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3

        561.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whether S-(-)-10,11-dihydroxyfarnesic acid methyl ester (DHFAME) produced by Beauveria bassiana CS1029 potentially causes acute skin irritation as a cosmetic ingredient, a skin toxicity test was conducted as recommended for compliance with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gulations.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treated with 100 mg/dose of DHFAME according to standard guidelines. No significant skin lesions or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DHFAME-treated group. Furthermore, DHFAME did not appear to cause skin irritation, as assessed by clinical observation of the rabbits. Thus, when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DHFAME is a promising potential cosmetic ingredient that does not irritate the skin.
        3,000원
        562.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RNAs (miRNAs) are approximately 22 nucleotides of small noncoding RNAs that control gene express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through translational inhibition and destabilization of their target mRNAs. The miRNAs are phylogenetically conserved and have been shown to be instrumental in a wide variety of ke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cycle regulation, apoptosis, metabolism, imprinting, and differentiation. Recently, a paper has shown that expression of the miRNA-302/367 cluster expressed abundantly in mouse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can directly reprogram mouse and human somatic cells 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efficiently in the absence of any of the four factors, Oct4, Sox2, c-Myc, and Klf4. To apply this efficient method to porcine, we analyzed porcine genomic sequence containing predicted porcine miRNA-302/367 cluster through ENSEMBL database, generated a non-replicative episomal vector system including miRNA-302/367 cluster originated from porcine embryonic fibro-blasts (PEF), and tried to make porcine iPSCs by transfection of the miRNA-302/367 cluster. Colonies expressing EGFP and forming compact shape were found, but they were not established as iPSC lines. Our data in this study show that pig miRNA-302/367 cluster could not satisfy requirement of PEF reprogramming conditions for pluripotency. To make pig iPSC lines by miRNA, further studies on the role of miRNAs in pluripotency and new trials of transfection with conventional reprogramming factors are needed.
        4,000원
        56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56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에서는 2002년부터 화산성 지진활동의 증가, 정밀 수준측량 관측을 통한 지표면 팽창, 특정 화산가스 방출량의 증가, 온천수의 온도 증가 등 화산 전조활동이 활발해짐으로써 나타나는 전조현상들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관측결과 중 정밀 수준측량 데이터를 활용한 백두산 천지 칼데라 주변의 수직, 수평 지표변위 경향 분석을 통해 2002년 이후 2009년까지 지표가 팽창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백두산 지하 마그마 챔버의 부피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2010년을 기점으로 지표가 수축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이후 다시 팽창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측 사면에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칼데라 외륜산 일대의 지표면이 46.33 mm 융기 팽창한 것을 바탕으로 지하 마그마 챔버의 부피 변화량을 계산해 보면, 약 0.008 km3 (7.7-8.0×106m3)의 부피가 증가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백두산 산정부로부터 지하 약 5 km 지점에 천처 마그마 챔버가 형성되고 0.008 km3의 마그마가 주입된 것으로 해석된다.
        4,000원
