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arl Stars’는 2013년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절화용 백색 겹꽃 안개초 신품종으로 분지각이 작고 줄기가 단단한 특성을 가진다. 2009년 화색이 밝고 소화수가 많은 ‘Gyp04-11’계통을 모본으로 화경장이 길고 줄기가 단단한 ‘Gyp07-39’ 계통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78개 종자를 채종하였다. 2010년 파종하여 획득한 71개 실생계통을 특성 평가한 결과 백색 겹꽃으로 일시개화성이며 분지각이 작은 ‘Gyp11-52’을 선발하였고, 3년 동안 특성평가를 실시하여 ‘Pearl Stars’를 육성하였다. ‘PearlStars’의 초형은 직립형이고 잎은 좁은 타원 모양, 소화는 백색 겹꽃에 소화수가 많고 일시개화성이 우수하다. 화서의 외부 위 모양은 둥글고 꽃잎 둥근 정도는 중간, 꽃잎 굴곡은 밖으로 굽은 식물체 고유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주 화경의 직립정도가 강하고 1차 측지의 분지각이 작으며,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이 많고 흰가루병에대체로 약한 편이다. 익산에서 7월 2일 ‘Pearl Stars’와 대조품종인 ‘Mirabella’ 삽아묘를 정식하여 가을 개화작형에서 특성검정한 결과, ‘Pearl Stars’가 ‘Mirabella’보다 8일 정도 개화가 빨랐고, 마디수가 적고 화경장이 짧았으며, 주당 발생 분지수는 2.2개 정도 더 많았다. 엽장, 꽃자루 길이, 열편크기는 ‘Mirabella’보다 짧았고, 엽폭과 소화크기는 더 컸다. 소화수가 많고 일시 개화성이 우수하고 줄기가 단단하여 시장성이 우수하며, 2015년 3월 국립종자원에 신품종으로 등록(제5356호)되었다.
        4,000원
        2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as mushroom culture media source, we analyzephysical condition and contents of nutritional components.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Kenaf bast was 578% and it was 95%higher than that of poplar sawdust’s. This was caused by Kenaf’s porous cellular structure. so it could give more moisture andoxygen to cultured mushroom. Total carbon contents of Kenaf was 91.4%, it was quite higher than that of poplar sawdust, wheatbran and rice bran. Total nitrogen content was 1.76% and C/N ratio was 51.9. The content of NFE(Nitrogen free extract) was46.6% and it was similar with rice bran. Cellulose content was higher than poplar but lignin content was lower. speciallyhemicellulose and pectin complex which more digestible carbon source to mushroom was 3.7% higher than poplar. Mineralcomponent and amino acid contents were also maintained high compared with poplar. Fe was 4.2 times, P 3.2 times, K 2.2times more and Ca was higher 16 mg/kg than poplar. The content of amino acid was quite more higher than poplar sawdust butlower than chaff. Consequently Kenaf had a good trait for basic support material in mushroom culture media and also had agood character as nutritional source.
        4,000원
