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97

        170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은 다양한 국가에서 과거로부터 민간의약적으로 사용해 온 유용한 한약자원으로, 동북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고 있다.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 C. A. Meyer로 Araliaceae에 속하고 약용 부위는 곁뿌리를 제거한 뿌리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인삼의 종류와 명칭을 정리하고, 동북아시아 공정서 내 인삼의 기원들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인삼종의 전초의 형태를 비교하였고, 여러 문헌 정보를 바탕으로 각국 인삼종의 약리학적 효능을 정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려인삼의 품종은 약 15종이며, 이들 중 재래종(자경종), 천풍, 연풍, 금풍, 산양삼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한약재 활용 가능한 인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재배해야 하며, 그 조건도 까다롭다. 약리학적으 로 가치가 있는 인삼종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대량증식 방법으로 기내조직배양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크기를 측정하고 형태를 비교하였고, 종자를 횡단면으로 절단해 배의 형태를 관찰했다. 각 인삼종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내배양을 진행하였고, MS+GA 1.0mg/L 조건에서 발아율은 미국삼이, 생존율은 금풍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인삼의 한 종류인 산양삼은 자연에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재배조건이 까다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양삼을 수경 재배해, 해당 인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미생물종을 동정하였다. 기내배양을 통한 4종의 인삼종 종자 발아 실험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종이 확인되었고,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 연구원이 제공하는 전통의학정보포탈(KIOM Oasis Portal)과 농업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의 인삼특작부에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분양받아 진행되었 다. 해당 논문은 기내배양을 통한 인삼의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70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전후하여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에서의 언론 보도확산과 반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일본 의 신문과 언론의 보도에 대한 분석, 재일동포 관련 단체의 보도와 반향에 대한 분석, 재외동포단체의 보도와 반향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일본에서의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언론신문, 잡지 등에서 보도확산과 반향에 대하여 자 료를 수집하고 대표적인 논조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 본의 대표적인 3대 신문인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의 논설을 중 심으로 5・18 광주 민주항쟁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유신체제의 계승 반대, 국군 의 무력진압에 따른 국민 불신과 반감 증폭, 폭력적 억압은 문제해결이 될 수 없 고 민중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재일동 포의 반응에 대해서는 민단은 광주 민주항쟁에 대해 민단 중앙의 입장과 견해를 밝히도록 요구하였다. 총련은 조선 시보를 통해 광주 시민봉기의 진상을 왜곡하여 전두환, 박정희 등을 찬양하려고 시도하는 일본인들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셋째, 재외동포의 언론 보도에서는 재미 뉴코리아 타임스의 경우 미국에 대한 환 상에서 벗어나 한민족 스스로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 및 통일을 위해 싸워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5・18 광주 민주항쟁 관련 그동안의 연구 가 왜 미국 일변도였는지 고찰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로의 광주 민주항 쟁 언론 보도와 미디어의 확산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향후 연구에서 는 5・18 이후 시대별, 국가별, 미디어별 논조의 변화, 국가별 반응과 대응, 사회 단체별, 방송 미디어별 보도행태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6,300원
        170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5년 1월 1일 증권관련집단소송법이 시행된 후 17년이 경과하는 동 안 우리나라에서 제기된 증권관련집단소송은 총 9건이다. 이는 지난 17년 동안 현격히 성장한 주식시장에서 주식불공정거래행위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증권관련집단소송제도가 입법취지에 맞게 다수의 소액 투 자자의 권리구제를 위한 제도로 원활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 여주는 것이다. 이 글은 증권관련집단소송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제도의 도입시 입법모델이 되었고 증권집단소송이 현재까지 가장 활발히 이용되 고 있는 미국 증권집단소송의 최근 현황 및 주요 사례를 면밀히 검토해 봄으로써 그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미국의 증권집단소송의 최근 현황은 과거 20여년간의 증권집단소송 제 기 건수, 소송 관련 회사의 시가총액 변동, 증권집단소송의 청구 원인, 전 체 상장회사 수 대비 피소 회사 수의 비율, 각하․화해 등 증권집단소송의 진행 경과, 종결까지의 경과 시간 추이, 소송허가신청 처리 현황 및 소요 시간, 화해 종결 건 수 및 화해액 등을 기준으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증권집단소송의 주요 사례로는 Enron 사건, WorldCom 사 건, Basic Inc. v. Levinson, Dura Pharmaceuticals, Inc. v. Broudo, Tellabs, Inc. v. Makor Issues & Rights, Ltd. 등 증권집단소송 관련 규정에 대한 중요 해석기준을 제시해 준 사건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 실관계, 소송의 진행내역, 결과 및 시사점 등을 검토해 보았다.
