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대화분석적 측면에서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재언급을 살펴본다. 말차례나 순서를 닫는 역할을 하는 재언급을 크게 두 가지, 즉 반복 재언급과 대용형 재언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대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두 가지 타입의 재언급은 모두 말차례나 연속체를 끝맺음하는 기능이 있으며, 끝맺음은 다음 화자가 신속하게 새로운 말차례를 발화하거나 현재 화자가 새로운 말차례를 발화하여 주제의 전환을 이끌어냄으로써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재언급이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및 대용형 재언급이 끝맺음 최후 통첩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현상에 대하여 논의한다.
우리나라에서 음주운전이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벌 정책과 경찰의 단속만으로 음주운전을 줄이려는 것은 매우 단편적인 대책에 불과하다. 더욱이 상습적이고 만성적인 음주 운전자에 대한 엄벌적 억제수단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또한 음주운전에 대한 형사처벌은 실제로 집행상의 많은 흠결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낮은 적발율과 암수범죄의 증가로 인하여 음주운전이 밝혀진 경우보다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고, 그나마 제재된 것도 강한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음주억제정책인 혈중알코올농도의 하향조정, 형벌강화, 삼진아웃제도 등이 음주운전에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알코올에 의존성이 있거나 상습적인 음주운전자에 대해서는 예방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수강명령과 교육처분 등의 보안처분은 어느 정도의 예방효과는 있으나 이러한 보안처분 역시 상습적인 음주운전자에 대한 억제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주운전에 대한 새로운 음주억제 정책으로 시동잠금장치와 전자감시장치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우선 차량시동잠금장치(BAIID)와 관련하여 이 제도를 시행 중인 미국과 캐나다 스웨덴의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지 맞는다면 어떻게 시행할지에 대한 논의와 검토하였다. 이에는 기술적인 문제와 비용적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음주운전 초범보다도 재범이상의 음주운전자에 대해 차에 부착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시동잠금장치는 재범 이상의 음주운전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집중보호관찰에 비해 운전자의 재산권이나 생활필수품의 이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사생활침해나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위험성을 가진 만성적 음주운전자와 같은 매우 제한된 특정집단만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희망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보안처분 중의 하나인 전자감시장치의 부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최근 특정 범죄자에 대한 전자감시장치를 착용케 하는 제도가 시행 중에 있다. 특정범죄에 재범이 우려가 있는 음주운전자와 상습적 음주운전자를 추가하는 방안이다. 다시 말해 음주운전자 중 재범의 우려가 큰 자에 대해 이와 같은 전자감시제도의 도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agreement and the unlearning of null subjects and also how the null subjects of Korean EFL learners’ interlanguage are represented in topic-bound pos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unlearning of null subjects does not necessarily help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person singular morpheme like previously put forth by pro-drop analysis, which disconfirms the long-lived belief, MUH (Morphological Uniformity Hypothesis). On the contrary,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ositions of null arguments actually conform to the positions of topic-bound positions, which leads to the suggestion of the topic-drop analysis of null subjects.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서사화 기법이 지니는 특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스토리 활성화 서사기법을 규명한 것이다. 박완서 소설의 창작방법이 지니는 특질을 밝히기 위해서는 제재와 모티프의 선택양상은 물론이지만, 그녀만이 창조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서사기법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박완서의 중·단편 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스토리 활성화 서사기법은 ‘섬세한 수다로 이야기하기’와 ‘보편적인 일상성에 덧씌우기’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실천되고 있다. 섬세한 수다로 이야기하기 기법은 심리나 행위 묘사가 미시적이고 섬세할 뿐만 아니라, 서술자와 독자와의 거리를 더욱 좁혀 친밀감으로 이끌어감으로써 스토리를 활성화시키는 서사기법이다. 박완서는 바로 섬세한 수다로 이야기하는 방법으로 스토리를 활성화하여 리얼리티와 생명력을 얻으며, 독자와 친밀하게 교류하는 특질을 지니고 있다.그리고 보편적인 일상성에 덧씌우기 기법은 평범한 일상성 속의 제재들을 전형적으로 묘사해 나가면서도, 박완서만의 섬세한 통찰력으로 보아낸 그 일상의 틈새 사이에 작가의식과 주제를 슬며시 덧씌우기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박완서 소설은 다른 어떤 작가들의 경우보다도 자신의 체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작품들은 그녀가 살아온 시대적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박완서의 소설 속에서 과거의 역사적 사실들은 이미 과거가 아닌 현재화된 역사적 현장으로 다시 생명을 부여받게 된다. 그것은 바로 박완서 소설이 지닌 스토리 활성화 서사기법에 의해 부여된 현장성과 생명력 때문이다.
