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orea's agriculture has been forced to change due to the decline in agricultural population,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us, agriculture is seeking to develop into a sixth industr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find high-function alternative plant resources for health promotion to meet the changes in national needs for agricultural products.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is the raw material of food code that produced by the biotechnology technique. introduced in the culture of the plant, which is the only way to use a raw material of foo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of ginsenoside in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ginsenoside precursor was treated and ginsenoside contents were analyzed.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 of precursor treatment on the production of ginsenoside in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5 g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mountain ginseng were cultured in liquid SH media supplemented with 2 ㎎/l IBA, 3% sucrose for 8 weeks, which was co-cultured with β-sitosterol and Squalene (0.0625 to 1 mM) or without. Determination of 17 ginsenosides contents of each extract was carried out by HPLC. Rb3 was accumulated by only β-sitosterol, also it increased production of total ginsenoside in the cultured ginseng roots at a concentration of 0.125 mM, which was 2.47-fold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78.13 ㎎/g of extract). Conclusion : These results are an important to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of ginsenoside in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and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in dietary health supplement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2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 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 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 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 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 μ 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 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 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 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 μ 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
        2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나나잎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바나나잎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미치는 효과를 B16F10 세포주를 활용하여 cell viability, mRNA 발현 및 tyrosinase (Tyr) 활성 저해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10%의 바나나잎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합성을 6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정량적 real-time RT-PCR을 수행한 결과 바나나잎 추출물이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 tyrosinase mRNA 발현을 각각 20 / 40 / 60% 가량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바나나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자외선 조사 직후 바나나 잎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의 육안평가 결과 유의한 미백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바나나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뿐 아니라 향후 기전 연구 수행을 통해 다양한 산업화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2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모3008호’는 지역특산화를 위한 극대립 콩 품종육성을 목표로 곡립 및 초형이 양호한 황금콩과 대립인 SS01408을 2002년에 교배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여 ‘밀양217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10∼’12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 후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이고 극대립으로 품종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의 특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어 2012년 12월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모3008호’로 명명하였다. 개화기는 8월 3일로 표준품종인 ‘대원콩’보다 8일, 성숙기는 10월18일로 4일 늦은 중만생종 품종으로,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고, 탈립이 잘 되며, 도복에 약하다. 경장은 70㎝로 대원콩 대비 다소 길고, 개체당 협수는 적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는 비슷하였다. 100립중은 36.5g으로 대원콩 대비 매우 무거운 극대립종이다. 콩모자이크바이러스는 유묘접종 결과 저항성이었으나 불마름병은 포장에서는 강하였으나 인공접종시 대원콩 수준으로 발병하였다. 메주수율은 77%, 청국장 수율은 199%로 대원콩 대비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량성은 ‘10∼’12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서부해안지방을 제외한 내륙지방에서 2.25MT/ha로 대원콩 대비 84% 수준이었다. 수량성 및 내재해성에 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or serviceability of GFRP for application of Slip-Form. As a result, Flexure performance of GFRP module is similar to steel material. And accumulated wear volume of GFRP module is 0.02% when sliding distance reaches at 1000m.
        2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청2호’는 녹색 자엽의 검정콩으로 내재해성이 우수하고 가공용에 적합한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숙기가 매우 늦은 대립 검정콩인 ‘밀양78호’와 소립 내재해 도입종인 ‘Peking’을 1996년 인공교배한 YS1262 조합으로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였고 계통명은 ‘밀양182호’이다. 꽃은 백색이고 자엽색은 녹색이며, 입형은 장타원형이며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개열에는 약하다. 성숙기는 10월 2일로 ‘청자콩’과 같이 다소 빠른 품종이며, 경장은 56 cm로 ‘청자콩’보다 10 cm 짧고 100립의 무게는 12.2 g인 소립인 품종이다. 도복에 강하며 포장 재배시험에서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고, 불마름병에 대한 유묘 접종 및 포장반응은 ‘청자콩’과 비슷하나 약한 편이다. 종실성분으로 조단백 함량은 38.8%로 ‘청자콩’보다 다소 낮았고, 종실의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2,031㎍/g으로 ‘청자콩’보다 높았다. 청국장 가공적성에서 ‘일품검정콩’보다 발효 정도는 다소 낮으나, 청국장 수율 및 풍취에서 우하였다. ‘소청2호’의 중남부지역 5개소의 평균 수량성은 ha당 2.00톤으로 ‘청자콩’ 대비 7% 증수하였다.
