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16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optimal shade materials among four-layered polyethylene (PE) net (FLPN), aluminium-coated PE sheet (APSS), and blue PE sheet (BPSS) in condition of paddy field cultivated 6-year-old ginseng. The order of light-penetrated ratio and air temperature by shade materials was BPSS 〉 APSS 〉 FLPN. Light-penetrated ratio of BPSS before two fold shade was more 3 times and 2 times than that of FLPN and APSS,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of BPSS was also higher 1.6℃ and 1.4℃ than that of FLPN and APSS, respectively. BPSS showed good cultural environment because all of light-penetrated ratio and air temperature were become higher in spring and fall season but lower in summer season by additional shade with two-layered PE net. Survived-leaf ratio was highest in BPSS and lowest in FLPN causing a little water leak on a rainy day. Rusty-root ratio was also highest in FLPN because soil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by water leak. The order of root yield was BPSS 〉 APSS 〉 FLPN, and the cause of highest yield in BPSS was higher light-penetrated ratio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higher survived-leaf ratio, and lower rusty-root ratio than that of APSS and FLPN. BPSS showed highest total ginsenoside content because of high light-penetrated ratio, blue light effect, and the difference in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such as low taproot ratio, and high lateral root ratio.
        16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P has higher design tensile strength than steel bar and outstanding characteristics such as light-weight, non-corrosion, and lower conductivity. And, current researchers evaluated flexural performances of flexural members using FRP and suggested the development length and splice length by using bonding failure test. This Researchers has the main purpose to examine the quality of bonding failure in the lap spliced FRP and deformed bar. Variables in this test with total 208 specimens planned are re-bar location, embedment length, covering depth, re-bar diameter. And, this study describes the result of our review 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lap-spliced FRP and the deformed bar located at the bottom.
        16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practice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ology world level is often inadequate to provide the test results to serve as a basi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legislation nondestructive inspection in Japan, estimates the size of the column using a technique reverberation impact manufactured column member or this purpose. 3% maximum error rate, the result was 1% minimum error rate. The average error rate is 1.6%, revealed as well as the size of the columns that have been measured
        16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microorganisms having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Alternaria blight pathogen Alternaria panax and ginseng anthracnose pathog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Eleven Bacillus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Kimchi. Among the 11 isolates, DJ5, KC1, KC2 and KC4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on the mycelial growth of A. panax and C. gloeosporioides in pairing culture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sed on 16s rRNA sequence and phylogenetic tree analysis, they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The selec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antagonistic activity by measured leaf-segment colonization in pot test. When Bacillus sp. were injected after A. panax treatment, KC1, KC2 and KC4 showed similar effect to chemical pesticides treated control. To measure preventive effect of Bacillus sp, antagonistic microorganisms were injected and C. gloeosporioides was treated in pot. Whe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Anthracnose, All Bacillus spp. showed approximately 83~90 % degree of superior preventive effect. In general, The four 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showed therapeutic effect of Alternaria blight and preventive effect of Anthracnose.
        165.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AWS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각 지역별로 강수일수 분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0년까지의 AWS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일수를 분석하였다. 0.1mm 이상 강수일수와 10mm 이상 강수일수는 전반기(1998~2003년)와 후반기(2004~2010년)에 모두 서울기상대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고, 30mm 이상 강수일수는 전반기와 후반기 모두 도봉지역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서울지역의 0.1mm 이상 강수일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서울 북부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많은 강수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서울의 10mm 이상 강수일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갖고 있으며, 감소하는 지역은 주로 서울의 동북지역에 위치한다. 가장 많은 강수일수는 서울기상대에서 나타난다. 30 강수 일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166.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극한기상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단위의 정책적 대응 및 극한기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극한기후에 관한 정량적인 연구를 위해 기존 극한기후 정의와 지수설정을 살펴보고, 아래와 같은 개선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극한기후는 특정기간에 극한기후사상이 집중되거나 온도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 등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시공간 분석스케일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므로, 연구자들의 합의된 용어 정의가 필요하다. 둘째, 극한기후 지수 산정은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된다. 이에 지리적 특성과 기후변동성 등을 고려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지수를 선정해야 한다.
        16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the practical cultivation for paddy field,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paddy soil,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6-year-old ginseng, Cheonpung variety between poor drainage class (PDC) and imperfect drainage class (IDC). Groundwater level in PDC showed monthly small changes of 20~30 cm, while IDC showed monthly great changes of 28~71 cm depending on rainfall. Soil moisture content in PDC and IDC was 17.2%, 22.5%,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in IDC was lower than 0.3℃, while soil temperature was higher than 0.8℃ compare to PDC, respectively. Main soil color of PDC was grayish olive, while IDC was brownish olive. PDC showed yellowish mottles only at underground of 20~40 cm, while IDC showed that at underground of 30~90 cm. IDC showed lower pH, EC,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but higher organic matter, phosphate, and iron content than that of PDC, respectively. All of EC, organic matter,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decreased, but iron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subsoil layers of PDC. All of EC, organic matter,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 were decreased, but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increased at the subsoil layers of IDC. Root yield in IDC was more increased by 33% than that of PDC. The moisture content and rusty ratio of ginseng root in IDC were lower than that of PDC. Ginsenoside content in IDC was higher than that of PDC because the ratio of lateral and fine root showing relatively high content of ginsenoside was higher in IDC than that of PDC.