        170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회복환경으로서 농촌경관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경학과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농촌경관 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와 선호도 및 회복성을 조사하였다. 8개 경관유형별 회복환경지각척도를 분석한 결과 하천과 저수지가 여타 경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물이 포함된 공간을 선호하였고 돌담, 다랑이논, 전통마을 등의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다. 회복환경지각척도 요인분석 결과 ‘적합성’, ‘매력성’, ‘벗어남’, ‘규모’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모든 요인이 선호도 및 주의회복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선호도에는 적합성 요인이, 주의회복성에는 규모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선호도와 주의회복성 간에는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선호도가 높을수록 주의회복성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경관유형에서 벗어남 요인과 규모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적합성 요인은 가장 낮았다.
        4,200원
        170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 2019, 2020년 논에서의 배수 깊이에 따른 식용(일미찰), 사료용 옥수수(광평옥) 그리고 장류콩(대원콩) 및 나물콩(해품콩)에 대한 생육 특성과 수량 구성요소를 비교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논의 배수로 폭은 80cm로 고정하고 깊이를 20cm과 40cm로 각각 달리하였다. 연차간에 있어서 일미찰은 간장, 착수고, 이삭무게 이삭착립장 및 이삭 수량이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광평옥도 일미찰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배수로 깊이에서는 40cm가 20cm보다 수량이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연차간 해품콩은 간장, 분지, 꼬투리 수, 미 성숙 종자률, 100립 중 및 종실 수량에 고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대원콩은 간장, 100립중, 수량간에 고도로 유의하였다. 배수로 깊이 간에는 해품콩과 대원콩의 수량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지만 20cm보다 40cm에서 수량이 약간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옥수수의 수량은 배수로 깊이에서 따라 통계적인 고도 유한 차이를 보였으나 콩은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40cm이 20cm보다는 높았다. 한편 콩은 미성숙 종자률은 배수로 깊이에 효과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논에서 옥수수 또는 콩을 재배시 가장자리에 20cm 배수로 보다는 40cm 배수로 설치를 권장한다.
        4,000원
        1706.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들의 인터넷 활동으로 많은 인터넷 용어를 탄생시켰다. 이 중 일부 용어는 널리 사용되어 유행하게 되었으며, 이는 그 당시의 사회 발전 상 태, 사람들의 이데올로기를 대표하는 용어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 는 중국 국가언어자원감시연구센터가 2021년 12월 6일 발표한 ‘2021년도 10대 인터넷 용어’를 바탕으로 생태언어학 관련 이론을 적용해 분석하고 연구한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유익한 담화의 사용을 장려함으로써 파괴 적 담화의 발생을 줄이고, 사용을 자제하여 인류사회의 생태가 지속적으 로 건전하고 잘 발전하도록 유도한다. 생태언어학자 스티베는 ‘할라테이 모델’을 기반으로 비판적 생태 언어 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전 세계인의 관점에서 7개 단어로 구성된 생태관 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대화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생 태관과 대화 분석 모델을 바탕으로 조국사랑, 단결추구, 용감한 활동, 근 검절약 등과 같은 가치와 결합하여 생태관을 생성하고 10개의 인터넷 용 어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10개의 인터넷 용어 중 먼저, ‘躺平’은 퇴폐적이고 부정적인 정서 때문 에 사람들이 쉽게 포기하고, 생태관이 맞지 않아 파괴적 담화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YYDS’, ‘破防’, ‘元宇宙’, ‘绝绝子’, ‘伤害性不高, 侮辱性极强’, ‘我 看不懂, 但我大受震撼’ 6개의 단어는 생태환경에 도움이 되는 측면과 생 태환경을 해치는 측면이 있어 양면적 담화로 분류된다. 끝으로, ‘觉醒年 代’, ‘双减’, ‘强国有我’는 삶을 중시하고 현재와 미래를 주시하며, 자원의 공평한 분배에 유리하며 유익한 담화로 분류된다. 이런 분석을 통해 유익한 담화를 많이 쓰도록 권장하고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쳐, 파괴적인 담화의 사용을 자제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임으로써 사회 생태계가 장기적으로 더욱 지속적이고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다.
