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움직이는 객체를 지속적으로 감시관찰하는 CCD 카메라의 자동 제어를 위한 신호 생성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검출된 객체 위치와 영상 중심 사이의 수평 수직 변위들을 계산하고 변위들을 각으로 변환한다. 최종적으로 팬/틸트 신호가 변위각으로부터 생성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자동 제어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수동 제어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비교되고, 단순한 객체를 이용한 추적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는 두 데이터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고, 팬/틸트 ±52o/±40o 영역에서 움직이는 객체가 ±13o/±10o 영역에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학령기 아동의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선정을 위하여 2007년 10월 19일부터 20일까지 경남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 지역별로 2개교를 선택하였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중 204명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자 료 분석은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아동의 놀이 선택 빈도는 컴퓨터하기가 139명(13.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TV보기가 117명 (11.4%)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이 가지는 놀이 가치는 정서적 가치(20.0 ± 3.53), 사회적 가치(17.2 ± 4.08), 신체적 가치(15.3 ± 3.81), 인지적 가치(13.7 ± 4.77)순으로 나타났다. 놀이 선택은 대상자의 성별과 주거형태, 놀이를 하 는 장소, 아동이 다니고 있는 학원의 수, 놀이를 함께하는 인원수, 놀이를 함께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상관관계에서는 축구하기와 아동의 신체적 가치, 그림그리기와 인지적 가치, 만화책 보기와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 사이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아동이 가지는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기인하여 실시하였 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놀이 가치와 놀이의 상관관계에서 축구하기와 아동의 신체적 가치, 그림그리기와 인지 적 가치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만화책보기 놀이는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사이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아동의 작업을 선택할 때 의미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opinions to find out solutions to reduce safety accidents sinc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fety. We surveyed 150 teachers from technical high 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and asked their opinions about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laboratories. We also studied their experiences construct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k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afety educ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lso, we studied whether school safety awareness increases through safety related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innovative behavior, and mediator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or effect, data obtained from 140 employees working in business office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affective commitment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empirical evidence for the mediating effect of continuanc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Protecting an infant from a risk of accident was an absolute responsibility and duty of parents in the past. As increase in the ratio of entering kindergartens, the demand of all day program also increases. In infancy, safety concerns are higher than other periods since infants are curious about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that have stronger impulse of the spirit of inquiry. Since baby's functioning is poor, an ability of balance maintenance and an exercise function are not sufficiently developed. Further more, they lack a cognitive power about self-control or situation. According to Korea Consumer Agency, safety accidents in infant institution have increased in 115% as 294 cases compared with 137 cases in 2004. Major causes of infant deaths are street accidents, drowning, and deaths from a fall in order. Considering this situation, we need to prevent and deal with accidents. Therefore this thesis grasp the situation and analyze an actual condition of an safety education about teachers who work in such institutions and infants who are educated in institutions to prevent from accidents and make up pleasant environments. Then, it will suggest all efficient safety education plans for infants to them.
양파의 재배 지역 확대 및 재포 기간을 단축하고자 동절기 플러그 육묘를 통한 춘파재배를 위한 품종별 생육 특성과 수량, 저장성을 검토하였다. 중부지방의 평지에서 양파를 춘파재배한 결과 품종별로 육묘시의 생육차이가 수확시의 생육이나 수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량은 도복시기가 관련 있어 구비대가 6월 말 정도로 다소 늦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충분한 구비대로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에 따른 도복시기는 '천주대고(Cheonjudaego)' 등의 품종들은 6월 말이 지나도 도복이 이루어지지 않아 중부지방 평지에서 춘파 양파 재배 시 도복시기에 따른 품종선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구중은 '센슈추쿠키(Senshuchukooki)', '아톰(Atom)', '하이볼EX(Hiball EX)'등이 컸으나 '와세소닉(Wase sonic)' 같은 품종과는 차이가 컸다. 그러나 수량은 구중 이외에 상품성에 의해서 수량이 결정되어, 비교적 구중이 무겁고 상품성이 좋았던 '아톰(Atom)', '에이스(Ace)', '럭키(Lucky)', 'OP' 등이 경우가 전체적인 상품수량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춘파재배한 양파를 3개월간 처장한 경우 상품률이 '에이스(Ace)'의 93%에서 '와세 소닉(Wase sonic)'의 13%까지 품종에 따른 차이가 컸는데, 도복시기가 빠른 품종들이 저장성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양파 평지 춘파재배를 할 경우 도복이 빠른 품종을 피해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나 계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도복이 너무 늦게 되는 품종도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대부분의 양파는 바로 창고에 입고하여 저장되어 이용되나, 평지의 춘파 양과는 재배목적을 뚜렷이 하여 수확과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3차원 지반-구조계의 지진응답 해석을 수행하고 그 기법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구조물과 구조물 주변의 근역지반을3차원 유한요소로서 모델링하고 원역지반에 대해서는 기 개발한 3차원 동적 무한요소를 적용한다. 