        2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국산 스프레이 장미의 정식 후 1차 절곡시기와 2차 절곡방법이 절화품질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 후 절곡시기까지의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주당 엽수, 줄기수, 줄기 굵기 및 1차 측지수가 증가되었다. 특히 ‘White Zen’, ‘Glory Purple’ 및‘Live Pink’는 적심 25일 이후에 충분한 엽수가 확보되었다. 품종별 개화는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빨라졌고, 절화장, 마디수와 7매엽은 시험품종 모두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우수해지는 경향이었다. 1차 절곡 후 발생한 줄기수는 절곡시기가 늦어질수록 많았으나, 상품 줄기수와수출 가능한 줄기수는 적뢰 25-35일 후 절곡처리에서 대체로 높았다. 2차 절곡방법에 따른 절화장, 소화수 및 줄기 굵기 등의 절화품질은 1차 절곡 후 발생한 줄기 중상품성 있는 줄기 1본을 수확하고 나머지를 절곡한 처리(T2)가 모두 절곡한 처리(T3, T4)보다 우수하거나 유사하였고, 상품성 있는 줄기를 모두 수확하고 비상품 줄기만 절곡한 처리(T1)에서 저조하였다. 상품성 줄기와 수출 가능한 줄기수는 T1 처리가 낮았고 나머지 처리는 유사하였으며, 1차 절곡 후 발생한 상품성 있는 줄기 1본을수확하는 T2 처리가 적절한 2차 절곡방법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2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스프레이 장미의 수출 상품성 향상과 농가보급 확대를 위하여 정아 제거시기(정아 직경, 3, 5,7mm) 및 묘종(접목묘와 삽목묘)에 따른 절화품질과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적뢰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장미의본당 분화된 소화수와 수출 상품률은 ‘매직스칼렛’과 ‘옐로킹’의 경우 정아 직경이 5mm와 7mm시에 적뢰 처리구에서 우수하였으나, ‘모닝샤인’과 ‘리틀썬’은 적뢰시기간 차이가 없었다. 묘종에 따른 품종별 절화장은 ‘매직스칼렛’, ‘핑키’, ‘러블리핑크’ 및 ‘리틀썬’ 모두 삽목묘가접목묘보다 길었고, 줄기 굵기, 꽃목 길이와 굵기, 마디수 및 7매 소엽수는 접목묘가 삽목묘다 더 우수하였다.본당 소화수, 꽃잎수, 주당 발생 줄기수 및 수출 가능한상품 줄기수 역시 시험품종 모두 삽목묘보다 접목묘가 우수하였다.
        4,000원
        2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te Farm’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0년 육성 한 안개초 절화용 신품종으로 밝은 백색이며 분지각이작은 특성을 가진다. 2006년 밝은 백색의 소화가 큰‘Gyp06-28’의 방임수분 결과 63개 종자를 채종하였고,2007년 파종하여 획득한 44개 실생계통을 특성평가한 결과 분지각이 작은 밝은 백색의 ‘Gyp08-55’을 선발하여2년 동안 특성검정을 통해 ‘White Farm’을 육성하였다.‘White Farm’의 초형은 직립형이고 잎 모양은 피침형, 소화는 밝은 백색 겹꽃으로 꽃잎은 주걱형, 꽃잎 끝 모양은 약간 둥근형, 꽃받침 모양은 종형인 식물체 고유특성을 가진다. 또한 분지각이 작고 흰가루병에 강하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다. 자연개화기 절화 작형에서 ‘WhiteFarm’ 개화는 ‘Bristol Fairy’보다 16일 늦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었으며, 측지 분화가 많았으며, 야간기온 22℃,7일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도 기형화 발생이 없어 고온적응성이 높아 연중 안정적인 절화 생산이 가능하다. 소화수가 많고 밝은 백색으로 시장성이 우수하며, 2013년2월 국립종자원에 신품종으로 등록(품종번호: 제4361호)되었다.
        4,000원
        2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스프레이 장미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와 수출 상품성 향상을 위해 PE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 두 재배시설 환경관리에 따른 절화품질 및 절화 생산 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시설에 따른 기상환경을 조사한 결과, 시간당 적산 일사량, 최고온도 및 습도, 변이(최 고값-최저값) 정도가 유리온실보다 PE 비닐하우스에서 높았다. 절화장은 시험품종 모두 유리온실에서 컸고, 줄 기 굵기와 소화수는 품종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대 체로 PE 비닐하우스에서 우수하였으며, 분화된 총 분 지수와 수출 상품량은 적산 일사량이 높은 PE 비닐하 우스에서 많았다. 한편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은 대기습도가 높게 관리되었던 PE 비닐하우스에서 발 생이 많았다. 따라서 스프레이 장미 수출 상품성 향상 을 위해서는 품종 특성 발현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일사량, 대기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 관리가 무엇보 다도 중요하였다.