This paper explores who needs what aspects of L2 English to what levels of proficiency, focusing on college English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of 532 college students in Seoul. Grounded that care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ves for EFL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based on their desired care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desired careers of the participants are highly correlative with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ir need for learning English, the kinds of English skills they want to learn, and th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they hope to achieve.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의 금지행위 유형은 첫째, 회사내부자 및 준내부자의 이용행위, 둘째, 회사관계자가 1차 정보수령자에게 정보를 주어 그로 하여금 이용하게 하는 행위, 셋째, 1차 정보수령자의 이용행위, 넷째, 1차 정보수령자가 2차 정보수령자에게 정보를 주어 그로 하여금 이용하게 하는 행위이다. 학설과 판례는 네 번째 유형의 경우 형사처벌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는 정보수령자를 편면적 대향범으로 파악하여 형법총칙상 공범 규정이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내부자 또는 준내부자가 아닌 1차 정보수령자로부터 미공개중요정보를 얻은 2차 이후의 정보수령자도 그것을 가지고 단독으로 또는 공동으로 금지행위를 할 수 있다. 대법원과 다수의 학설이 편면적 대향범은 입법자의 의사 등 여러 가지 논거에 따라 총칙상 공범규정을 부정하여 처벌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처벌규정이 없는 대향자가 그 행위 가담의 정도가 단순 수령이 아닌 적극적으로 가담한 경우까지 총칙상 공범규정 적용을 부정할 필요는 없다. 편면적 대향범에 대한 공범성립 여부는 각칙상의 규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칙상의 규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는 것은 일정한 경우 총칙상의 공범규정이 적용되어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그리고 1차 정보수령자와 2차 정보수령자가 공동 가담하여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를 한 경우와 1차 정보수령자로부터 미공개중요정보를 받아 적극적으로 이용행위를 한 2차 정보수령자에 따라 가벌성이 나뉘는것은 처벌의 불평등한 상황이다. 이러한 입장은 일반인의 법감정에도 반할 뿐만 아니라 처벌의 흠결인 것이다.
IPTV 서비스가 미래의 방송시장을 주도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망 자원이 공유되며 비 연결형, best-effort 서 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 구에서는 실시간으로 IPTV 서비스의 객관적인 품질 측정을 위해서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실시간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현하 였다. 또한 품질평가에 대한 객관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영상, 음성 스트림의 품질 측정을 위한 표준문서를 참고하여 네트워크 기반 품질지표를 선정하고 상용 계 측장비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 구현된 품질측정 소프트웨어의 성능은 상용 계측장비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한 품질측정 성능을 보였고 상용 계측장비를 대체할 수 있 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난 10 여 년간 국내 언론사의 여성기자 비율은 증가했으나 이러한 증가가 뉴스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남녀 기자간 차별이 감소와 이어지는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뉴스를 뉴스의 중요도, 취재의 강도 등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조직 내에서의 남녀 기자간 위상과 노동의 차이가 뉴스 생산물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과 2012년의 전형적인 기간 동안과 태풍이 오는 자연재해 기간 동안의 지상파 방송국 3사의 메인 뉴스 일주일을 표집하여 총 4주 분의 뉴스가 내용 분석되었다. 뉴스의 중요도 부분에서는 남녀 기자별 취재하는 뉴스 분야와 보도 순서, 보도 양의 차이가 존재했으나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을 나타난 것은 뉴스 분야이다. 특히 정치 분야에 대한 여성기자의 진출은 수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남성기자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순서의 경우에도 남성기자의 뉴스가 더 많이 앞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의 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취재원 수, 취재지역, 재난시기의 뉴스비율, 위험성 여부가 측정되었다. 취재원의 수는 남성기자보다 여성기자의 뉴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취재지역은 여성기자의 경우 과거에 비해 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시기동안의 여성기자의 취재비율 전형적인 기간보다 더 증가되어 남녀 기자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전국적으로 소, 돼지와 같은 동물에 구제역이 발병하였고, 이에 전국에 약 4,800여개의 매몰지가 긴급 조성되고 약 300만 마리의 동물들을 살처분 되었다. 이렇게 조성된 매몰지 내부에서는 가축사체가 부패하는 과정에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와 같은 악취물질이 생성되고, 매몰지 이설과정에서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본 연구에서 는 가축 매몰지 이설과정 중에 발생하는 황 계열 물질을 저온 플라즈마 시스템을 적용하 여 저감하고자 하였다. 