        6,400원
        170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문화와 국제관광수요와의 인과성을 규명하는데 있 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ofstede 국가문화차원 이론을 바탕으 로 한국문화와 일본문화와 베트남관광수요와의 인과성에 대해 실증분석하였 다. 실증분석에 앞서 한국과 일본문화를 Hofstede 6가지 문화차원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국가 간 문화차이를 나타내는 문화적 거리를 계측하였다. 한국과 일본문화는 남성성 차원과 개인주의 차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 었다. 관광목적지 국가인 한국⋅일본과 관광객 원척국가인 베트남과의 문화 적 거리를 계측한 결과 일본문화에 비해 한국문화가 베트남문화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모형을 기초로 국제관광수요 결정요인 중 전통적인 경 제요인으로는 GDP, 환율 변수 그리고 문화요인으로는 문화적 거리 변수를 설 명변수로 설정하고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모형에 사용된 모든 변수들은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수요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에서 주요 관심사이었던 문화적 거리 변수는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남 관광수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적 거리가 멀수록 관광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문화요인 인 문화적 거리 변수는 GDP와 환율과 같은 경제요인보다 베트남 관광수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는 베트 남 관광객의 경우 관광목적지를 선택에 있어 문화가 중요한 요인이 되며 문 화적으로 유사한 목적지를 선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7,000원
        170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 특유의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의 형식과 특 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작품 속 내레이션의 형식적 특징은 다중진술과 복수 시점에 있다. 내레이션 주체가 복수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유일한 권위적 진술 자를 상정하지 않고 다각적인 시점을 관객에게 제공한다. 시점의 다각화는 분 열이나 충돌로 나아가지 않고 화합하거나 합해짐으로써 메시지의 하나인 ‘이 어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내레이션 구문의 특징을 이루는 것은 공 감각과 의인화 표현을 비롯한 문학적 묘사 기법에 있다. 객관적이고 사실주의 적인 진술이 아니라 내레이션의 주체가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는 묘사를 선택 함으로써, 관객의 경험이나 기억을 소환할 수 있는 감성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것은 또 다른 메시지인 감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일상과 현 재를 재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6,600원
        170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악의 세계화를 위하여 ‘이날치’ 밴드의 음악과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일명 ‘이날치 현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악의 세계화에 관하여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 조사를 하 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현재 국악 세계화 논의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연구 결과를 ‘이날치’ 밴드가 가진 특징, 그들의 보여주는 장르 양식이 국악의 세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국악의 세계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 및 방향을 연구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한 결과, 전통적인 국악의 형태보다는 현대적 재해석을 거친 음 악에 대한 선호도가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국악의 세계적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발전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존의 판소리는 한국인도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가사가 명확하게 들리거나 이해할 수 없는 부분으로 인해 전통 음악 임에도 한국인도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반면, 이날치 밴드의 음악은 가사를 이해하지 못하는 외국인도 리듬과 소리만으로도 음악을 즐길 수 있고, 한국인의 경우 가사가 명확하게 들리고 이해하기 쉬운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 에 이에 대한 흥미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악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국악의 형태를 전 승 및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적으로 한 국의 음악의 위상을 높이고 국악에 관한 관심을 증대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러한 방안을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악의 세계화를 위한 국악의 현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700원