        4,000원
        27.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경찰 경비함정에서 근무하는 경찰관, 전경 등 승조원이 바다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즉시 구조할 수 있는「함정 승조원 추락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길게는 7박 8일의 출동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요원들은 수시로 급변하는 해상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함상생활 중 불의의 추락사고를 당할 위험에 노출 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3,000원
        2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2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istol Fairy’ 아조변이체 ‘Gyp99’의 한 계통인 ‘Gyp06-31’의 방임수분 결과 얻어진 실생계통으로부터 특성이 우수한 ‘Gyp08-42’ 계통을 선발하여 2년 동안 특성평가 및 특성검정을 통해 ‘Happy Dream’ 품종을 육성하였다. ‘Happy Dream’ 품종의 초형은 중간형이 고, 잎 모양은 피침형, 소화는 주걱형의 꽃잎수가 많은 백색 겹꽃으로 꽃잎 끝 모양은 약간 둥근형 그리고 꽃받침 모양은 컵형인 식물체 고유 특성을 가졌다. 또 한 화경이 단단하고 분지각이 작으며, 흰가루병에 강하 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었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Happy Dream’ 개화는 ‘Bristol Fairy’보다 26일 늦 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고 줄기가 굵었다. ‘Happy Dream’의 엽장은 ‘Bristol Fairy’보다 짧았으나, 엽폭 은 넓고 소화는 더 컸다.
        3,000원
        3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개초 절화 재배시 토양피복재료 및 피복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량 및 안개초 개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잡초 발생량은 무피복 146.2 g·m−2(건물중)인 반면 흑색과 녹색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전면피복은 4.1~4.2 g·m−2으로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제초 소요인원도 무피복은 27.9명/10a/년인데 반해 전면피복은 2.4명/10a/년이었다. 여름 절화작형시 개화는 무피복과 골 피복이 늦었으며,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화수폭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흑색 PE필름, 녹색과 흑색 부직포 전면피복에서 많았다. 월하 후 안개초 고사주율은 흑색 부직포 골 피복처리에서 12.4% 로 가장 낮았고, 녹색 부직포 피복처리가 19.0% 정도 였으며, 흑색 PE 필름 전면 피복처리가 39.0%로 가장 높았다. 가을 절화작형 역시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녹색 부직포가 가장 많았다. 로젯트 발생률은 골피복보다 전면피복이 낮았으며, 피복재료별로는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흑색 부직포, 흑 색 PE 필름 전면피복이 낮았다. 따라서 안개초 절화재배 시 녹색 부직포 전면 피복처리가 잡초 발생억제와 절화 품질 향상 및 절화량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3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준고냉지 안개초 가을~초겨울 절화 작형에서 장일 (일장연장, 광중단) 단독처리 및 GA3 병행처리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뿌리활력과 광합 성속도는 장일처리로 높아졌고, GA3 병행처리로 더 증 가되었다. 광중단 처리에서 출뢰가 무처리보다 11일 촉 진되었으며, 출뢰한 분지수가 주당 4.9개로 가장 많았 고 로제트 발생률도 무처리에 비해 50% 억제되어 절 화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장일과 GA3 병행처리가 로제 트 발생 억제에 상승적으로 작용하지는 못했다.
        4,000원
        3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an interest has developed in the use of whole green grains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whole green grains in 20 cultivars of wheat by investigating the greenness of grain with maturation (from 20 th to 41 st day after heading, at an interval of 3 days). On the 20 th day after heading, the grains were dark green with a wrinkled long-oval shape. After the 35 th day of heading, the grains turned almost yellow with an oval shape. Their redness (‘a’ value of chromaticity) increased from the 20 th to 41 st days after heading, indicating a negative value up to the 32 nd day after heading.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chlorophyll content was observed with maturation. The yield of whole green wheat grain (including greenish yellow grain) was the highest from the 32 nd to 35 th after heading.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optimal harvesting period for whole green wheat grain was from the 32 nd to 35 th day after heading. The heading time of various cultivars ranged from April 28 to May 5, the time of Jopummil cultivar grew the fastest among them, such as Gurumil, Alchanmil, but Dahongmil got the latest in heading time. The greenness of seven cultivars (Jeokjungmil, Keumkangmil, Jogyeongmil, Jopummil, Baekjungmil, Yeonbaekmil, and Milseongmi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The yield of greenish whole grain was relatively high in six cultivars (Alchanmil, Baekjungmil, Eunpamil, Yeonbaekmil, Dahongmil, and Urimil). Based on their greenness and yield, the Baekjungmil and Yeonbaekmil cultivars have been considered to be optimal for the production of whole green wheat grain.
