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79

        48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짝짓기는 흔히 떨어져 있는 암컷과 수컷이 서로 만나는 과정과 이들이 구애행동을 통해 생식세포의 결합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나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에 작용하는 의사소통을 각각 원거리, 근거리 의사소통이 라 한다. 의사소통을 할 때 크게 빛, 소리, 화학 신호가 사용된다. 드물게 물리 신호도 사용될 수 있다. 빛이나 소리 신호를 이용할 때 주로 수컷이 신호자이고, 암컷은 수신자이다. 이에 비해 화학 신호를 이용할 경우 암컷이 신호자, 수컷이 수신자이다. 원거리 의사소통을 할 때 수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과장되고, 반복적이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은밀하며,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짝짓기 의사소통 때 암컷과 수컷이 신호의 과장이나 사용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성선택의 결과이다
        48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5℃에서 탈출성공률이 높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구속 그물망의 규격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8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self-efficacy for sodium intake reduction and dietary behaviors by eating areas. Subjects (797 males and 767 fema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erceived dietary habit levels related to sodium intake (lowest: ≤10 (n=434), low: 11~≤13 (n=471), high: 14~≤15 (n=360), highest: 16≤ (n=299)) using an online survey with a sample that was geographically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The highest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and had a higher student proportion than the lowest group. Dining contexts regarding home led to a significantly higher sodium intake in the highest group, but it was eating out for the lowest group. The highest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ention to reduce sodium intake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In the home cooked meals, the highest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ly lower cooking frequency, less effort with respect to a low sodium diet and cooking habits related to sodium intake as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Also, regarding eating out and food service, the highes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efforts and dietary behaviors to reduce sodium intake than the lowest group. The dietary score for sodium reduction behavior in the highes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for home cooked meals, eating out, as well as food service. Thus, dietary guidelin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eating area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4,000원
        48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beverage usage behavior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rea. Group 1, named ‘health & safety seeking’ group, consists of high percentage of women in their 40s, as well as a high percentage of high income and highly educated. Group 2, was group of ‘high interest in dietary life’, consists of a high percentage of women in their 30s, highly educated, earned 3~5 million won. Group 3, named ‘convenience seeking’ group, had a high percentage of men and of those in their 20s who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In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groups in terms of their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s the usage of beverage specialty shop,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the number of visit beverage specialty shops, the intention to spend higher average expenditure per visit per person,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of beverage specialty sho
        4,300원
        485.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ees’ trust, perceived support from superi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s of locus of control. Using the Amos program, this study test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five hypotheses based on empirical data from 233 employee samples in coffee sho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ositive consideration and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employees’ level of trust toward superiors and perceived support from superiors.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promo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Lastly,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showed that a lower level of extrinsic control and higher level of intrinsic control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eater receptiveness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indings in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significant factors of employee effectiveness influenc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coffee shop industr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000원
        486.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isually impaired people's clothing behavior,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e results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to make an instrument that can measur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visually impaired people's clothing needs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relationship contexts. This study was mad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ith grade-1 visual impairmen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en purchasing clothing, they were accompanied by trusted people, and chose trusted brands and trusted products. They spent as little time as possible, did not try on many clothes, and they preferred colors, designs, and purchase methods that carried as low a risk as possible. Second, they wanted basic product information and simple procedures when purchasing and using clothing products. Third, they were able to manage their own clothes themselves. However, there was insufficient laundry information available. Fourth, the main reason why visually impaired people took care of their appearance was that they wanted to look neat and clean to be respected by oth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clothing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welfare and thus ensure visually impaired people’s independence.
