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stomized suit designs incorporating flower and bird painting patterns from Korean folk painting and to propose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customized fashion design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concepts and types of customiz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design. Second, flower and bird painting patterns found in Korean folk painting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ymbolic meanings and developed into digital patterns. Third, flower and bird painting patterns from Korean folk painting were utilized in the suit designs following the principles of customized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Customiz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imple combination, selective adjustment, and creative assembly.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design were identified as customer participation and product modularity.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flower and bird motifs were categorized into six themes: happiness, wealth, longevity, fertility, love, and protection against evil. The resulting digitally developed patterns sought to integrat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to customized fashion design. The final suit designs demonstrated hyper-individuation through modular assembly, enabling both customer participation design and product modularity. Detachable elements that modularize the jacket structure enhanced customizability while promoting sustainable and eco-conscious design practices.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가 확장된 가상 세계를 말하며, 해기 교육에서 시뮬레이터와 함께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새로운 학습 매 체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메타버스(XR)를 수업에 적용한 해기 교육 연구 사례가 드물며,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해기 교육 수업에 적용 했을 때 나타나는 학습적 효과를 학습동기, 상황적 흥미, 수업만족도, 친숙화 측면에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의 메타버스 프로그램(XR)을 제작하여 B고등학교에서 해기 교육을 수료 중인 기관과 1학년 5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 구 결과는 학습 동기가 상황적 흥미와 수업 만족도, 친숙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적 흥미의 경우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함으로써 수업만족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크로스핏(Cross-Fit)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2024년 11월 4일~2025년 3월 24일까지 총 213명을 수집하였으며, 불성실 한 응답 25명을 제외한 유효표본 188명을 SPSS와 AMOS 25.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시된 가 설의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적인 커뮤니 케이션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통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식하지 만, 지도자의 적절한 통제는 신뢰와 전문성에 기반할 때 의미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 지막으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강도 운동환경인 크로스핏에서 참여자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 의 지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연안에 위치한 9개소의 백사장(해수욕장)을 대상으로 해양수산부 연안침식 실태조사에서 조사된 평균해빈 폭, 평균단면적, 전빈기울기 등의 현장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장기 해안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연안 인근에 위치한 장기 해양파랑 관측자료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1) 2009년부터 2023년까지 15년간의 해빈 관측자료로부터 평균해빈폭의 평균값이 큰 해빈 의 순서대로 나열하면 해운대 60.18 m, 송도 57.82 m, 송정 49.56 m, 광안리 48.45 m의 순이었다. (2) 해빈의 전빈기울기 평균값이 큰 순서대 로 살펴보면 감지 13.80°, 중리 8.54°, 송도 7.87°의 순이었다. 해빈의 전빈기울기가 클수록 연안침식에 의해 평균해빈폭 및 단면적이 작게 나타났다. (3) 외해에서 유입되는 파랑에너지는 천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약 50% 정도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였다. 평균 해빈폭의 변화 는 외해 해양파랑의 월별 총에너지 변동과 동일한 시점에 변화하였다. 