        171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가사상은 중국 예술 사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자의 “도법자연(道法自然)” 은 노자의 ’큰 기교는 마치 서툰 것 같다‘는 뜻의 “대교약졸(大巧若拙)”과 통하는 사유이며, 이것은 뛰어난 기교를 뛰어넘는 무위의 졸박미(拙樸美)를 지향한다. 노 자는 ‘도(道)’의 본성에 부합하는 대교(大巧)를 추구였고 그것은 도지교(道之巧)이 다. 졸(拙)은 꾸밈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것을 뜻한다. 약졸(若拙)하기 위해서는 “득심응수(得心應手)”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이기우(李基雨)(1921∼1993)는 한국 근현대 서예가이자 전각가이다. 무호 이한 복(無號李漢福)과 위창 오세창(葦滄吳世昌)에게 사사하였고 문화의 암흑기에서 서단활동을 하며 전각의 예술성과 서예의 발전을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고졸박소 (古拙素朴)의 토대 위에 현대적 미감을 접목하여, 서예는 물론 황무지와 같았던 전 각 분야를 과감히 개척하였다. 그는 석각(石刻)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 전각의 세 계를 무한히 넓혀갔다. 본 고는 그 기교가 “득심응수(得心應手)”의 경지에 올라 무 위함으로 대교약졸을 이루었던 철농의 예술관을 조명한 것으로, 이기우 전각 작품 에서 드러나는 고졸미를 통한 조형미, 격변(擊邊)을 통한 무계획의 계획, 도각(陶刻) 등 전각 매체의 경계 확장을 통한 예술 경계의 무한성 추구 등을 논하였다. 본 연구가 현대 예술가들이 근현대 한국 서예·전각가와 그 작품세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며, 유한한 자원으로 창작 활동을 하는 현대 예술가들에게 도가미학적 시야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6,700원
        171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무속신화인 <당곰애기>를 통해서 무속적 질서의식과 삼신의 의 미를 밝히고자 했다. 무속은 오랜 세월 우리 민족과 함께 해온 토속신앙이 다. 그런데 외래종교의 배척을 받으면서 원래의 취지를 잃어갔다. 이에 무속 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취지를 알아보기 위해 <당곰애기>를 대상으로 무 속의 질서의식과 삼신의 의미를 다루었다. 논의방식은 <당곰애기>의 서술 체계를 따랐다. 첫째, 삼신부재로 인한 혼돈의 시공이었다. 혼돈은 인간세계에 삼신이 없어 서였다. 이 부분에서는 궁금함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에서 대답으로, 혼돈에서 질서로, 결핍에서 충족으로 가려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둘째, 혼돈과 질서의 충돌에 따른 시련극복이었다. 당곰애기는 처녀가 아기 를 가지고, 가족들로부터 쫓겨나 돌함에 갇히는 시련이 있었다. 이는 죽음(기존 삶)에서 재생(새 삶)으로 가기 위함이었다. 결국 조력자가 나타나 도움을 주어 결핍의 세계에서 충족의 세계로 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 일종의 신 병체험과 같다. 셋째, 삼신탄생 질서에 따른 삼신의 의미이다. <당곰애기>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인정하는 과정의 시험을 그렸다. 마지막 시험은 채혈응고(採血凝固)의 시험이었다. 그 시험을 통과하자 삼형제와 당곰애기가 모두 신으로 승격을 했 다. 이때 당곰애기는 삼신이 되어 사람 차별하지 않고 가가호호 다니면서 아 이를 점지하고 치병을 했다. 이처럼 진정한 무당은 혼돈을 질서화 하려한다. 삼신의 탄생은 사람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5,700원
        171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문에서 언급되는 장(場)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뜻을 가진다. 그 중 본 연구는 장 개념의 사용과 확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 개념의 사용과 의미’에서는 ‘장’ 개념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장에 대한 담론이 형성될 수 있는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장 개념을 기표적 사용과 기의적 사용으로 구분하여 물리학, 형태심리학, 중국 사상, 구조주의, 사회학 등에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사용에 나타난 장 개념의 공통적 의미를 분석하였 다. 즉, 하나의 영역을 말하는 장, 관계에 대한 인식을 내포하는 장, 다층적 성 향을 갖고 있는 장으로 그 공통된 의미를 파악하였다. ‘Ⅲ장 개념의 가치와 확 장’에서는 먼저 장 개념이 연구되고 활용되어야 할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로서는 장과 관련된 영향과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 만, 향후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장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 다고 보았다. 