특히 플라즈마 시스템에서 상대습도에 따른 황화수소와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DMDS) 제거량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일한 유입 조건에서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화수소와 DMDS의 제거율은 증가하였고, 이는 상대습도가 높아 지면서 발생하는 오존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황화수소와 DMDS의 오존 반응식을 깁스 자유에너지로 비교해보면 DMDS의 오존 산화가 더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황화수소보다는 DMDS가 먼저 오존에 의해 산화되며 남은 황화수 소는 촉매 층에서 추가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찰공무원은 직무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돌발적인 위험한 상황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 및 관리에 대한 실천적인 조력방법의 필요성 또한 매우 크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경기도 관내 남성 경찰공무원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군과 비교집단군에 각각 14명씩 배정 한 후 영화치료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의 증진 효과를 사전·사후·추후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 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의 하위항목인 문제해결 , 조력추구 , 정서완화 , 문제회피 , 소망적 사고 모두에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 었으며 ,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분석과 추후분석 결과 또한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참 여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따라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지원 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2011년에 전국 79개 악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공기희석관능법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악취방지법의 부지 경계선과 악취 배출원의 배출허용기준을 모사한 2개의 합성복합악취를 숙련도 시험물질(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로 사용 하였다. 부지 경계선 시료는 7ppm의 톨루엔과 7ppm m-자일렌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으며, 배출구 시 료는 10ppm DMS (dimethyl sulfide)와 10ppm DMDS (dimethyl disulfide)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는 기준값으로 평균과 중간값을 사용하고, 목표표준편차로 일반 표준편차, 로버스트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사용하여 Z-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결 과의 변동계수는 PTMs의 냄새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복합악취에 대한 숙련 도 시험 결과는 악취희석배율보다 로그 스케일의 악취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 절했다. 두 PTMs에 대한 참여기관의 Z-점수를 변동계수, 표준편차, 그리고 로버스트 표 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가할 때, 참여기관의 95%가 숙련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목표 표준 편차를 변동계수의 20%로 설정하였을 때 참여기관의 만족도 비율은 부지경계와 출구 PTM 시료에 대해 각각 90%와 95%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부지경계와 출 구의 복합악취를 모사한 두 합성 PTMs 모두 복합악취의 숙련도 시험물질로 적합하였다.
도시지역 합류식 하수배제 설비인 우수받이 및 하수관거, 정화조 등에는 유기성 고형 물이 퇴적되기 쉬우며, 유기성 퇴적물이 부패되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황계열 악취물질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산화방식을 이용하여 유기성 퇴적물 내에 용존된 악취물질 및 전구물질을 저감시켜, 하수관거에서 기상으로 배출되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밀폐된 회분식 반응기에 하수슬러지(COD 기준 8,000 ~ 28,000 mg·L-1)를 투입하고, 발생되는 악취물질 농도와 악취발생특성을 조사하였다. 여기에 전기산화시스템 을 적용하여 황계열 악취물질과 전체 유기물의 산화 및 분해실험을 진행하였다. 전기산 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밀폐된 반응기의 기상에서 450 ppm의 고농도로 발생한 황화수 소가 반응 30분 이내에 검출한계 이하까지 제거되었으며, 메틸머켑탄과 디메틸설파이드 는 85% 이상 제거되었다. 투입된 전기에너지당 황계열 악취물질의 제거율은 최대 0.33 mg-S·kJ-1로 나타났다. 또한 1시간의 반응기간 동안 회분식 반응기 내에서 황계열 악취물 질 뿐만 아니라 고농도 퇴적물에 함유된 전체 유기물 농도가 56% 감소하여, 전기산화시 스템이 악취를 유발하는 유기성 전구물질을 동시에 저감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 으로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하수관거 퇴적 유기물에 의한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2013년 8월부터 시행된 문화예술교육법 하에 새롭게 시행되는 문화예 술교육사 양성제도에 관하여 교육학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관련 선 행연구 검토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의 탄생배경과 법제정 , 제도를 살펴보고 , 문화예술 교육사의 자격조건과 양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위상과 중요성은 날로 커져 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 현 행 문화예술교육사의 핵심역량에 비추어 볼 때, 양성제도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자로서 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국가자격증으로서의 위 상과 가치유지를 위해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활성탄의 CO2 흡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전처리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방법과 이론이 존재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아미노화와 분해를 비교하여 흡착능을 비교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유형의 활성탄 입자를 원료 물질과 크기에 따라 준비하였고, 수산화칼륨으로 전처리하여 열처리 및 아민화과정을 거 친 후, CO2 흡착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단순 열처리과정만 적용할 때는 600℃ 가 가장 우수하였고, 800℃에서 아민화시킨 시료가 1.4 mmol/g의 가장 좋은 흡착능을 보 였다. 400~600℃에서 아민화를 시킨 시료는 처리온도와 비례하는 선택도를 보여주었다. 