해양파랑 총에너지 값이 큰 경우에는 해빈의 폭이 줄어들었고 해 양파랑 총에너지가 작게 내습하는 시점(2015년, 2016년, 2021년)에는 해빈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은 청나라 후기 유명한 서예가 조지겸(赵之谦)과 그 의 행서(行书) 작품<매화암시병(梅花庵詩屏)>에 초점을 맞추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나라의 첩학(帖学)이 쇠퇴하고 비학(碑学)이 부상한 배경 속에서 조지겸은 비학 이론의 뛰어 난 실천자로서 북위(北魏) 시대 비석글씨와 행초(行草)의 장점 을 융합하여 '비체행서(碑體行書)'의 새로운 양식을 창조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그의 서예 학습 과정을 정리하였는데 초 기에는 안진경(顏真卿)과 송나라, 명나라 서예가의 영향을 받았 고 , 후기에는 경사(京师)에서 금석학을 탐닉하는 친구들과 교 류하면서 동치(同治)4년에 서풍(书风)변화를 완성했다. 이어서 서예 기법의 3요소인 필법(筆法), 자법(字法), 장법(章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매화암시병>의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 를 들어, 독특한 권봉(卷鋒)필법, 관례를 깨는 글자 구조, 교묘 한 장법 배치 등이 있다. 그 다음에 그의 행서가 현대에 미친 영향을 탐구했는데 서예 전시회에서 조지겸의 서풍이 성행하여 관련 수상작이 많았지만 학자들은 취법(取法) 때 '무아(无我)' 에서 '유아(有我)'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에 따르면 조지겸의 서예 혁신은 시대의 요구와 서예사 발전 규칙 에 부합하며, 현대 서예 창작과 연구에 중요한 참고적 의미를 갖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temporal changes 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discourse on the Hanbok experience from 2015 to 2024. A total of 9,227 posts containing the keyword “Hanbok experience” were collected from Naver and Daum news, blogs, and cafes using Textom text mining software.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2015–2017 (popularization), 2021–2022 (post-pandemic consumption shift), and 2023–2024 (global expansion and digital integration). Frequency and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analyses were conducted on key terms, follow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mmunity detection using the Wakita–Tsurumi algorithm to compare discourse structures across periods. Additionally,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correlation analysis with UCINET was used to examine discourse continuity and change. Consumer discourse consistently featured keywords related to traditional tourist sites, services, and emotional experiences, with online and regional content emphasized during the pandemic. Recently, discourse evolved by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ies, K-pop, and metaverse trends, reflecting new cultural consumption forms. Spatially, the focus shifted from Seoul to regional and modern spaces, while experience methods and events diversified beyond traditional frameworks. Network analysis showed recurring core clusters, indicating resilient key concepts despite social shocks, such as the pandemic. Hanbok experiential tourism evolved from a focus on traditional culture to one that combines modern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underscores the evolving role of hanbok experiences as a sustainable cultural tourism product that integrates fashion, digital technology, and immersive event design,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tourism and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Background: The integration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necessitate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utcomes.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Bartle’s player types (Achiever, Explorer, Socializer, Killer) and Reid’s perceptual learning styles (Visual, Auditory, Tactile, Kinesthetic) among 343 South Korean nursing students. Results: Socializer was the most common player type (34.7%), and Auditory learning was the most preferred style (31.7%).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such as Achievers aligning with Auditory styles and Explorers with Kinesthetic styles. Conclusion: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gamific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diverse learner profiles, offering a pathway to enhance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최근 동해 연안(≤300m)의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자원량의 급격한 변동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현장 및 해색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겨울철 표층 수온, 산란 적합 서식지(Suitable Spawning Habitat, SSH) 및 지속 면적(Consistently formed Suitable Spawning Habitat, CSSH), 봄철 chlorophyll-a (chl-a) 농도의 장기 변동성(2000-2024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eriod B (2005-2009년), C (2010-2016년)에는 모두 CSSH 중심과 높은 chl-a 농도가 공간적으로 일치하여 초기 좋은 먹이 환경이 형성되었으며, 특히 Period C에는 SSH 면적의 급격한 증가가 어획량 상승에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Period D (2017-2024년)에는 겨울철 수온이 평년 대비 0.6 ºC 높게 나타났으며, CSSH의 중심부가 북상 하고 SSH는 Period C 대비 면적이 약 34% 감소하였다. 