또한 장 개념은 장의 한계를 넘어 생각하게 하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나아가 공동체적 사고의 기초가 될 수 있기에 장 개념에 대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장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주체와 장의 관계로서의 확장, 장의 중첩으로서의 확장이다. 장 개념은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장 개념 자체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의 연구와 정리는 전무한 편이다. 향후 체계적인 연구와 창의적인 장이론의 확장이 진행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장 연구의 방향과 가능성을 가늠한다는 측면에서 일정 정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6,600원
        171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유학의 큰 프레임에서 역동적인 자기 변환의 모습을 담고 있는 조선후기 실학을 분석함으로써 ‘지금, 여기’의 한국유학을 재고하려는 시도다. 조선후기 실학의 변증법적 전환은 ‘초월(超越)의 유학’에서 ‘지상(地上)의 유학’ 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조선후기의 실학이 ①유학의 실제성 ②개방적ㆍ경험적ㆍ과학적 탐구 ③맥락 의존적 가치관 ④도 덕적 가치에 대한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이는 실학의 이론적 흐름이 성리학의 ‘초월적ㆍ관념적 탐구에 서 현실적ㆍ경험적 탐구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바로 실 학이 한국유학사에서, 그리고 ‘지금, 여기’의 유학을 재고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중요 담론인 까닭이다. ‘실학의 비조’로 평가되는 반계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은 정주(程朱)의 리(理)를 법ㆍ제도의 사회 원리로 재해석함으로써 현실의 차원에서 적용될 수 길을 제시했다. ‘실학의 중조’로 불리는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은 노ㆍ장,불교, 서학 등 여타 학문에 대한 적극적 개방과 함께 과학적 학문 방법을 도입, 실증적 합리성을 견지했다. 또한 그의 국가관에는 형세[勢]에 근거를 둔 ‘맥락 의존적’ 가치관이 함축되어 있다.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도덕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고, 경험적 인식 방법을 제안함으 로써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했다. ‘실학과 개화사상의 가교자’ 혜강 최한기 (崔漢綺, 1803~1879)는 태양중심설을 비롯하여 뉴턴의 물리학, 기계론적 신체관 등의 자연과학적 탐구를 자신의 기학(氣學)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켰다. 이렇듯 조선후기 실학은 선진유학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정신을 시대의 변화에 맞게 새롭게 재조직함으로써 변증법적 전환을 이루었다. 비록 실학이 초월의 영역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지만, 그들이 추구했던 경험과학적 지식의 이론화는 다양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철학적 진화임에 분명하다. 이러한 탐구는 실학을 건너뛰고 ‘지금, 여기’의 유학으로 올 수 없음을, 그리고 왜 실학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6,600원
        171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묵자, 맹자, 공손룡은 물 론이고 후기 묵가와도 차별화된다. 첫째, 순자는 類개념을 物類와 倫類의 범 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의 정당성을 有類와 無類의 구별로 세분화한 다. 둘째, 순자는 類개념을 同類와 異類의 범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 의 실천을 不(能)類와 (能)類의 구별로 구체화한다. 셋째, 순자는 同類와 異類 의 범주 구별이 필요한 이유를 사물[事]의 실질[實]과 이름[名]의 관계 그리 고 사물[事]의 실질[實]의 같음[同]과 다름[異]에 근거하여 입론한다.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활용은 以類度類의 유비추리, 統類의 귀납적 일반 화, 類擧의 매거에 의한 귀납추리 등 세 가지 맥락에서 선진 제자 및 후기 묵 가와 차별화된다. 첫째, 類개념의 범주 구별 특히 同類와 異類에 대한 인식 을 근거로 유비추리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둘째, 物類와 倫類, 同 類와 異類그리고 有類와 無類, (能)類와 不(能)類등의 범주 구별과 각 범주에 관한 인식을 근거로 귀납적 일반화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독창적이고 또 이를 인륜의 실천이나 언행 등에 적용한 점에서 실천적이다. 셋째, 소청을 판단 하거나 직무를 수행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해 가기 위해 서로 같은 부류 [同類]를 사례로 들어 현실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이지만 동시에 제한적이다.