        56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라산은 제주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정상 1,950m 해발 고에 따른 식생대의 수직적 발달이 뚜렷하여 생물학적 ․ 생 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발고에 따라 여러 기 후대의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는데, 저지대에는 종가시나무 와 비자나무, 동백나무, 너도밤나무 등으로 구성된 상록활 엽수림, 상부엔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왕벚나무 자생지와 같은 낙엽활엽수림대와 구상나무와 같은 침엽수 림대가 출현한다. 어리목 지역은 해발 약 900∼1,400m로 식생은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군락 등 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대이다. 제주도의 식생의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1905년 市川 三 喜(S. Ichigawa)가 채집한 62점의 식물 표본으로부터 시작 되었고 中井의 ‘제주도 및 완도식물조사보고서’를 기점으 로 발전하였다(김찬수 등, 2006). 한라산 전체 식물상과 관 련하여 이덕봉(1956), 김문홍(1986), 김찬수 등(2006)의 연 구 등이 있었고 오름에 관하여 Sun, et al.(2001), Mun, et al.(2002) 등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송창길(2005), 김찬수 등(2007) 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에 관하여 연구하 였다. 그러나 한라산의 식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는 고산지 대의 식물군집구조(김문홍과 남전현, 1985; 김찬수와 김문 홍, 1985)를 제외하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리목 낙엽 활엽수림의 경우 과거 이경재 등(1992)의 연구에서 개서어 나무-고로쇠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군집, 개서어나무-졸참나 무군집 등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향후 개서어나무림으 로 천이경향을 예측하였으나 연구 당시로부터 시간이 많이 경과하였고 엄태원 등(2007)의 연구에서는 군집조사를 하 였으나 군집분류를 수행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라 산 어리목지역 낙엽활엽수림의 현재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과거 자료와 비교하여 변화상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한라산 어리목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출현하는 식생을 층위별로 구분하였다. 20m×20m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출현 수목의 수종, 수고, 흉고직경, 식피율, 고도, 방향, 경사도, 식피율 등을 조사하였다. 식생조사 자료를 이 용하여 Curtis and McIntosh (1951) 방법으로 각 조사구의 층위별 상대우점치(I.P.: importance percentage) 및 평균상 대우점치(M.I.P.: mean importance percentage)를 구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 기법을 이용한 classification 분석 (Hill, 1979)과 DCA Ordination, 층위별 상대우점치에 의한 종조성 특성을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대상지인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 낙엽활엽수림은 졸참나 무와 개서어나무가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25개 조 사구를 설정하였다. 졸참나무군집(군집 Ⅰ: 조사구 1, 2, 5, 6, 7, 9, 10, 12)은 표고 960∼980m, 교목층의 평균수고 12 ∼13m, 평균 흉고직경 25cm, 식피율 85%, 출현식생은 졸참 나무, 물참나무, 개서어나무, 서어나무, 당단풍나무, 꽝꽝나 무, 제주조릿대 등이었다.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군집 Ⅱ: 조사구 3, 4, 7, 11, 13 ,14 ,15 ,16 ,17 ,18 ,19, 20)은 표고 980∼1,000m, 교목층의 평균수고 12∼13m, 평균 흉 고직경은 22∼25cm, 식피율은 85%, 출현식생은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당단풍나무, 덜꿩나무, 서어나무, 제주조릿대 등이었다. 개서어나무군집(군집 Ⅲ: 조사구 21, 22, 23, 24, 25)은 표고 1,050∼1,100m, 교목층의 평균수고 13∼15m, 평균 흉고직경은 25cm, 식피율은 85%, 출현식생은 개서어 나무, 당단풍나무, 산개벚지나무, 서어나무, 덜꿩나무, 졸참 나무, 제주조릿대 등이었다. 종합적으로 25개의 조사구는 표고 960∼1,100m, 교목층 의 평균 수고 12∼15m, 평균 흉고직경 22∼25cm이었고, 식피율은 85%이었다. 모든 군집의 하부식생에서는 굴거리 나무가 출현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에 설정한 조사구는 상대우점치 분석 자료 를 토대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DCA ordination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구 간의 상이성을 바탕으 로 조사구를 배치하는 DCA Ordination 분석의 결과를 살펴 보면 크게 3개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그룹 Ⅰ은 3개의 조 사구(조사구 1, 2, 8), 그룹 Ⅱ는 17개의 조사구(조사구 3, 4, 5, 6, 7,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그룹 Ⅲ은 5개 조사구(조사구 21, 22, 23, 24, 2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DCA에 의한 Ordination 분석방법보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결과가 더 명확하게 분류되었으며, 역시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Ⅰ은 졸참나무군집으로 8개의 조사구(조사구 1, 2, 5, 6, 8, 9, 10, 12), 군집 Ⅱ는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으로 12개의 조사 구(조사구 3, 4, 7, 11, 13 ,14, 15, 16, 17, 18, 19, 20), 군집 Ⅲ은 개서어나무군집으로 5개의 조사구(조사구 21, 22, 23, 24, 25)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졸참나무보다 개서어 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대우점치분석 결과, 졸참나무군집(군집 Ⅰ) 교목층에 서는 졸참나무(68.7%),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47.5%) 관목층에서는 꽝꽝나무(23.5%)와 가막살나무(20.4%)의 우 점도가 높았다. 