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In the conventional metallothermic reduction (MR) process for obtaining tantalum powder in batch-type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morphology and location of deposits. On the other hand, a electronically mediated reaction (EMR) process is capabl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has a merit of continuous process, but it has the defect that the reduction yield is poor. MR-EMR combination process is a method that is able to overcome demerits of MR and EMR process. In this study, a MR-EMR combination process has been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antalum powder by sodium reduction of TaF. The total charge passed through external circuit and average particle size (FSS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The proportion of fine particle (-325 mes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The yield was improved from 65% to 74%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Considering the charge, impurities, morphology, particle size and yield, an reduction temperature of 1,123 K was found to be optimum temperature for MR-EMR combination process.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on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in adult with cerebral palsy.Method : The subjects were forty members who were treated at dept. occupational therapy the H Rehabilitation Center in kwang ju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3. The ADL were meas-ured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 PC for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NPARIWAY.Results : 1. A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 was from 20 to 36, and the average age was 25.6. The number of the twenties are the most number of the subjects by 28 persons(70%). The men were 19 persons(47.5%) and the women were 21 persons(52.5%). The clinical types of adult with cerebral palsy were dyskinesia 4 persons(10%), spastic quadriplegia 10 persons(25%), spas-tic hemiplegia 12 persons(30%), spastic diplegia 14 persons(35.5%). In the dominated hand, the right’s was 27 persons(67.5%), and the left’s was 13 persons(32.5%) and the number of person with language disability was 26 persons(65%), without language disability was 14 persons (35.5%). The duration of medical treatment was 61 days at the shortest, 123 days at the lon-gest, and the average duration was 82 days.
2. The variation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after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with cerebral palsy was significantly (p<.01) in-creased independent of age, gender, clinical types except dyskinesia, dominated hand, speech dis-ability and treatment duration of less than 2∼3month.3. The variation of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in the detail item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of the adult with cerebral palsy through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p<.01) increased at the self-care, sphincter control, locomotion, mo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cognition.Conclusion : Cerebral palsy cause disability on daily life with decrease of motor performance ability by adding marked growth of the adolescence, disease, treatment interruption, trauma etc, to past poor motor control function, impaired balance reaction, muscle spasticity etc. But if proper task-oriented Learning program has been performing to patients continuously, General ADL performance ability will be increasing in young adult with cerebral palsy patients.
IASL(iodo acetamide spin label) and MSL(maleimide spin label) disordered the orderly helix arrangement of myosin in the rest state of spin level. Especially the effect of IASL was great. The muscle was isometrically tetanized with three trains of 3ms pulses every 50ms between 5℃ with 25℃. Equatorial reflection change inferred that myosin head was moved to the vicinity of actin filament by spin level. The intensity change of 143a and 72a could offer information of the mass projection of population of myosin head along the filament axis. The slope of intensity profile of the mass projection of 143a and reflection of IASL is appeared and that of MSL is appeared sharply. The decrease of 215a reflection intensity the periodical character of 143a reflection by spin label. The raise of MSL actin reflection at 51a and 59a in the actin reflection change refers that the shifted myosin head binds a certain actin or changes an actin structure by spin label effect. Because iodo acetamide has a tendency to decease the actin reflection, actin dose not bind myosin head. From this result, we can conclude that IASL and MSL are spin labeled on SH of myosin head and disordered the helix arrangement of actin.