동시에, 봄철 chl-a의 고농도 지역과 CSSH의 중심부와 공간적인 불일치(mismatch)가 발생하였다. 종합적으로, 도루묵 자원량의 급격한 변동은 산란장 면적과 위치, 지속성, 먹이원의 공간적 일치 여부 등 복합적 환경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의 급격한 자원량 감소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산란장 축소와 산란장 중심부에서의 먹이원 부족으로 인한 초기 생존율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도루묵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과 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8년부터 해양환경관리법에 의해 시행되어 온 해역이용협의 및 해역이용영향평가제도가 분법되어 2025년 해양이용영향평 가법으로 시행되었다. 해양이용협의와 해양이용영향평가의 일부 대상사업에 대하여 변경되었으며, 그 중에서 일반해양이용협의 대상사 업인 해수 인·배수 사업의 특정 규모(관 지름 400 mm 이상이고, 관 길이가 150 m 이상이고, 관의 점용면적이 3,000 m2 이상)와 공유수면 을 점·사용하는 부선 설치 사업(무동력장치, 60일 이내)을 간이해양이용협의 대상으로 지정하여 기존 적용 범위를 완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이해양이용협의서의 작성방식, 작성자의 전문성 결여, 현황파악을 위한 해양환경자료의 부실 등과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남 아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이용영향평가법의 적용을 받는 과거 간이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의 유형을 파악하고, 간이해양이용 협의서 작성 시 문제점 분석과 함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vers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ignatur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fashion while primarily brand focusing on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To this e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5 emerging Korean designers were conducted. The news article analysis revealed six types of signatures: design based on formative sensibility expression, strategically constructed designer/brand identity, brand practices carried by cultural and spatial experiences, craftsmanship and custom production,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designs, and text-based visual symbolic system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identified five types of signatures among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design expressions evolving from designer and brand identity, production emphasizing practicality and craftmanship, brand experiences based on spaces, visual narrative symbolism, and limited-edition items. Unlike established fashion brands that focus on fixed visual or textual elements through strategic planning by the established fashion brands,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gradually and dynamically develop signatures which are grounded in personal philosophy, ethical values, and ongoing interaction with consu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signatures of emerging Korean designer brands are not merely aesthetic repetitions, but are instead representations of evolving and situated expressions that interacts with and responds to socio-cultural changes and contexts.
한(漢)나라 시기의 유교 사상은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지배사 회에 이념적 영향력을 끼치지 못해 불교와 도교 사상의 도전에 직면해 왔다. 이후 수・당(隋・唐)시기에 이르러 비로소 과거 (科舉)제도가 발전하게 되면서 유교의 경세치용(經世致用) 사상 이 정치에 전면적으로 제도화되어 권위가 확립되었다. 이러한 큰 변혁은 서예술과도 깊은 상호작용을 이루게 되었다. 안진경 (顔真卿) 해서는 정연하고 웅장한 스타일과 강직하고 위엄 있는 기백으로 한(漢)나라 시대 동중서(董仲舒)가 주창한 ‘대일통(大 一統)’ 학설과 긴밀히 연결된다. 예를 들면, 현재 전하는 안해 (顏楷)의 진적(真跡)인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이다. 본 연구 는 <대당중흥송>를 대상으로 미학적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방 법을 이용하여 그 뒤에 내포된 당나라 유가사상이 서예예술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과 형성과정을 깊이 탐구하고자 한다. <대당중흥송>은 자획(字劃)이 단정하고 당당하며 기세가 웅 장하여 유교가 추구하는 중용(中庸)정신과 평화롭고 강직한 미 학 이념과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서예와 전통문 화 가치관의 깊은 융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 다. 본 연구는 유학 사상이 서예에 미치는 영향과 <대당중흥 송>의 미학적 분석 및 심미적 가치의 세차원 경로를 통해 <대 당중흥송>에서 유학 사상과 서예 예술의 상생(相生) 관계를 탐 구하고자 한다.