교목층에서 졸참나무가 우점하긴 하였으나 아교목층에서는 5.2%로 상대우점치가 낮았고 당단풍나무 를 제외하면 개서어나무가 17.6%로 높았다. 군집 Ⅰ은 향후 개서어나무의 우점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졸참나 무-개서어나무군집(군집 Ⅱ) 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56.2%) 와 개서어나무(33.2%),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48.2%) 와 개서어나무(26.8%),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41.0%)가 우세하고 있었다. 군집 Ⅱ에서도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7.5%)의 세력이 약하고, 개서어나무(26.8%)의 세력이 강해 향후 개서어나무의 세력이 강해질 것이라 판단되었다. 개서 어나무군집(군집 Ⅲ) 교목층에서는 개서어나무(45.9%), 아 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36.5%)와 개서어나무(27.8%), 관 목층에서는 덜꿩나무(23.1%)의 우점도가 높았다. 군집 Ⅲ 도 아교목층에서 당단풍나무를 제외하고 개서어나무 (27.8%)의 세력이 가장 강하였다. 3개 군집 모두 교목층에 서 졸참나무와 개서어나무가 일정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 고 향후 개서어나무의 우점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수종의 구성 비율이 변하였다. 종수 및 개체수 분석 결과, 졸참나무군집(군집 Ⅰ) 개체수 는 69∼158개체, 종수는 9∼17종이었고, 졸참나무-개서어 나무(군집 Ⅱ) 개체수는 83∼141개체, 종수는 11∼15종이 었다. 개서어나무군집(군집 Ⅲ) 개체수는 43∼145개체, 종 수는 9∼17종이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 분석 결 과, 졸참나무군집(군집 Ⅰ) 종다양도지수는 0.7292∼1.0081 이었고,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 Ⅱ) 종다양도지수는 0.7139∼1.0056이었다. 개서어나무군집(군집 Ⅲ) 종다양도 지수는 0.7536∼1.1079이었다. 연륜 분석 결과, 졸참나무군 집(군집 Ⅰ) 졸참나무는 54∼64년생, 개서어나무는 55∼76 년생이었고,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집 Ⅱ) 졸참나무는 58 ∼75년생, 개서어나무는 51∼68년생이었다. 개서어나무군 집(군집 Ⅲ) 개서어나무는 53∼59년생이었다. 과거 이경재(1992)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면 개서어나 무-졸참나무군집이 졸참나무군집(군집 Ⅰ)으로 변하였다. 개서어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33.9%에서 14.6%로 대폭 낮아졌고 졸참나무는 25.7%에서 36.2%로 세력이 증가하였 다. 개서어나무군집 또한 개서어나무의 상대우점치가 52.7%에서 32.2%로 낮아지고 산개벚지나무(10.1%), 서어 나무(8.5%) 등의 세력의 증가하였다. 즉, 어리목 낙엽활엽수 림의 개서어나무림의 세력이 쇠퇴하고 있는 결과로 나타났 는데 이는 과거 연구에서 어리목지역이 우리나라 낙엽활엽 수림의 천이경향을 따라 졸참나무군집을 거쳐 서어나무군 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로 예측했던 것, 개서어나무의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현재 군집구조 분석 결과와도 반 대의 결과이었다. 단순히 조사구 개수가 부족했거나 조사구 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은 결과일 수도 있으나 기존 학설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에 따라 어리목지역 개서어나무림 의 쇠퇴 원인이 무엇인지, 향후 어떻게 변해갈 것인지 지속 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566.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is a by-product remaining after a crop of mushrooms. The fresh SMS was sample within 24 hours of removal from the production facility in DOJUN farm located in Jinju. About 11 bacteri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fresh SMS on TSA medium. Among of them, one isolate, designated YJ02, showed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ochraceous producing mycotoxin on PDA medium, potentially. The strain YJ02 was produced cellulase, xylanase, mannanase as hydrolase. The strain YJ02 was identified as members of the genus Bacillus by biochemical characteristics using Bacillus ID kit and VITEK 2 system. Comparative 16S rD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strain YJ02 formed a distinct phylogenetic tree within the genus Bacillus and was most closely related to Bacillus amyloliquefaciens with 16S rDNA gene sequence similarity of 98.7%. On the basis of its physiological propertie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YJ02 was classified within the genus Bacillus, for which the name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2 is proposed.