        4,500원
        48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n self-satisfaction of shopping tendenci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go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from 20 to years old with a high pusrchasing capability for luxury goods.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1.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or shopping tendency depending on ages, pleasure pursuit tendency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in 40~50s,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20~30s. For the self-satisfacti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howed the difference by age group, which was much higher in the respondents in 30~50s than those in 20s. Individuality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20s. Pleasure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pleasure pursuit tendency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in 30s. Pleasure pursuit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economic satisfaction and rational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40s. Pleasure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5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economic satisfaction and practicalit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2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3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4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all elements of self-satisfaction for the respondents in 50s, practicality had negative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4,900원
        48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에 재도입 방사된 꽃사슴(n=6)(외래도입종)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2년 4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수행되었다. 분석된 꽃사슴(Cervus nippon)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포획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1,385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고도 등 서식지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에 재도입된 꽃사슴의 연구결과, 전체 행동권은 MCP 95% 2.24±1.50㎢ (t=3.648, p<0.05), 핵심구역인 FK 50%에서 0.46±0.31㎢(t=3.666, p<0.05)로 나타났다. 암·수 연간 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53㎢, 수컷은 2.94㎢로 분석되었다. 꽃사슴의 서식지 이용 중 고도 400~500m, 경사도 30°~35°, 향 S(남향)를 평균적으로 이용하였고, 도로와의 거리는 0~100m, 수계와의 거리는 0~50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외래도입종 꽃사슴에 대한 서식지 관리 정책 및 생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8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커피를 마시는 대학생들이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여 커피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69개의 진술문을 도출해냈다. 이후 다차원 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개념도분석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의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커피 음용 행동의 의미에 대한 구성 요인으로 7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각 군집은 ‘개인이 원하는 신체적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사교 활동의 수단’,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한 방법’,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 ‘습관적 음용 및 카페인의 효과 이용’, ‘커피만의 다양한 특성과 매력을 즐김’, ‘커피의 도시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선호’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군집을 분류하는 두 가지 차원을 알아본 결과, 커피 내적고려-커피 외적고려 차원과 정서적 요인-물리적 요인의 두 차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군집별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이 커피음용의 행동의 의미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공간 활용 및 사적인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음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4,900원
        49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Chinese tourists’ perceptions of beauty products and their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ve on beauty tourism, particularly on Chinese tourists’ intent to purchase, re-purchase, and recommend beauty products. Between the 10th and 21st of June, 2016, a total of 27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Busan, and Daegu using SPSS 21.0. Cronbach’s α was undertaken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and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factors, t-test, and Sobel test used in the study. Korean beauty was derived from two factors: “product favorability” and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Product favor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purchase, as did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Re-purchases and the intent to recommend beauty products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beauty products and the intent to purchase, the study revealed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the participan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on product favorability and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that product favora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Tourist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d complete mediation on the effect that product excellence and credibility had on the intent to re-purchase and recommend. According to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t, the difference between buying and selling beauty depends on the difference between purchase and intentions. Friendliness toward Korean culture has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thanks to product superiority and reliability.
        5,400원
        49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The subjects were 275 students (127 male, 148 female) in Incheon metropolitan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etric data,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ubjects (9.4) compared to male subjects (8.2) (p<0.01). Male subjects had a higher score for dietary attitudes than female subjects (p<0.001). Frequency of mea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ubjects compared to female subjects (p<0.05). Duration of meal time in male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5-10 minutes’) compared to female subjects (p<0.001). Unbalanced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ubjects (66.3%) compared to male subjects (48.9%) (p<0.01). Male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dairy’ (p<0.001) and ‘beans’ (p<0.001) compared to female subjects. For snack consumption, male subjects showed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nuts’ (p<0.001), ‘soda’ (p<0.05), ‘fast foods’ (p<0.001), and ‘ramyeon’ (p<0.01), but lower consumption frequency of ‘biscuits and bakery’ (p<0.01) compared to female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4,000원
        49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조직은 급속한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 며, 조직구성원은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조직 환경에서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 방향을 경쟁 조직보다 먼저 예측하고 변화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조직은 조직 내 핵심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은 조직구성원이다. 지속적인 변화를 강요 받는 시대에서 조직구성원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현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직무특성, 조직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기반으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불러일으키 는 두 가지 요인에 집중한다. 첫째,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 자기 스스로에게 영향 력을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 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조직이 자원을 할당하거나 조직구성원에게 분배하는 과정상의 의사결정이 얼 마나 공정한가에 대한 구성원의 지각인 절차공정성에 의해 혁신행동이 유발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이 어떤 양상으로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개인적 특성과 공정성의 상호 작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가 불일치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쟁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셀프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셀프리더십이 높은 조직구성원이 낮은 조직구성원보다 혁신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절 차공정성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조직의 절차공정성이 높다고 지각한 구성원이 그렇지 않은 조직구성원에 비해서 더 많은 혁신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 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은 혁신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셀프리더십과 절차공정성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시너지의 효과를 내기보다는 서로간의 효과를 보완 및 대체하는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미 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49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 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기업들이 처한 공정성, 혁신, 일탈행동 이슈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 요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후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 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 기업 북경, 상해, 절강성, 강수성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 업유형은 국유기업, 사업기관, 민간기업, 외자기업/중외합자기업 등이다. 총 42개 기업에서 응답한 305부의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대인관계공정 성은 직장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고 있었지만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 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장내 일탈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 다. 둘째, 정보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심리적 주인의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며,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를 통해 중국기업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중요한 선행변 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 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의미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5,400원