Using the S-O-R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consumer behavior in live commerce. Social presence, consumer trust, and service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key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on service adoption intention was empirically examine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in their 20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6. Findings show that platform interactivity significantly enhances social presence. Source characteristics positively impact both consumer trust and service satisfaction, while content informativeness exer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ll three variables.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presence affects adoption intention indirectly via service satisfaction and also through sequential dual mediation involving trust and satisfaction. The direct path from social presence to adoption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underscoring the critical role of service satisfaction in the adoption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interactivity strengthens perceived social presence, it is ultimately trust and satisfaction shaped by source credibility and content informativeness that drive adoption intention. The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of consumer psychological responses in digital retail environments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Enhancing content quality and strengthening source appeal are essential strategies for boosting consumer adoption of live commerce services.
Environmental DNA (eDNA)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aquatic biodiversity monitoring, yet its collection in lentic ecosystems remains technically constrained by filtration capacity and field logistics. In this study, we applied a novel eDNA concentration system, QuickConcTM, to evaluate freshwater mussel diversity in lakes, and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GF/F filtration metho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servoirs at surface, mid, bottom, and waterside layers, and processed using both filtration techniques. Metabarcoding of mitochondrial 16S rDNA revealed that QuickConcTM captured a higher average number of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and exhibited great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Shannon and Simps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ickConcTM samples showed a greater capacity to detect rare taxa and to recover higher ASV richness in certain case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biodiversity resolution. Species composition remained consistent across methods, with Cristaria plicata and Sinanodonta lauta being dominant in both cases. However, slight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assemblages were observed between center and waterside sampling poin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habitat heterogeneity on eDNA distribution.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ickConcTM system offers a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s for eDNA-based freshwater mussel monitor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with high suspended solid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adaptive sampling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method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when designing eDNA surveys in lentic ecosystems.
Freshwater bivalves contribute to key ecological functions in lake ecosystems, yet their cryptic and benthic lifestyles often hinder detection through conventional surveys. In this study, we applied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to assess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unionid bivalves in six lakes across Republic of Kor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sampling strategies-Center Surface, Center Mix, and Waterside Surface-and processed using 16S rDNA-targeted primers followed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A total of four unionid species (Cristaria plicata, Sinanodonta lauta, Unio (Nodularia) douglasiae, and Anodonta woodiana) were detected across 18 sampling points. Notably, eDNA successfully identified unionid presence in all lakes, even where conventional surveys failed to observe individuals. Among the sampling strategies, Center Mix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for Shannon and Simpson indices as well as ASV richness. Waterside Surface samples generally showed lower diversity and detection frequency. A Venn diagram of ASV occurrences revealed three ASVs shared across all sampling strategies and one unique ASV found only in Center Mi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mpling location significantly affects detection sensitivity and diversity representation in eDNA-based bivalve monitoring. Combined application of Center Mix and Center Surface strategies may enhance both detection efficiency and species diversity coverage in lentic environments.