        567.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상기온과 불규칙적인 자연비 등으로 표고버섯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재배 특성상 저온성 품종의 경우 피해가 더욱 심각하여 종균 접종간격 과 수분 관리방법에 따른 버섯생산성과 품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종균 접종 간격에 따른 저온 성 품종의 버섯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본당 수확량은 다공접종 처리구가 270g으로 표준접종 185g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개체중량은 표준접종 처리구가 32.3g으로 다공접종 처리구 27g 보 다 높아 품질이 우수하였다. 또한 버섯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상품의 비율이 표준접종 처리구 는 34%로 다공접종 처리구 12% 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특히 소립버섯의 발생 비율이 표준 접종 처리구가 14%로 다공접종 처리구 40% 보다 월등히 적어 버섯 품질의 차이가 명확하였 다. 버섯나무의 수분관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버섯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상품비율이 평상시 주기적 살수 처리구는 76%, 버섯 발생시 살수 처리구는 63%, 임내재배 처리구는 30%로 주기 적인 살수 처리구가 가장 품질이 우수하였다. 특히 소립버섯 발생비율은 발생살수 처리구 3%, 임내재배 처리구 8%에 비해 주기적 살수 처리구는 소립버섯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수분 관리에 의한 버섯품질의 차이가 있었다.
        56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1798년의 아일랜드 항쟁과 1916년 부활절 봉기의 민족 항쟁 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두 편의 정치 극을 집필하였는데, 두 작품은 상징과 은유의 기법을 통해 정치적 의미들을 가지는 예이츠의 다른 드라마와는 다르다. 두 작품 캐 서린 훌리언 과 죽은 자들의 꿈 의 비교는 두 작품이 비슷한 정치 주제를 어떻게 다 르게 접근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시도다. 예이츠의 초기에 쓴 작품은 정치색이 너무 강 한 한편 후에 쓴 작품은 자신의 시학을 펴기 위해 정치를 이용할 뿐이다.
        5,100원
        57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ytochrome P-450 enzymes (CYP 2A6) regulate many endogenous signaling molecules and drugs. Aryl alkynes such as 2-ethynylnaphthalene are important P450 inhibitors which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s medicines or as an effective chemical probes for profiling mouse liver microsomal P-450. Here we have synthesized indole-based novel P450 inhibitor, 5-ethynyl indole 3, and showed that it has successfully inhibited CYP 2A6 by chemical inhibition reaction. By using HPLC equipped with a photo diode array(PDA) detector, all of the peaks derived from the enzymatic reaction have been characterized.
        4,000원
        57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ic documents known as deungnok, records created during preparations for royal events in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the often cited uigwe, the documents describing the Royal Protocol of the Joseon Dynasty. As a reference to the food served at royal banquets, the deungnok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royal banquet foods. Seven specimens of deungnok describing royal banquet foods are currently in existence, created during preparations for royal events by the agencies in charge of food, the Saongwon and Jeonseonsa. Owing to the nature of their authorship, the details recorded in these deungnok hold great value as important resources for the study of royal banquet cuisine. Naeoejinyeon-deungnok, which documented an oejinyeon banquet held at the Junghwajeon Pavilion in November 1902, was somewhat disorganized and fragmented. Jinyeonuigwe was more inclusive and well-summarized, since the former were progress reports to the King during banquet preparations that listed various items separately, such as dishes for each table setting and the kinds of flower pieces, and thus did not present a complete picture of all the details as a whole.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ere final reports created upon completion of a banquet, and contained more comprehensive records not only of the chanpum (the menu of dishes served), but also the sorts of tableware and tables, floral arrangements, location, scale, and installation date of the sukseolso (temporary royal kitchens for banquets). They also offer a more effective summary by simplifying details duplicated in identical table settings. Nevertheless, the Naeoejinyeon-deungnok recorded some facts that cannot be gleaned from the Jinyeonuigwe, including the height of some dishes presented in piled stacks, as well as the specific names of dishes and their ingredient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historic records in the deungnok and uigwe will be helpful in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specific foods served at royal banquets. The oejinyeon-seolchando diagrams in Naeoejinyeon-deungnok depict the table settings for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The two diagrams contain large rectangle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each section are similar-sized circles in which the names of dishes and the titles for table settings are recorded. From these records we can see that the arrangements of the table settings for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are similar. The relationships and protocols shown in the arrangement of dishes and table settings for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at royal banquets in the Seolchando appear to be consistent. By comparing the two references, deungnok and uigwe, which recorded the dishes served at royal banquets, the author was able to determine the height of some foods served in stacked arrangements, the names of chanpum, the ingredients us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hanpum. The comparative review of these two written records, deungnok and uigwe, will be helpful for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food served at royal banquets.