        8,300원
        171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은 인간 생활의 필수요소임에 따라, 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나라의 전통 적 공간관인 ‘풍수(風水)’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있다. 이에 연구는 풍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물’의 논리를 지리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연 구는 ‘물은 재물이다(水管財物).’와 ‘기는 물을 만나면 멈춘다(氣界水則止).’의 논리를 중심으로 지리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는 ‘수관재물’ 논리에 대해 농업 및 상업의 두 측면에서 분석했고, ‘기계수즉지’논리에 대 해 지리학의 ‘곡류 목 절단 지형’과 비교 분석을 했다. 연구결과, 농업의 측면에서 전통 농경사회에서 빗물의 안정적인 확보와 이용은 농사와 직결되었고, 이는 물이 곧 재물이라는 인식으로 발달되었 다. 상업의 측면에서 물이 모이는 곳은 곧 재물이 모이는 곳이 되었다. 곡 류 목 절단 지형의 경우, 연구는 땅의 기운(地氣)을 멈추게 하는 물줄기(水) 로서 구(舊)하도와 현(現)하도 중 현하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5,800원
        1716.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북송대 이래 청대까지 자평명리학의 주요 원전에 나타난 用神에 초점을 맞춘 문헌연구를 통하여 子平眞詮의 用神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둘 러싼 용어상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子平眞詮의 用神은 용어상으 로는 子平三命通變淵源의 ‘用神’을 따르고, 의미상으로는 滴天髓 원문의 ‘用事之神’을 취한 것이다. 따라서 子平眞詮에서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의 미로서 四柱의 전체 局을 ‘관장하는 神’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子平 眞詮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줄임말이므로 다른 원전의 ‘所用之神’과는 확 실히 구별할 필요가 있다. 子平眞詮에서의 用神은 ‘用事之神’의 의미로서 ‘之’는 단순수식 기능의 어조사이므로 줄여서 ‘용사신’으로 해석할 것을 제 안한다. 子平眞詮에서는 먼저 월령을 기준으로 用事神을 정한 후 그 用事 神을 기준으로 日干과 用事神의 생극관계에 따라 격국을 정하는 2단계 구조 라고 볼 수 있다. 즉 用事神이 독립변수라면 격국은 종속변수인 것이다. 한편 심효첨은 ‘用事之神’을 돕는 역할로서 相神을 도입했다. 심효첨이 相神을 도입한 것은 ‘用事之神’을 간단히 줄여 用神이라고 표현하면서 생기는 용어상의 중복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6,100원
        171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용신이론(用神理論)은 몸의 정신에 비유할 정도로 운 명을 추론(推論)하기 위한 가장 핵심이론이다. 용신(用神)은 일간(日干)의 역량 을 저울질하여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 오행의 구성과 조화를 기준으로 구(求) 한다. 이러한 용신(用神)의 종류와 취용법은 다양하다. 대표적 사주명리서 중에서 滴天髓는 중화사상을 근본으로 억부, 통관, 조 후, 병약용신을 취용하며, 또한 강한 기세를 따르는 종화론(從化論)을 원칙으 로 취한다. 子平眞詮은 격국에서 취하는 격국용신을 쓰며 순용용신과 역용 용신을 취한다. 窮通寶鑑은 십간을 12월에 배치하여 주용신과 보좌용신을 두며, 전체적으로 조후용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오행의 기능적 용신(用神)역할 이 스며들어 있다.窮通寶鑑 <희용제요>와 본문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15개 부분 중 가을 甲木과 1월 庚金의 용신을 계절의 관점과 오행의 관점에서 체(體)와 용(用)으로 비교하고, 원문 검증하여 고정(固定)하였다. 비교 검토한 결과 窮通寶鑑은 조 후론을 기반으로 표현하지만, 철저한 오행의 상호기능적 관점이다. 계절의 관점 으로 본다면 가을의 甲木은 추수하는 계절에 결실이 목적이니 庚金을 우선한 다. 그러나 용신의 기능적 관점으로 보면 甲木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丁火를 주용신으로 취하여 예리하게 제련된 庚金으로 수삭(修削)해야 한다. 窮通寶鑑의 용신(用神)은 오행의 역할에 따라 용신(用神)을 구(求)하고 그 용신(用神)은 세트로 짝을 지어 기능적 작용을 한다. 전체의 균형과 안정을 위 하여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상호의존적으로 수행하는 파슨스의 구조기능론과 부합된다. 즉, 甲木이 丁火로 인화(引火)하고, 인화(引火)된 丁火가 庚金을 제 련하고 제련된 庚金이 甲木을 벽갑(劈甲)하여 결실을 얻는다. 木生火, 火剋金, 金剋木의 생극제화 과정이다. 丁⋅庚⋅甲이 세트로 짝을 지어 임무를 수행하 는 상호기능적 관점의 용신(用神)특징을 갖고 있다.
        6,600원