        16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duction of organic ginseng is the control of Alternaria blight and anthracnose, which mostly affect the leaves in the summer. We compared the effects of a lime-bordeaux mixture (LBM) and agricultural chemical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in 4-year-old ginseng plants when they were sprayed at 15-day intervals from mid-June to the end of September. The increases in leaf length, and survive-leaf ratio in plants sprayed with LBM were greater than the increases of the control plants, but less than those of agricultural chemicals treatment. The root weight per plant in the plants sprayed with LBM increased more distinctly than that in the control plants, while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plants sprayed with agricultural chemicals. The root yield in plants sprayed with LBM increased by 21% compared to the root yield in the control plants, but decreased by 7% compared to that in plants sprayed with agricultural chemicals because of the decreases in leaf area and survive-leaf ratio. Spraying of LB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insenoside content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st in the control plants and lowest in the plants sprayed with agricultural chemicals and total ginsenoside contents was great relative to survive-leaf ratio and root weight.
        169.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지역별(북부강원산지, 북부수도권, 중부, 남부) 스키리조트 산업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하여 스키활동 기간과 제설 작업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지역별 스키리조트의 대표 지점인 용평, 양지, 무주, 에덴벨리리조트와 인접한 관측지점의 1973~2011년간 기후자료와 A1B 시나리오에 의해 생산된 2012~2100년간 미래기후자료를 이용하였다. 오늘날 스키리조트는 북부에서 중부 지역까지는 개장일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남부 지역의 에덴벨리리조트는 스키 개장일이 늦고 폐장일을 결정하는 설질 유지 또한 불리하다. 한국의 미래 스키산업은 스키활동 기간과 제설 작업의 조건이 불리해질 것이다. 무주와 에덴벨리리조트는 미래에 스키장을 한 달도 개장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설 작업을 고려한 미래 스키장 산업은 지역 별로 비교할 때 북부산간지역인 용평스키리조트에서 제설일수의 감소가 가장 적으므로 미래 스키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가장 유리한 지역이 될 것이다.
        170.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 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 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171.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영남내륙지방을 사례로 강수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길게는 1909년부터 2009년까지의 짧게는 1988년부터 2009년까지의 9개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남내륙지방의 평균 강우일수는 약 97일이다. 강우일수는 최근 20년(1990~2009년) 동안에 추풍령, 구미, 의성에서 증가하고 나머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다. 일강수량 80㎜ 이상 일수와 일강수량 50㎜ 이상 일수는 대체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일강수량 1㎜ 이하 일수는 문경, 영천, 봉화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며, 일강수량 5㎜ 이하 일수는 구미, 문경, 영천, 의성, 봉화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다. 영남내륙지방의 연강수량은 1,100㎜ 정도이다. 연강수량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대체로 강우일과 미우일은 감소하고, 호우일과 강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그 경향이 반대로 바뀌어 나타난다.
        172.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1989~2003년)를 이용하여 태백산지 고랭지 농업지역의 토지피복을 분석하고, 기후변화가 고랭지 농업지역의 토지피복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시기별 토지피복을 분석한 결과 1989년에서 2003년 사이에 태백산지 지역의 토지피복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임야의 면적이 감소하였고, 농경지와 시가지 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기후변화가 고랭지 농업지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지역에 속하는 관측지점인 대관령의 기후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기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관측 초기인 1970년대의 평균값은 6.4℃였고, 2000년대의 평균값은 7.3℃로 약 0.9℃ 정도 상승하였다. 대관령의 연 강수량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호우일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다.
        173.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서울숲을 사례로 도시의 숲이 주변의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숲에 인접한 성동구 자동기상관측장비와 청량리 역사에 설치된 동대문구 자동기상관측장비의 10년간의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여름철과 겨울철의 평균기온과 열대야 일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성동구에 서울숲이 조성된 후로 여름철 평균기온이 동대문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아졌다. 녹지면적이 많 이 증가한 이후 여름철에는 성동구 일대의 기온저감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성동구와 동대문구에서 겨울철기온이 상승하는 추세이며, 두 지점간의 차이가 있지만 여름철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이다. 성동구와 동대문구에서 연교차가 줄고 있으나 서울숲이 조성된 이후 성동구에서 감소 경향이 더 뚜렷하다. 성동구의 열대야일수는 서울숲이 조성된 이후로 동대문구보다 급격히 줄어들었다.