분해시간 또한 흡착능과 정비례하는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선공장 에나멜와이어 코팅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저감방안을 마련하고, 악취를 저감한 사례를 소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악취 발생원과 오염물 질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복합악취와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악취저감시설 인 촉매산화장치의 효율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고, 전선공장의 악취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공정상에서 관리 부주의로 인하여 악취를 저감 시켜주는 촉매산화장치의 촉 매가 높은 온도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고, 발생된 오염물질이 옥상의 Push-Pull 덕 트 및 다양한 이동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악취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사업장 실정에 알맞은 개선안을 마련하였고, 실제로 사업장 관리 를 개선한 결과 악취가 50 % 정도 저감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악취발생에 대하여 인천지역의 악취관리지역 이외 지역인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관능법을 이용한 시민 모니터링을 통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지역에 따라 지역별로 생활악취와 산업부분 악취발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시 간별로는 대부분 저녁이나 아침시간대에 세기가 강한 악취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갖고 도시지역으로서 악취관리지역 이외의 지역에 대한 악취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창작뮤지컬을 선택할 때 관람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 성이 관람 후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선택 속성은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주연급배우 , 무대구성 , 연출 , 공연장 , 관람비 용, 직원서비스 , 다른 사람들의 평가로 총 8개의 측정항목이며 ,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 정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8개의 선택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공연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 행하였다 . 분석결과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뮤지컬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 , 창작 뮤지컬의 주연급배우 , 연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연급배우에서는 배우의 연기력과 평소이미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 무대구성에서는 조명장치와 세트디자인이 , 연출에서는 전반적인 안무와 배우캐스팅 , 내용구성에서는 기억에 남는 대사와 스토리내용 , 공연장에 대한 인식에서는 청결성과 주차시설 , 관람비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대시설 이용요금 , 티켓가격 , 직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에서는 직원의 친절 성과 전문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작뮤지 컬의 열악한 제작환경에서 무엇에 더욱 집중해야하는지 시사점을 주며 , 관람객들에게 작품을 어떻게 인식시킬 것인가 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
효율적인 악취관리를 위해서는 민원지역에서 발생한 악취를 분류하고, 그 악취원을 분 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원지역에서 발생한 악취를 나타낼 수 있는 악취대표패턴과 악취원의 냄새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민원지역의 악취분류를 위해 k-me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악취데이 터에 대한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악취대표패턴과 미리 측정된 악취원별 냄새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악취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여러 악 취가 섞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non-negative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해당 악취에 대해 책임 이 있는 하나 이상의 악취원과 기여도를 추적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악취 관련 민원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샘플링 방법은 백을 이용한 샘 플링 방법과 흡착관을 이용한 샘플링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기시료를 이 용하여 두 샘플링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의 채취방법에 따른 회수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청국장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의 회수율이 백 샘플링보다 흡착관을 이용한 샘플링 에서 평균적으로 98.6 %의 percent difference (PD)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보닐 계열과 방향족은 19.2와 34.3 %로 비교적 적은 차이를 나타냈다. 각 성분 중에서 butyl acetate는 0.50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TMA도 마찬가지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2.13 %). 이러한 결과는 현장 조건에서 채취방식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본 연구는 변형되거나 재창조된 콘텐츠인 매쉬업 콘텐츠를 중심으로 제작자의 수용자 능동성 혹은 개혁성을 탐색하고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확산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매쉬업 콘텐츠 제작자는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선택하고 , 필요에 따라 유용하며 ,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선호하는 콘텐츠를 완고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개혁적인 성향으로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실천적 활동을 하고 있었다.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살펴보면 , 기술적 매쉬업 수준은 대체로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편집 이음새 , 영상 결합의 통일성 , 원본 영상의 보전에서 품질이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 스토리 매쉬업 부분에서 영상 발췌, 캐릭터 선정, 스토리 구조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하였고 재미의 부분에서는 몰입도가 높고 편집 기술에 호 기심이 생겼다고 답하였다 . 마지막으로 영상 매쉬업 수준에서는 스토리 전개를 결정짓 는 요소가 내용 그 자체도 있지만, 영상의 배경이나 색감, 배경음악 등이 스토리의 전 개의 연결성을 보완한다고 답변하였다 . 또한, 영상콘텐츠의 확산 방법은 ‘직접 업로드 ’, ‘구독하기 ’,‘좋아요 ’,‘공유’‘포스팅' 등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결과의 함의를 살펴보면 , 매 쉬업 콘텐츠는 이용자 주도적 편집 교육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확산은 콘텐츠 유통의 전략 방안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