        1718.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ncise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Conflicts, Fusion, and Development” presents a panoramic view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 The book historically review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 discusses China’s contribution to the theory and institutional innov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and looks forward to the future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 and the world. More concretely, this book pays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a’s international law scholarship; closely follows the latest trends in China’s international law research; and guides further research. A careful review of the book will provide the readers with a panoramic view of the history of China’s international law. It is not only an important treatise o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in China but also an indispensable reference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circles with bibliography.
        4,000원
        1719.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ighth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Mr. Ban Ki-moon, after serving 10 years retired on January 1, 2018. His memoirs, “Resolved Uniting Nations in A Divided World” were published in 2021. Ban Ki-Moon is the only UN Secretary-General who was born and brought up in a country that not only was a victim of an invasion but also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UN, the Organization itself was directly involved in countering the invasion. Ban Ki-moon’s memoirs narrates articulately and compassionately many issues that divide the world. The efforts and ‘resolve’ of the eighth UN Secretary-General to solve, ‘resolve’ and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so to speak) is reflected in the optimistic sentiment expressed in the concluding sentence of his book: “[t]ogether our mission is possible.”
        4,000원
        1720.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dited volume of 127 pages on legal education and legal traditions is divided into eight essays. Legal education encompasses a myriad of topics spanning from economics to sexual behaviour and reflect various legal traditions, which are philosophical in nature. The traditions taken from the western European legal systems reach as far back to the Greeks highlighted in works by Aristotle and Socrates, followed by European medieval philosophers of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namely Thomas Aquinas (Roman Catholic), St. Augustine (Roman Cathlic) and Baruch Spinoza (Hebrew) as well as 17th-18th century’s European political philosophers such as Rousseau and Locke. These laws and traditions have been imported into Southeast Asian (SE) countries via the British colonialisation. These traditions do not consistently prevent the political and constitutional turmoil in some SE Asian countries under dictatorships that trample on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Morality plays a role in the law, yet it never stays the same through the ages; the law must deal with changing morality, such as attitudes towards slavery or homosexual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