전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달의 위상 개념에 대한 오개념 유형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는 S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거나 관측자가 햇빛을 반사하는 달의 부분을 보기 때문이라는 과학 개념을 함께 가지는 SR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거나 주위 배경의 밝기에 따라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SB 유형,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경우로써 각 위치의 달의 위상을 설명하는 SRB 유형이 있었다.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로는 수업 전 오개념을 가지고 있던 36명 중 26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한 반면, 수업 후에도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한 학생이 10명이었다. S 유형 11명 중 7명이, SR 유형 17명 중 3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특히 S 유형의 학생들은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의 위상이 변할 것이라는 기존 개념을 쉽게 바꾸지 못하였는데, 이는 그들의 선개념이 너무 견고하였거나, 제공한 모듈에서 제시하는 위상 결정 방법이 그 학생들에게는 선개념 체계보다 문제 해결에 있어 보다 유익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학생들의 선개념은 수업에 의해 쉽게 과학 개념으로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대해서 어떠한 지향을 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과학 교사 6명이다. 자료 수집은 수업 관찰 및 녹화, 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우선순위 면담, 수업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과학 교사들은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해 '관리 중심 과학 수업'에서부터 '전통적 과학 수업'까지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은 지향하지 못하였다. 지향하는 바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한명의 교사는 전문 단계의 실행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교사들은 초보 단계의 실행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교사들에게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한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 반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지각 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협동 학습이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협동 학습 모둠은 학습 능력이 이질적으로 되도록 4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약 10주간의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전 후 동일한 검사지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후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 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 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 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견으로는 협동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과 공부에 더 도움이 되고,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며, 학생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의 좋은 점이 있으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소란스러움을 유발시키고, 모둠 내 협동하는데 의견 충돌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 교육을 통하여 과학을 공부하는 10학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지구계 교육은 과학 교과 간 구분을 완화하고 조화로운 교수-학습을 이루어감으로써 올바른 자연관과 인간관 육성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 중 '화산 폭발과 기후 변화(Volcanic Eruptions and Global Climate Change)'라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7차 교육 과정의 '과학' 교과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과학에 대한 인식(p=0.003), 과학에 대한 흥미(p〈0.001), 과학적 태도(p〈0.001) 등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있어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학업 성취도면에서는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 수업을 진행한 통제 집단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p=0.038).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진지한 태도로 수업에 임했으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과에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 고양 및 과학적 소질과 올바른 자연관 신장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주의산만,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정으로 하는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초 · 중 · 고교생 각각에 대한 주의력결핍 · 과잉 행동과 시지각능력 요소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지역 초 · 중 · 고교생 1 , 177명을 대상으로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시지각능력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은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빚 독서시 불편한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초등학생 r = 0.347 p < 0.0001, 중학생 r = 0.458 p < 0.0001, 고등학생 r = 0.495 p < 0.0001), 시지각영역 II(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입체감)와도 유의한 상관 성 을 보였다(초등학생 r = 0.380 p < 0.0001, 중학생 r = 0.571 p < 0.0001, 고등학생 r= 0.514 p < 0.0001).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은 능력, 입체감)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초등학생 0.752 p < 0.0001, 고등학생 r = 0.735 p < 0.0001).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이 모두 정상인 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초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중학생은 광과민성, 고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및 입체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서능력의 정상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주의력영역이 초 o 중 · 고등학생 모두 한 차이가 있었고, 독서시 불편을 느끼는 군과 정상군 사이에서도 주의력영역이 중 · 고등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의력결핍 · 과영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 사이에 상관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지각능력의 개선 및 임상치료가 주의 력결핍 · 과잉행동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독서능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