모든 입사 성분P, SV 그리고 SH파가 고려되었을 때, 등가 지진하중은 무한요소에 의해 구해진 무한 지반의 동적 강성과 자유장 해석을 통해 구해진 지반의 응력과 변위응답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검증 및 적용 예제는 적층 자유장의 지반응답해석과 전형적 원자로 격납건물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층응답 스펙트럼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해석 결과는 다른 기법에 의해 구해진 값들과 비교하였으며, 본 기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behavioral-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innovative behavior, and mediator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and mediator effect, data obtained from 140 employees working in business office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behavioral-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trust in supervisor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ust in supervisor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rust in supervisor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behavioral-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bjective & Methord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rect moxibustion at the PC6(Naegwan) on normal human beings using power spectrum analysis. Electroencephalogram(EEG) power spectrum exhibits site-specific and state-related differences in various frequency bands. 8 channels EEG study was carried out in 10 subjects(3 females and 2 males). Result : Average value of alpha-wave is decreased significantly in moxa treatment group of real acupoint(PC6) comparing 'before' and 'during' , 'before' and 'after' of the experiment. In non-acupoint(near LU5) group, Average value of alpha-wave i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ing 'during' and 'after'. Alpha value of Both group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and the difference is rapid in 'during' - 'after' block. Compare the treat of real acupoint with non-acupoint, there was non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xa treatment can revitalize normal human and the influence moxa treatment is more powerful then acupoint-nature. For these reason, usage of substitute moxa for acupuncture is not reasonable.
현재 기술발전에 따라 급변하는 제품의 패러다임은 다양화 되어가는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사용자들이 제품의 규격화된 형태와 편리성을 강조하기보다는 감성적 가치 부여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성적 가치는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니즈로 연결되고,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구체적인 속성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창의성은 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미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을 갖게 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디자이너는 주어진 것에 순응하는 사람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조해 나가는 지식 노동자이며, 경쟁력에서 이길 수 있는 가장 부가가치 있는 부분이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창의적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감흥을 불러일으켜 기존 제품들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디자인에 있어 사용자의 의식 또는 무의식의 니즈에 대하여 디자인 구성요소와 심미성 요소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창의적 디자인의 제품 개발에 있어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고 심미성 요소를 통한 디자인 컨셉 도출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work was intend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arkers that are found only in the spoiled red pepper powder. When analyzed by GC/MASS, the spoiled red pepper powder contains characteristic naphthalene derivatives, 1, 2, 3, 5, 6, 7, 8, 8α-octahydro-1, 8α-dimethyl-7-(1-methylethenyl)-naphthalene and 2-isopropenyl-4α,8-dimethyl- 1, 2, 3, 4, 4α, 5, 6, 8α-octahydronaphthalene,which have not found in the normal red pepper powder. In additi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microbial enumeration of the red pepper powder had been performed. Image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surfaces of spoiled pepper powder were rough with many kinds of microbes,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red pepper powder.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bacterial and fungal counts in the same sample was observed and could be clear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normal and the spoiled group, by difference in the microbial cou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oiled red pepper powder can be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GC/MASS, microbial count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ince 1995, the facility of class 1 and 2, classified by law had been subject to system of post maintenance management where periodic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to identify any problem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as a matter of urgency. Although the standards and systems had been revised many times for continuous improvement due to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technical factors and other factors for improvements, continuous researches and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even higher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consciousness of the management body that executes and implements such improvements for facility management is most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such analysis, more realistic management consciousness review was performed. Also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s is proposed, to carry out more effectiv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s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