        3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owing times (May 25, June 10, June 25, July 10, and July 25) on growth and yield of four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cultivars (Hwanggeumkijang, Manghongchal, Ibaekchal, and Hwangsilchal) at a cultivation area in Iksan, Jeonbuk Province. Heading and ripening times were delayed, with later sowing times in all cultivars, and the periods for heading and ripening were shortened. For sowing from May 25 to July 25, the growth stage was shorter by 40 days in Manghongchal, 38 days in Hwanggeumkijang, 36 days in Hwangsilchal, and 30 days in Ibaekchal. The culm length, ear length, ear width, and culm diameter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cultivars and sowing times. In particular, the culm and ear lengths were considerably reduced when the sowing time was delayed. The grain yield (kg/10a) of Hwanggeumkijang and Ibaekchal was 312 and 359 kg, respectively, for sowing on June 10; and that of Manhongchal and Hwangsilchal was 286 and 404 kg, respectively, for sowing on June 25. Thus, the optimum sowing time was June 25 for Hwanggeumkijang and Ibaekchal, and June 10 for Manhongchal and Hwangsilchal.
        3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te-maturing black rice cultivar Shinnongheugchal from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was used as the plant material for estimating growth characters, quality and yield from the vegetation period to harvest 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n optimum combination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for the maximum yield of Shinnongheugchal. The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SPAD index were higher whe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was used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eading date for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and 80 hills per 3.3 m 2 and 15 kg/10 a nitrogen level was August 22. The heading date for the other combinations was August 21.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tillers at 40 days after flowering. Even though the lodging index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levels, field lodging did not occur until harvest time. Seed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combinations. The black rice yield varied significantly, and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ed nitrogen concentration. The maximum yield was estimated to be 14.67 kg/10 a nitrogen level by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 On average, the coloring degree of the black rice was higher at planting density of 70 hills per 3.3 m 2 than at 80 hills per 3.3 m 2 . The highest yield of perfect black rice was obtained using the combination of 70 hills per 3.3 m 2 and 13 kg/10 a nitrogen level.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a nitrogen level of 13-14 kg/10 a can be used to obtain the maximum yield from Shinnongheugchal with yield, cyanidin 3-glucoside content, and perfect black rice yield as the standard.
        3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수한 사료자원으로 평가되는 케나프의 생산단가를 낮 추기 위하여 새만금 간척지 시험포에서 염농도 단계별 생육 및 수량을 관찰한 결과 케나프는 중·상정도의 내염성을 보 유한 작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충분한 제염이 이루어진다고 하면 간척지에서의 재배 가능성도 충분할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염농도별 케나프의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토양 염 농도가 4.0 dS/m (=0.26%) 일 때 84%이던 케나프 발아율 이 5.0 dS/m (=0.32%) 에서는 18%로 급격히 떨어졌으며 6.0 dS/m (=0.39%) 에서는 발아율이 10%를 넘지 못하였다. 또한 생육 상황도 토양 염농도에 비례하여 급격히 떨어졌는 데 케나프는 줄기직경을 2.6 cm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경우 엽수가 유의할 수준으로 늘어나고 줄기부분에 대한 상 대적 무게비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잎 의 분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생장량 확보가 줄기직 경 2.6 cm 이상에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새만 금에서는 토양 염농도 4.0 dS/m (=0.26%) 이하에서는 케나 프의 줄기직경을 2.6 cm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였 으나 염농도가 5.0 dS/m (=0.32%)를 넘어서게 되면 줄기직 경이 2.0 cm 이하로 엽수도 20~46% 감소하였다. 생육장해는 파종 후 1개월 경과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 는데 엽 정단이 고사하고 주변 잎 들이 급격하게 황화 낙엽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케나프의 토양 염농도에 대한 수 량성을 분석한 결과 토양 염농도 4.0 dS/m (=0.26%) 까지 는 비간척지에 비해 수량이 최대 19% 하락하였으나 염농도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염농도가 4.0 dS/m (=0.26%) 를 넘어서는 5.0 dS/m (=0.32%) 에서는 비간척지의 51% 수준을 유지하는데 그쳤으며 토양 염농도 4.0 dS/m (=0.26%) 일 때의 수량에 비해서도 38% 감소하였다. 통계분석을 통 하여 간척지에서 수량성 감소를 80% 이내로 유지 할 수 있 는 토양 염농도를 산출해본 결과 토양 염농도가 4.2 dS/m 이내로 유지될 경우 케나프의 생산성은 8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