        17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를 사례로 고도별 우유생산량과 기후요소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9년부터 2008년까지 70개 축산 농가의 우유생산량과 인접한 20개 지점의 기후자료를 분석하였다. 일평균 우유생산량은 고도가 낮은 저지대의 평균 생산량이 27.1㎏으로 가장 적었고,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다. 300~600m의 산지에서 29.0㎏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계절별 우유생산량은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순으로 많다. 가을철은 우유생산량에 영향을 미칠만한 열 스트레스 및 한랭 스트레스의 영향이 거의 없는 시기이고, 습도가 낮아지면서 젖소의 착유에 적합한 기후조건이다. 겨울철은 한랭 스트레스가 발생하지만 주로 고도가 높은 고랭지에서만 발생한다. 여름철은 고온 환경에 잦은 강수로 인해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고온 스트레스가 심화되는 시기이다. 우유생산량은 일 최고기온과 온습도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고도가 낮은 저지대에서는 고온 환경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열 스트레스에 의한 생산량의 감소가 발생하고, 계절별 우유생산량의 변동이 심하지만, 고도가 높은 고랭지에서는 열 스트레스 발생 빈도가 적고, 연중 고른 우유의 생산이 가능하다.
        175.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상수(假想水, Virtual Water)란 일정량의 농산물, 축산물, 공산품과 같은 생산품 혹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물의양을 뜻하는 것으로 1990년대 초반 Tony Allan 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Chapagain and Hoekstra (2004)이 제시한 농축산물 및 공산품의 단위 가상수량 산정방법을 분석 및 적용하여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우리나라의 가상수 수출입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가상수 수출입을 국가간 정량화하는 방법
        176.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용평 스키장의 개장 시기와 제설 작업 조건을 사례로 인접한 대관령 기상 관측 지점의 기후 자료를 이용하여 스키장 초기 제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 요소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스키장 개장 시기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점차 일러지며 최근에는 11월 중순에 개장하는 경향이다. 이는 스키가 최근 대중화되어 이용객이 증가하고 인공눈을 만드는 제설 기술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장을 위한 슬로프 형성은 인공눈 형성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관광객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개장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초기 제설 작업이 중요하다. 초기 제설 작업을 위한 유리한 기후 조건은 일최저기온 -1℃ 이하이며 일 평균 상대습도 60~80%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초기 제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10~11월의 기온과 상대습도의 변화는 분석 기간인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감소하는 경향이다. 일최저기온 -1℃ 이하인 날 중 일 평균 상대습도 60~80%에 해당하는 날은 10년에 28일씩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며 그 변화가 뚜렷하다. 이는 스키장 관광객을 서둘러서 유치하고자 하는 스키장 경영 관리 측면을 고려할 때 초기 제설 작업의 조건이 점점 불리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77.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나주지역을 사례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물 생산량 자료와 기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벼의 생산량은 최근 감소하는 경향으로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운량 및 강수일수와 부의 상관을 보인다. 보리의 생산량은 등숙기간의 기온 상승으로 생산량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배는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기온 상승은 저온요구도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고 이는 나주를 배 재배 안전지역에서 제외시킬 것이라 판단된다. 감은 낮은 저온요구도로 인해 기온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류인 고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추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적산온도가 꾸준히 증가하므로 나주의 기온상승은 고추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배추와 무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다. 배추 결구 후 강수일수가 많아지면 토양 내 수분이 증가하여 포기 무게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178.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8개 한국지리 교과서의 기후 관련 용어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과서별로 기후용어의 사용이 다양하며, 이것은 어느 정도 표준화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기후용어의 선택은 매우 신중해야하며, 단원 구성과 내용선정에 있어서 보다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지구 온난화는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문제이다. 몇몇 교과서에서는 이를 다양하게 기술하고 있다.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한국의 환경 변화 부분이 일정한 틀 속에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기후 단원과 관련하여 전공 용어의 사용과 통일을 위해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찾아보기 용어에 대한 검토와 주의가 필요하며, 간략한 용어 사전을 만드는 것도 좋을 것이다.
        179.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호남 서해안 지역의 강수량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1971~2005년간의 호남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 목포와 군산의 여름철 강수량 변화와 서해상의 죽도와 말도의 해수면 온도 변화, 그리고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호남 서해안 지역의 여름철 강수 특성이 이 지역의 농업 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파악하였다. 서해에 면한 호남 지방의 서해안 지역은 전반적으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서해는 조석 현상으로 인한 냉수대와 조석 전선으로 인해 해수면이 차가워진다. 이로 인해 이를 지나는 공기가 냉각되어 안정되므로 비를 적게 내리는 소우 현상이 나타난다. 최근 이 지역의 강수량 증가 경향은 서해의 해수면 수온 상승에 따른 결과이다. 그리고 이는 이 지역의 여름철 강수가 서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반증한다. 이로 인해 호남 지방의 서해안 지역과 그에 접한 평야 지역은 우리나라의 여름철 가뭄 발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속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