        494.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on self regulations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trouble adjusting to school life due to emotional problems, matter of behaviors, hyper activities, peer problems and prosocial behavior(Sociotropy). The experimental unit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8 students aged between 8 and 13, both male and female, who satisfied the criterion of Strengths and Difficulties, the preliminary test, reported by each class teacher. The unit was treated by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divided into 2 groups by grade each made up of 4 subjects in the lower grades and the higher grades. The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and each was run for 45 minutes with 4 therapy dogs throughout 10 weeks. The data was analyzed with Wilcoxon's signed ranks test on SPSS 20.0 and in brief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nimal Assisted Intervention on Self Regulation improvement program was verifi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 regulations and Strengths and Difficulties that reflects behavioral problems
        5,400원
        49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절차적 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하는 한편, 개인의 문화적 성향인 권력거리 성향과 개인주의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 의 관계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6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32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절차적 공정성은 조직몰입과 조직 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권력거리성향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개인주의는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조 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권력거리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이 높은 구성원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 해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몰입으로 보답하였다. 한편, 개인주의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은 높은 구성원 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시민행동으로 보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조직이 절차적으로 공정하다면 채용, 승진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권력거 리성향이 낮고 개인주의가 낮은 구성원들을 우선시하는 것이 조직에 더욱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5,700원
        496.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published since 1990 on the effects of music on the behavior of animal like as pet music therapy. Music has many positive effects in reducing anxiety and stress before and after procedures in medical settings, and can influence a person’s feelings. Research involving music suggests animals may be similarly affected; classical music induced more relaxed and desirable behaviors in dogs housed in shelters, compared to other music. The healing power of music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people. Now a handful of harpists throughout the country are harnessing that power for animals. Classical music resulted in dogs spending more of their time resting than any of the other experimental conditions of auditory stimulation. This type of music also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arking. Research suggests that calming music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humans, resulting in diminished agitation, improved mood and lower levels of stress. Although the specific effect of classical music on animals remains unknow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as in humans, have a calming influence
        5,500원
        49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을 직무측면과 심리측면에서 살펴보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직무설계 측면에서 자기주도직무설계 행위와 심리적 상태요인으로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았다. 테일러리즘에 기반을 둔 전통적 직무설계방식은 작업장의 물리적 효율을 극대화하였지만 작업자의 심리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였고, 이를 비판하면서, 1970년대 말, 작업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조한 직무특성이론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두 종류의 직무설계 방식 모두가 조직으로부터 개인으로의 탑다운 (top-down) 방식의 직무설계이어서, 최근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직무열의로 대표되는 작업자의 내재적 동 기부여 강화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에 개인이 보유한 역량을 독립적이면서도 자유롭게 자신의 직무와 적합하게 변형시켜 스스로 내재적 동기부여 되는 자기주도직무설계 행위가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작업자 스스로 자신의 역량과 여건에 적합하도록 주어진 직무를 변형시켜나가는 행위인 자 기주도직무설계 행위가 작업자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높아진 직무열의로 인해 작업자가 더욱 더 적극적 으로 혁신행동을 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의 실증연구를 위해, 국내 대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223 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구조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예상한 바와 같이 자기주도직무설계는 직무열의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혁신 행동에 강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자기주도직무설계와 혁신행동 간 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혁신행동에 대한 자기 주도직무설계의 직접효과가 지지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자기주도직무설계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 자 기결정이론에서 강조되는 내적동기부여 효과가 현실에서 매우 크다는 것을 입증한다.
        6,400원
        498.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 인력의 경쟁가치기반 간호인력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 인력 5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 행동 중 자발적 참여에 대한 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계 지향적, 혁신 지향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직 무수행능력을 높일수록 자발적 조직시민의 참여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행동 중 이 타적 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계 지향적, 위계 지향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직무의 중요성과 수행능력, 영향력을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시민행동 중 상호촉진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위계 지 향적, 혁신 지향적, 과업 지향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직무 중요성과 직무 수행력, 자기결정력을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간호 인력에서 조직 공동목표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조직 내 관 계적, 혁신적, 위계적, 과업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와 더불어 이들 경쟁 가치기반의 조직문화가 정착될 때 직무몰입과 동시조직 시민 행동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높일 수 있는 기제임을 시사해주었다.
        6,600원
        499.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본 집약적 환경에서 지식 집약적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많은 기업들은 무형의 자본에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중심의 경제 네트워크인 사회적 자본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조직의 무형 자본이 진정으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자원이라면 조직 내의 사회적 자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밝힐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 대부분이 조직의 보유자원이 성과에 영향을 준다 는 것에 관해서는 공통된 의견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회적 자본이 어떻게 성과로 연계되는지에 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이 성과로 연결되는 경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 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관한 운영 프로세스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차원들인 구조적 차원(예; 유대강도), 인지적 차원(예; 공유된 가치 및 규범), 관계적 차원(예; 구성원들 간의 신뢰) 간의 인과적 관계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 협력행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소 제조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공변량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차원이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 중 인지적 차원 역시 관계적 차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차원, 인지적 차원, 관계적 차원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직무만족은 협력 행동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자본 3가지 차원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 내 구성원들의 긍정적 인 행동인 협력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500원
        500.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지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 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인과관계, 사회지능의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부산·울산지역에 소재하는 물리치 료사 209명으로부터 획득하였으며, Smart PL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지능은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지능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인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자신의 의해 주도되는 변화 행동에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직무열의 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는 사회지능과 역할 내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이 양자 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회지능과 역할 외 수행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능이 역할 내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사회지능을 조직행동분야로 확대하여 사회지 능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구성원의 직무수행을 촉진하는데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