이매패류 화석의 미구조를 박편상에서 관찰하면 시대가 오래된 것일수록 방해석의 재결정작용으로 인하여 성장선이 대부분 지워지는 반면 시대가 젊거나 현생의 이매패류는 매우 세밀한 성장선 및 구조가 그대로 보존된다. 패각이속성작용을 겪으면서 각피성분이 없어지고 외부에 노출되어 패각의 구성 물질인 Ca2+이 주위 퇴적물에 존재하던 Fe2+, Mg2+, Mn2+ 등과 치환되면서 색깔이 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화석에서는 Ca함량이 낮아지는 대신 다른 금속의 함량이 높아진다.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광 분석 결과 반사도는 백악기 화석에서 현저히 낮고 제3기 화석 및 현생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이는 주요 금속이온의 치환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re are terrestrial signatures of the solar activity cycle in ice core data (Ram & Stoltz 1999), but the variations in the sun's irradiance over the cycle seem too small to account for the signature (Lean 1997; Goode & Dziembowski 2003). Thus, one would expect that the signature must arise from an indirect effect(s) of solar activity. Such an indirect effect would be expected to manifest itself in the earth's reflectance. Further, the earth's climate depends directly on the albedo. Continuous observations of the earthshine have been carried out from Big Bear Solar Observatory since December 1998, with some more sporadic measurements made during the years 1994 and 1995. We have determined the annual albedos both from our observations and from simulations utilizing the Earth Radiation Budget Experiment (ERBE) scene model and various datasets for the cloud cover, as well as snow and ice cover. With these, we look for inter-annual and longer-term changes in the earth's total reflectance, or Bond albedo. We find that both our observations and simulations indicate that the albedo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1994-1995 (activity minimum) than for the more recent period covering 1999-2001 (activity maximum). However, the sizes of the changes seem somewhat discrepant. Possible indirect solar influences on the earth's Bond albedo are discussed to emphasize that our earthshine data are already sufficiently precise to detect, if they occur, any meaningful changes in the earth's reflectance. Still greater precision will occur as we expand our single site observations to a global network.
Changes in the earth's climate depend on changes in the net sunlight reaching us. The net depends on the sun's output and earth's reflectance, or albedo. Here we develop the limits on the changes in the sun's output in historical times based on the physics of the origin of solar cycle changes. Many have suggested that the sun's output could have been 0.5% less during the Maunder minimum, whereas the variation over the solar cycle is only about 0.1%. The frequencies of solar oscillations (f- and p-modes) evolve through the solar cycle, and provide the most exact measure of the cycle-dependent changes in the sun. But precisely what are they probing? The changes in the sun's output, structure and oscillation frequencies are driven by some combination of changes in the magnetic field, thermal structure and velocity field. It has been unclear what is the precise combination of the three. One way or another, this thorny issue rests on an understanding of the response of the solar structure to increased magnetic field, but this is complicated. Thus, we do not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sun's irradiance increase with increasing magnetic activity. Until recently, it seemed that an unphysically large magnetic field change was required to account for the frequency evolution during the cycle. However, the problem seems to have been solved (Dziembowski, Goode & Schou 2001) using f-mode data on size variations of the sun. From this and the work of Dziembowski & Goode (2003), we suggest that in historical times the sun couldn't be much dimmer than it is at activity minimum.
동양의학에서는 사람의 체질의 허와 실에 따라 적절한 처방을 한다. 즉, 사람의 체질을 목, 화, 토, 금, 수의 오행으로 구분하고 그 체질에 따라 강하고 약한 장부를 서로 균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그 처방의 하나인 향기요법도 나약한 신체부위를 보강해 주는 향을 사용하여 치료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행요법은 실제 임상에서는 많은 효과를 보고 있지만 과학적 근거보다는 통계적 및 주관적 요소가 강한 면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양오행의 특성을 감안, 폐의 기능이 강한 금형과 반대로 나약한 화형을 대상으로 하여 일단 쓴맛이 나는 라벤더(lavender)향을 자극, 뇌파의 반응정도를 파악해 봄으로써 향과 체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오행요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라벤더 향은 화형인 사람에게는 강한 장부인 담을 편안하게 하여주고 금형인 사람에게는 약한 간과 강한 담을 서로 균형을 맞추도록 하여 간담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 동안 동양의학(한의학)에서 말하는 오행처방과도 일치하는 결과라 하겠다.