        4,600원
        574.
        201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AlON-Al2O3 coatings were prepared on Al2021 alloy by the electrolytic plasma processing (EPP) method. The experimental electrolytes include: 2 g/l NaOH as the electrolytic conductive agent, 10 g/l Na2AlO2 as the alumina formative agent, and 0.5 g/l NaNO2, NaNO3, and NH4NO3 as the nitride inducing agents.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inducing agents were studied by a combined compositional and structural analyses of the ceramic coatings carried out by Xray diffractometry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r the specimens EPP-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 under a hybrid voltage of 260 DC along with an AC 50 Hz power supply (200 V). Microhardness tests and wear tests were carried out to correlate the evolution of the microstructure and the resulting mechanical properties. Potentiodynamic polarizations and immersion corrosion tests were carried out in 3.5wt% NaCl water solutions under static condi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corrosion behavior of the coated sampl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NaNO2 is proven to be a good nitrogen inducing agent to produce high quality AlON-Al2O3 ceramic coatings.
        3,000원
        57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Two species of the genus Hypena Schrank, 1802, H. nigrobasalis (Herz, 1904) and H. conspersalis Staudinger, 1888,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Adults and genital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species are briefly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4,000원
        57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croRNAs are ~22nt small noncoding RNAs that control gene express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through translational inhibition and destabilization of their target mRNAs. Micro RNAs are phylogenetically conserved and have been shown to be instrumental in a wide variety of ke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cycle regulation, apoptosis, control of metabolic pathways, imprinting and differentiation. The expression of miRNAs is often regulated in tissue specific and developmental stage‐specific manners. More than 500 miRNAs have been reported in diverse eukaryotic organism so far. One of the biological functions of miRNAs seems to be the regulation of self‐renewal versus differentiation in stem cells. Recent efforts have focused on defining the miRNA expression profile in undifferentiated ESCs as compared to their differentiated progeny. Among the so‐called ES‐specific miRNAs, the 302‐367 cluster stands out due to its intracellular abundance and high cell type specificity. Levels of miRNA 302‐367 correlate with Oct4 transcripts in ESCs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dicating an important role in ESC homeostasis and maintenance of pluripotency. Several months ago, a paper showed that expression of the miRNA 302‐367 cluster can directly reprogram mouse and human somatic cell to an iPS cell in absence of any of the four factors (Oct4, Sox2, c‐Myc, Klf4) efficiently. To apply this efficient method to porcine, we made an inducible vector system including miRNA 302‐367 cluster originated from porcine embryonic fibroblasts and could make porcine ips by the miRNA 302‐367 cluster.
        578.
        201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micro-structur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0.002% boron added low carbon steel was investigated. The tensile strength reached the peak at about 880-890˚C with the rising quenching temperature and then the hardness decreased sharply, but the tensile strength hardly decreased. The tensile and yield strength decreased and the total elongation increased with a rising tempering temperature, but the tensile and yield strength sharply fell and the total elongation prominently increased from above a 400-450˚C tempering temperature. Tempered martensite embrittlement (TME) was observed at tempering condition of 350-400˚C. In the condition of quenching at 890˚C and tempering at 350˚C, the boron precipitates were observed as Fe-C-B and BN together. The hardnes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ing temperature untill 350˚C and dropped sharply above 400˚C regardless of the quenching temperature.
        4,000원
        57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eet aluminum alloys have been used in manufacturing of machine structures. In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of thin sheet aluminum alloys, it is important that fatigue crack growth rate is affected by crack closure phenomenon. In this work,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in experiment of constant stress condition for thin sheet Al 2024-T3 alloys, and identified the retardation behavior of crack growth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in and thick plate specimen. We attempt to operate the fatigue life estimating process using the fatigue related material constants from referred fatigue crack propagation analysis. And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and prediction results of fatigue life of thin sheet aluminum allo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retardation behavior of fatigue crack growth and crack closure phenomen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