        2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검정5호’의 신육형은 유한신육형, 화색은 자색, 엽형은 환형이다. 모용 및 성숙기의 협은 갈색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고 종실 자엽색은 황색이다. 입형은 구형으로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자연개열이 다소 나타난다. 성숙기는 10월 4일로 ‘일품검정콩’보다 6일 늦으며, 경장은 60 cm로 6 cm 길고, 100립중은 23.2 g으로 ‘일품검정콩’ 보다 가볍다. 도복에 비교적 강하며, 포장 재배기간중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으나 괴저병에는 강하였으며, SMV 균주로 즙액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을 보였다. 조단백 함량은 42.0%, 조지방 함량은 17.8%였다. 안토시아닌 색소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각각 17,170 ㎍/g 및 1,194 ㎍/g였다. 두부 가공적성에서 두부수율은 ‘태광콩’과 비슷하나 비지무게는 높았고, 밝기 등 색택이 짙으며, 두부의 물성에서 씸힘성 및 경도는 다소 높았고, 탄력성은 다소 낮았다.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7개소 평균 ha당 2.46톤으로서 대조품종 ‘일품검정콩’에 비하여 16% 증수되었다. 적응지역은 전국이다.
        3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previous new village planning proposals in Saemangeum Farming Zone, this study tried to derive rational and realistic planning/design criteria for new villages firstly through home-and-abroad case studies analysis, interview works on farmers in two villages located in the existing reclaimed farming areas and influential zone analysis from neighborhood villages in old land. By applying these criteria(population structure, farming size, maximum distance between farmland and home, village site size, number of new villages planned) on Saemangeum Farming Zone, basic new village planning framework was proposed finally.
        3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in growing piglets. A total of 96 piglets (22.5±1.3㎏ average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3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lets per replicate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Control, basal diet+0.2% antibiotics), T2) 0.2% probiotics complex and T3) 0.3% Bacillus probiotic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However,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nitrogen free extract and crude ash were showed higher in probiotics groups (T2 and T3) than those of control. In noxious gas emission, ammonia, amine, hydrogen sulfide and mercaptan were significantly (p
        32.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록볼트는 주변 지반의 지보 기능을 유리하게 활용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소요의 강도 이상을 가진 강재로 된 이형봉강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부식성 요소가 많은 지하수 조건에서는 강재의 부식으로 인한 록볼트의 파괴로 터널 및 사면안정의 보수, 보강 및 유지관리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터널 지보재로 활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거동을 모사하여 GFRP 록볼트의 거동에 대한 실험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GFRP 록볼트의 인장성능 평가시험 및 전단성능 평가시험을 통해 도출된 GFRP 록볼트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구조해석을 통한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여 안전율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사용하던 강재 록볼트의 대체 재료로서 충분히 터널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제 1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슐린-분비성 세포를 이식하는 세포대체요법이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췌장세포 이식술은 이식원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인해 광범위한 시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한증식과 전분화능을 보유하는 배아줄기세포는 이식할 -세포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세포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종설에서는 인간배아줄기세포로부터 췌장 -세포로의 유도분화방법에 관한 최근 동향을
        35.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ses of waste sludge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 ions. The ad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wastes such as sewage treatment sludge, water treatment sludge and oyster shell to evaluate their sorption characteristics. Heavy metals selected were cadmium, copper and lead. In the sorption experiments on the sewage treatment sludge, water treatment sludge, oyster shell and soil, sorption occurred in the beginning and it reached equilibrium after 40 minutes on the oyster shell and 4 hour on the sewage treatment sludge and water treatment sludge. Results of Freundlich isotherms indicated that sewage treatment sludge could be properly used as an adsorbent for heavy metals and sorption strength of heavy metals was in the order of Pb > Cu > Cd. In the influence of pH on the adsorbents, sorption rate was more than 80% in pH 4 and most of heavy metals were adsorbed in pH 9. Adsorption rate of Cd decreased with decreasing pH and then adsorption rate of Cu was lower in soi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