정확한 라스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시간대별 발의 변형을 고려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발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정확한 라스트 개발을 위해 체중이 부하되지 않은 상태와 체중을 부하하고 양측 발로 체중을 지지하고 있을 때 발을 측정함으로 발과 기간 대에 따른 관계를 도출해내야 한다. 이 연구는 발길이(foot length), 볼너비(ball width), 볼둘레(ball girth) 뿐만 아니라 발등둘레(foot-dorsum girth), 종골하 지방패드의 너비(heel-pad width) 및 높이(heel-pad height) 등을 측정, 분석하여 기능성 라스트 제작을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로보광의 자극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스트로보광 강도에 따른 전갱이의 반응을 심박수의 변화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10Hz의 스트로보광강도(75 lx·s)를 1/2, 1/5, 1/15로 빛의 세기를 감소시켜, 4단계의 강도별로 심박수를 자극 전 10분간, 자극 중 30분간, 자극 후 20분간 합계 60분간을 2시간마다 3회 연속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트로보광자극 중의 심박수 증가와 자극 종료직후에 일시적으로 현저한 심박수 감소가 있었다. 스트로보광 자극효과는 자극강도의 감광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복실험에 의한 자극효과는 75 lx·s의 강도보다 약한 스크로보광 강도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by the motor learning program for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sixty-two members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ADL were measured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he result's were as fol1ows; 1.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ependent of age, gender, cause, affected side and speech disability (p<.0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to sex, cause, affected side and duration of treatment, but the speech disability was significant. Therefore the pre-treatment scores and post-treatm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The variation of the pre-treatment and the post-treatment in the detail item to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of the stroke patients through the upper extremity motor lear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lf-care, sphincter control, locomotion, mo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cognition (p<.01) Consequently, The motor learning program for upper extremity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formance level of all ADL areas in stroke patients.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의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을 공부한 중학생들이 학습한 지질개념을 자연환경과 생활주변에 얼마나 연계시켜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학교교육과 생활환경과의 연계성을 논의하고 주변 자연환경의 차이가 개념 이해와 과학적 태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군, 진안군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광물과 암석의 경우, 학교학습에서 그 표본관찰 등으로 개념은 정립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생활주변의 암석을 관심있게 관찰한 학생은 16%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관심이 없다. 전라북도 내 소읍지역 부안과 진안지역에는 주변에 특별한 지층과 지질구조를 가진 채석강과 마이산 등이 있어 암석 및 지질구조의 야외관찰 학습에 연계 지도가 용이한 지역이나 전주지역 학생보다 관찰경험이 조금 많을 뿐, 전 지역 학생들 모두 야외관찰 학습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의 학습 시, 주변의 야외 관찰 학습장을 찾아서 광물과 암석을 채집해 관찰하고 크고 작은 지질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찰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아스팔트는 노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변화가 일어난다. 하지만 같은 수준으로 노화시킨 아스팔트 혼합물들임에도 골재와 결합재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이나 취성을 보인다. 이는 노화에 의한 바인더 특성 변화의 차이에 기인한 것인데 이와 같이 혼합물 내에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 변화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노화 후추출한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물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폴리머 3종류와 골재 두 종류, 두 가지 입도, 두 종류의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32종류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장 단기 노화 처리하였다. 각 혼합물의 노화 후 Abson recovery 방법으로 바인더를 추출 회생하고 바인더 물성 시험(침입도, 동점도, 절대점도)을 수행하였다. 이를 SA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바인더 시험에서 골재 종류와 폴리머가 노화시 물성변화에 차이를 가져오는 심각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입도는 점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혼합물 내의 바인더 물성은 골재 종류, 입도, 개질제의 종류, 바인더의 종류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v앉night Orthokeratology 콘핵트렌즈 착용자 28명 (56안}을 대상으로 각막두께의 변화률 분삭하가 위하여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y System올 이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렌즈 착용 1 개월 후의 각막중심부 두께를 측정하였다. Ortho-K 콘택트렌즈률 착용하기 전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Orbscan Pachymetrγ System으로 측정한 각막중심부 두째는 517.7 :t 33.4 /ßII와 530.4 :t 42.1 /ßII로 Orbscan Pachymetrγ Sys따n으로 측정 한 값야 12.7 μm 정 도 더 두꺼 웠고(t = 7.01, p = O.αxx>>, 푸 측정값 사이에 높은 상관판계가 있었다(OCT 측정값= 112.8 + 0.71없4 x OPS 측정값; r == 0.96, p < O.α)()1). Ortho-K 콘태트렌죠훌 1 개월 홍안 확용하였옳 때 각막 중성 부 두께의 벌향는 〔빼cal Coh없nce Tomogra야lY 측정 값α114.9 土9.3 /ßI1(514.3 土38.9 짜에 서 499.4 土40.7 따1), Orbscan Pachyme따T System 측정 값이 8.5 ::t 15.6 때1(526.0 土49.1 때1에 서 517.5 ::t 42.6 짜} 각각 감소하였으나(OCT : t = 5.81, p =: O.αX>; 0똥 : t := 2.72, p == 0.016), 두 기기로 측정한 작막두께의 평균 변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 = -0.84, p == 0‘ 416), Orbscan Pachymetry System으로 촉정 한 각막 풍간주변부 두쩨논 14 따l 정 도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