본 연구는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시간 의식을 중심으로 ‘현상 학’을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삼아 종합회화를 창작할 때 어떻게 멀티미디어와 다차원적인 형태로 추상적인 철학적 시간 개념을 구체적인 시각적 경험으로 전환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에드문 트 후설은 시간은 단순한 선형적인 흐름이 아니라 ‘인상 (Impression)’, ‘파지(Retention)’, ‘예지(Protention)’로 구성된 내 적시간 구조라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내적시간 의식 이론을 활용해 종합회화가 어떻게 매체의 중첩, 탈구축, 재구성을 통해 시간의 다차원성을 보여주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창작이 이루어 지는 매 순간은 ‘현재성’을 외재화한 것이면서도 과거 기억에 대 한 지속과 미래에 대한 열린 기대를 담고 있다. 논문은 종합 회화의 창작 과정과 최종 형태가 내적 시간 의식 의 복잡한 교직(交織)을 구현함을 깊이 있게 설명한다. 즉, 모든 창작 행위는 '근원 인상(primal impression)'의 현재적 드러남인 동시에, 과거의 층위와 흔적에 대한 '파지(retention)'를 필연적 으로 내포하며, 나아가 미래의 화면 형태와 의미를 향한 '예지 (protention)'를 잉태하고 지향한다. 이 과정에서 매체는 단순히 물질적 지지체를 넘어 시간의 '물질적 증거'가 되며, 그 물리적 특성과 조합 방식은 시간의 층위성, 연속성 및 잠재적 변화를 담 지하고 드러낸다. 작품 형식의 개방성과 미완결성은 관객이 자신 의 내적 시간 의식으로 해석에 참여하여 유동적인 의미를 함께 구축하도록 이끄는데, 이는 '예지'의 미래 지향성과 호응한다. 본 문은 리히터, 폴록, 켄트리지, 블라지 등 예술가들의 작품 사례 분석을 통해, 종합 회화가 어떻게 '근원 인상'의 즉각성, '파지' 의 회고성, 그리고 '예지'의 예기성을 단순한 선형적 중첩이 아닌, 다차원적 예술 시공간 속에서 함께 얽혀 공존하게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종합 회화가 그 독특한 예술 실천을 통 해 단순히 회화의 표현 경계를 확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중 요하게는 내적 시간 의식이라는 추상적 철학 사변을 감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며 시간의 깊이를 함축한 실존적 체험으로 전환시킨 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예술, 시간, 그리고 주체 의식의 관계 를 이해하는 데 있어 현상학의 구체적 예증과 깊은 통찰을 제공 한다.
Despite its historical association with oppression, fear, and marginalized femininity, modern reinterpretations of the figure of the witch position it as a symbolic entity combining historical context and literary imagination. This study analyzes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that incorporate witch imagery, focusing on the designs' representational method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evolving perceptions of witches across different eras as well as visual and formal analyses of post-2010 fashion collections, using image and text materials from Showstudio.com and other online sources. In various realms of visual culture–including art, film and drama, advertising, product design, and halloween costumes–the image of the witch is no longer confined to traditional iconography. Instead, it is continuously reimagined, taking on expanded and multifaceted meanings that attest to its unique and evolving nature. This study identifies two primary expressive types: direct iconographic appropriation, employing traditional motifs such as pointed hats, black cloaks, and pentacles; and metaphorical suggestion, using dark tones, deconstructed silhouettes, and layered styling to imply the witch's essence. The analyses also highlight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empowered sensuality, expressed through sheer fabrics and dramatic makeup; supernatural mysticism, combining natural and occult symbols; and uncanny playfulness, which subverts traditional motifs through fantasy and humor. Ultimately, the witch in contemporary fashion serves as both a stylistic code and a visual signifier of cultural narrative and identity. This reimagining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aesthetic systems in fashion and broadened the visual culture and design innovation discourse.
Environmental DNA (eDNA) analysis has emerged as a powerful tool for biodiversity monitoring due to its efficiency, standardization potential, and cost-effectiveness.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eDNAbased zooplankton monitoring in Korean lakes by comparing three DNA methods-eDNA, iDNA, and eiDNA-with traditional microscopy. Sampling was conducted in six lakes with varying conditions. eDNA was obtained from lake water, iDNA from unpreserved zooplankton incubated in water, and eiDNA from zooplankton incubated in ethanol. DNA metabarcoding detected more taxa than microscopy, but dominant taxa overlapped, mainly Daphnia. While DNA methods showed higher richness, Simpson and Shannon indices were higher in microscopy, reflecting differences in quantification methods. These discrepancies reflect methodological differences in how taxa are quantified and suggest that DNA-based approaches may overrepresent certain groups in richness estimates. In addition, false negatives were observed for several common rotifer species (e.g., Keratella, Polyarthra), likely due to incomplete reference databases and high intraspecific genetic diversity. Conversely, some taxa detected only by DNA-particularly small-bodied or rare crustaceans-may represent false positives relative to microscopy.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reference libraries and interpreting DNA results with caution, while also supporting the utility of DNA-based methods as complementary tools in zooplankton monitoring and national biodiversity assessments.
