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8

        18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oftware simulator is developed for verifying the VLBI Correlation Subsystem (VCS) trial product hardware. This software simulator includes the delay tracking, fringe rotation, bit-jump, FFT analysis, re-quantization, and auto/cross-correlation functions so as to confirm the function of the VCS trial product hardwar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oftware simulator, we carried out experiments using the simulation data which is a mixed signal with white noise and tone signal generated by software. We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software simulator is similar as that of the hardware system. In case of spectral analysis and re-quantization experiment, a serious problem of the VCS hardware, which is not enough for expressing the data stream of FFT results specified in VCS hardware specification, was found by this software simulator. Through the experiments, the performance of software simulator was verified to be efficient. In future, we will improve and modify the function of software simulator to be used as a software correlator of 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
        5,200원
        18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68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including 11 reference strains and 57 isolates from imported US beef, domestic meats (beef, pork, chicken meat), raw milk, and milk plants. L. monocytogenes was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virulence proteins, such as hemolysin (LLO) and lecithinase (LCP), the adsorption of Congo red (CRA), and to detect virulence gene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e study of virulence protein production, 68(100%), 62(91.2%), and 54(79.4%) of the 68 L. monocytogenes strains were positive for LLO production, the LCP test, and the CRA test, respectively, while strains of other species, such as L. innocua, L. gray, L. murrayi, and L. welshimeri, wer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 monocytogenes serotypes and the ability to produce LLO or LCP. L. monocytogenesstrains had very high hemolytic titers (2 to 16 fold), while the other Listeria species, other than L. ivanovii and L. seeligeri, did not. The hemolysin activities of L. monocytogenes, L. ivanovii, and L. seeligeri usually exceeded 1.0 HU/mg, while those of other Listeria spp. were less than 0.04 HU/mg. In the PCR assay, all of the L. monocytogenes strains contained the hlyA, plcA, plcB, inlA, and inlB virulence genes and produced a product of the expected size. In the PCR of the actA gene, the expected 385-bp product was seen in 39(57.4%) L. monocytogenesstrains, while an unexpected 268-bp product was seen in 29(42.6%) strains. Most L.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Hanwoo beef produced the 385- bp actA gene product, while strains of imported US beef usually produced the 268-bp actA gene product. By contrast, no virulence gene products were amplified in the other Listeria spp.
        4,000원
        186.
        2008.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condhand smoke (SHS) is one of major public health threats in morbidity and mortality. Several national and regional comprehensive smoke-free regulations have been implemented to prevent public health exposure, but no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review impacts of the national or regional smoke-free legislations on indoor air quality, health effects and smoking behaviors. Indoor air quality has been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smoke free policy. Such improvement was measured by fine particulates and urinary cotinine.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health effec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smoke free policy. This is an indirect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the health effects. Respiratory symptoms were improved as short as one month after smoke free policy. Smoke free policy was also associated with improved perception of danger of secondhand smoke. Reduction of smoking prevalence was also unexpected benefit of smoke free policy. As reviewed in this paper, smoke free policy can be beneficial to indoor air quality, health effects and smoking behaviors. Since Korea does not have comprehensive smoke free policy ye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mplement national comprehensive smoke free policy.
        4,900원
        18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하며 열에 민감한 기능성 물질의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는 beta-lactoglobulin (β-Lg) 나노입자 연구는 건강 기능성 유식품 개발에 기여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otein self-assembly 방법을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를 제조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 제조 공정요인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 형태 및 화학적 특성 연구가 수행 되었다. 65℃ 열처리 온도와 1mM CaCl₂에서는 β-Lg나노입자가 형성 되지 않았다. 그러나 CaCl₂농도가 2mM에서 5mM로 증가 함 에 따라 나노입자 형성이 관찰 되었고 그 입자 크기도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Cl₂농도가 증가 할수록 turbidity 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CaCl₂농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와 Ca²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온도가 55℃에서 85℃로 증가함에 따라 β-Lg나노입자 크기가 증가 하였고, 이러한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의 내부 free sulfhydryl 기와 관련된 분자간의 disulfide 결합이 입자형성에 관여함 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나노입자 형성과 입자크기 조절에는 CaCl₂농도와 열처리 온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9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과일 주스 4종을 준비하고 식중독 유발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almonella Typhimurium를 접종하여 14일 동안 4℃에서 보관하며 항균 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 monocytogenes 에서는 매실 주스가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보존 14일만에 생존하고 있는 균을 전혀 측정할 수 없었으며, 그 다음으로 키위가 3.0 log만큼 억제를 보이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감귤의 경우 1.0 log만큼 억제하는데 그쳤다. 매실주스 10%를 다른 주스에 혼합하였을 때 L. monocytogenes는 키위 즙에서 더욱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14일 후 생존 균을 측정할 수 없었고, 감귤주스에서도 1.5 log 만큼의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은 전반적으로 L. monocytogenes 보다 더 쉽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키위 즙과 매실 주스에서 접종한 모든 균이 보존 14일 후 생존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귤의 경우에는 1.4 log 만큼밖에 억제하지 못했다. 10%의 매실과 혼합된 주스에 S. Typhimurium을 접종한 결과 키위 즙에서는 접종한 전 균이, 감귤주스에서는 3.2 log 만큼의 증가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매실은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과실주스에서의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보존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9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posed KVN (Korean VLBI Network) clock system in order to make the observation of the VLBI effectively. In general, the GPS system is widely used for the time information in the single dish observation. In the case of VLBI observation, a very high precise frequency standard is needed to perform the obser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ation frequency using the radio telescope with over 100km distance. The objective of the high precise clock system is to insert the time-tagging information to the observed data and to synchronize it with the same clock in overall equipments which used in station. The AHM (Active Hydrogen Maser) and clock system are basically used as a frequency standard equipments at VLBI station. This system is also adopted in KVN. The proposed KVN clock system at each station consists of the AHM, GPS time comparator, standard clock system, time distributor, and frequency standard distributor. The bas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AHM system specific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ed KVN clock system.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KVN clock system configur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4,200원
        198.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인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LOTCA)를 실시하고 수행 점수 간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MSE-K, LOTCA, ACLS 평가하였다. 결과 : ACLS와 MMSE-K, LOTCA는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CLS는 일상생활의 도움 유무와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MSE-K와 LOTCA는 연령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ACLS 수행점수는 MMSE-K와 .605, LOTCA와 .678의 높은 상관관계를, MMSE-K와 LOTCA는 .73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CLS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인지검사로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