Phytoplankton play a vital role as primary producers in freshwater ecosystems, contributing to the nutrient cycle, energy flow, and ecological stability. To accurately assess phytoplankton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this study compared traditional microscopy and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n six small lakes located in the Han, Geum, and Nakdong River basins in Korea. eDNA analysis identified 268 species from 161 genera, approximately 2.4 times higher than microscopy, which detected 113 species from 68 genera. The eDNA data were dominated by picocyanobacteria such as Synechococcus and Cyanobium, while microscopy primarily revealed larger taxa, including Stephanodiscus and Scenedesmu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showed clear separ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with average similarity values of 0.0326 (1st survey) and 0.0221 (2nd survey) at the species level. Only 6.8% of the 429 total species were commonly detected by both methods, while overlap at the genus level was 18.8%. Spatial heterogeneity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based on eDNA was also evid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location, with the centre of the surface showing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overlap, suggesting its suitability for biodiversity monitor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eDNA metabarcoding in capturing phytoplankton diversity and highlight its complementary role in existing biomonitoring programmes. Further improvements in the quantitative reliability of eDNA-based assessments will require efforts such as copy number normalisation, methodological standardisation, and refinement of reference databases.
본 논문은 한국화의 채색 분야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한 천경 자 화풍의 시기별 변모 과정을 분석하고 작품에 나타난 독창적 인 색채미를 연구하였다. 천경자의 작품활동은 1941년에 시작한 일본 유학 시절, 귀국 후 1945년부터 시작된 국내 활동, 1970년대 해외 스케치 여행 을 통한 작품 제작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일본 유학 시절 습득 한 일본 화풍과 귀국 후 일본 화풍을 극복하고 한국 전통 색채 미를 변용해 제작한 작품 제작, 1970년대 이후 해외에서의 경 험을 통해 독창적이고 환상적인 색채미로 제작된 작품을 시기 별로 나누어 조망하였다. 천경자의 색채 정서는 화려하면서도 섬세한 여성미이다. 귀 국 후 전통 조각 보자기나 옷감의 색채를 도입한 작품에는 한 국의 색 감정이 배어 있다. 물론, 해외여행 이후 작품에 나타난 이국적이고 환상적인 색채미와는 차이가 있지만, 그녀의 정체 성을 기반으로 탄생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외여행 이후의 색채는 주체적인 작가의식의 색 감정 표현으로 그동안 한국화 에서 볼 수 없었던 지극히 자율적인 색 해석이 담겨있다. 1980년대 이전 한국 채색화는 일제강점기 때 유입된 일본 화 풍의 영향으로 왜색화풍이라는 오명 속에 경시되었다. 천경자 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의 전통 색채미와 기법을 복원하고 이후 오롯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조형성과 색채미를 발현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화의 현대화 과정에서 이전에 볼 수 없 었던 천경자만의 회화 양식으로 나타났다. 천경자의 예술세계 는 개인의 성과를 넘어 한국 채색화의 세계화에 새로운 이정표 를 제시한 회화사적 업적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이 학교 밖 교육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 는지를 평가하고, 향후 과학관 전시 및 프로그램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분석 틀을 바탕으로 전시 내용을 코딩하여 분석하는 지시적 내용분석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자료의 시각화를 위해 기술통계학을 활용한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의 해양과학관과 기상과학관 각 1곳씩 총 2기관을 선정하여 총 150개 의 전시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는 선행연구(Lee, 2024; Park et al., 2018; Park et al., 2021)에서 제시된 민주시민 역량 분석 틀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6요소, 그리고 전시유형 분석표를 기준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전시물에서 민주시민역량의 정보처리능력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요소가 지배적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전시 관람방 식은 대부분 수동적이어서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전시물을 탐구할 기회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목적에도 탐구 보다는 설명 중심의 전시가 많아 민주시민역량과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에서 민주시민역량함양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커뮤니케이션 의 요소와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전시연출 방안을 제안했으며, 도슨트 프로그램 강화 및 과학대중화(PUS)를 목표로 한 전시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