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early maturing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Haryejosaeng’' was developed as a nucellar seedling selection of ‘'Tachima Wase’' (C. unshiu Marc.) that was crossed with C. natsudaidai Hayata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Subtropical Agriculture in Jeju island in 1992. The ‘'Jegam ga No. 2’', a first selection from the seedlings fruited in 2001 was finally named “"Haryejosaeng”" through field evaluation trials at three locations in Jeju island from 2003 to 2004. ‘'Haryejosaeng’' produces seedless fruit maturing in early November, and has higher soluble solids and lower acidity than ‘'Miyagawa Wase’', the leading early-maturing satsuma mandarin cultivar in Jeju island. Fruit weight is moderate at about 80~90 g and its shape is compressed-oblate globose with a light orange color. The rind thickness of about 2 mm provides easy peeling. The flesh shows light orange colored and contains 10 to 11 Brix and 1 to 1.1% acidity when mature. Tree shows vigorous growth and spreading thornless twigs. Alternate bearing is similar to ‘iyagawa Wase’ ‘aryejosaeng’is susceptible to citrus scab disease and melanose, but resistant to citrus canker.
        44.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개승마의 총 엽록소, 총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높았다. 지방산함량은 무차광 재배에 비하여 차광 재배 및 식용 가능시기간의 생육 후기에 감소되었다. 식용가능시기에서의 지방산 종류간의 함량은 oleic acid, palmit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낮았다. 특히 linoleic산의 함량은 타 지방산에 비하여 차광정도에 따른 함량의 감소율이 매우 높았다. 차광율 및 수확시기간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함량은 차광율이 높을 수록 증가하였고, 초기수확이 높았다. DPPH 소거활성은 6.64-14.49(IC50 : μg/ml)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차광정도가 높을 수록 낮았고, 조기 수확 할 수록 높았다. POD 및 SOD 활성은 식물체에 비하여 종자가 매우 낮았고,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 재배 시에 증가하였다. POD활성은 식용가능시기의 생육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았으나, SOD활성은 감소되었다. POD Isozyme band 수는 이식묘의 종자, 잎 및 줄기에서 각 각 6개의 밴드를 나타내었으나, 뿌리에는 없었다. SOD Isozyme band는 송자와 잎에 비하여 뿌리에서 뚜렷하였다.
        45.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일월산(해발 1218.5m, 북위 36˚ 45' 00'~36˚ 50' 10', 동경 129˚ 02' 50'~129˚ 09' 00')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2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105과 381속 618종 6아종 104변종 12품종의 총 740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315종류, 약용 428종류, 공업용 100종류, 관상용 84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01종류이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 물이 22종류, 환경 부지정 법적보호종이 6종류, 귀화식물이 27종류로서 귀화율은 3.6%, 도시화지수는 9.7%로 나타났다.
        4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피나무 종자의 전처리가 포장에서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노천매장과 NaClO 10% 등 7처리를 두어 생육 특성 을 분석하였다. 출아율은 노천매장 17.3%에 비해 GA3100 ppm과 NaClO 10% 처리 후 노천매장에서 각각 30.3%, 22.7%로 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 파종 후 26∼33일 사이에서 가장 높은 출아를 보였고, 이후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 T/R율은 GA3 100 ppm전처리 후 노천매장에서 뿌리의 발달이 가장 양호하였다.
        47.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50:μg/m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50 : μg/ml)와 6.18(IC50:μg/m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48.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자라고 있는 옻나무속 3종의 항산화력을 조사하여 본 결과, 옻나무속 3종의 각 부위별 ethyl acetate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은 개옻나무의 경우 잎과 줄기에서 각각 32, 34 μg/ml, 옻나무의 경우 잎과 줄기에서 각각 39,21 μg/ml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줄기 부위의 추출물을 12개의 fraction으로 분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fraction No.3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옻나무가 1.5, 붉나무가 1.9, 개옻나무가 2.3 ug/ml DPPH가를 나타내었다. 줄기 추출물로부터 2-propenoic acid (Caffeic acid), Benzoic acid (Gallic acid), 7-hydroxy-6- methoxy-2H-1-Benzopyran-2-one (Scopoletin) 등과 같은 phenol계 물질들이 동정되었다. 옻나무속 3종의 부위별 POD 활성 은 잎에 비해 줄기에서 193배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종간에는 붉나무가 0.58 unit/mg protein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개옻나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옻나무와 붉나무의 잎에 비해 줄기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개옻나무는 잎이 줄기에 비해 25배 높게 나타났다.
        5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궁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 butyl phthalide, senkyunolide, cnidilide + neocnidilide 및 ligustilide가 동정되었으며, 이들 성분의 70% 이상을 ligustilide와 senkyunolide가 차지하였다. Phthalide류 총량으로 볼 때 연길산 및 안국산의 중국재배 천궁은 한국재배종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길림산은 한국 재배종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성분의 함량도 낮아 품질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의 연길산 천궁은 ligustilide와 senkyunolide의 광분해생성물인 butylidene phthalide 및 butyl phthalide함량이 높아 유통기간과 보관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되어져 약재 수입시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와 ligustilide가 동정 되었으며, 전체의 약 90%를 ligustilide가 차지하였다. 우리나라 재배종 당귀 중의 ligustilide 함량은 중국 연길산의 상품 및 하품보다 높았으나, 안국산 및 길림산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길림산을 제외한 중국산 당귀는 ligustilide의 광분해산물로 생성되는 butylidene phthalide함량이 우리 나라 재배종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천궁에서와 같이 중국산 약재의 유통과 보관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51.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하수오 재배시 지주설치 비용 절감 및 생력 재배기술 확립 목적으로 자소 등 6작물을 지주작물로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주작물의 주당 분지수는 율무 7개, 자소 19개로 백하수오 덩굴유인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여 자소 97%, 율무 100%의 덩굴유인율을 보였다. 2. 백하수오의 지상부 생육은 자소, 수수재배에서 네트지주재배보다 만장이 길었고, 주당 분지수는 네트지주재배 6개에 비하여 자소, 율무, 수수 재배에서 1~2개 많았다. m2당 엽중은 네트지주 재배시 1,001g으로 가장 많았고, 지주작물재배에서는 자소, 율무, 수수에서 614~636g이었다. 3. 백하수오의 지하부 생육은 땅콩, 자소재배에서 근장이 길었고, 지근수는 네트지주재배 8개에 비하여 땅콩, 자소재배 4개, 율무재배에서 6개였다. 4. 10a당 백하수오의 생근수량은 네트지주재배에서 919kg으로 가장 높았고, 지주작물재배간에는 자소 717kg, 율무 656kg, 수수 652kg으로 네트지주재배에 비하여 22~29% 감수되었다. 5. 백하수오 수량은 감수하나 지주설치 비용 절감 및 지주작물의 수확으로, 자소, 율무, 수수를 이용한 백하수오 생력재배가 가능하였다.
        52.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생육 특성을 구명하여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정식 후 165일에 최고에 이르렀고, 건물율 및 엽면적지수 (LAI)도 29%와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근경의 생육은 정식 후 165일까지 꾸준히 증가 하였고, 이후는 둔화되는 경향 이었다. 3.근경의 건물중은 정식 후 180일에 961g/m2로 가장 높았고, 건물율은 정식 후 150일에 26%에 이르렀으며, 이후는 증가되지 않았다. 4. CGR, RGR및 NAR는 정식 후 150일에 높았고, 정식 165일 이후는 CGR 및 RGR의 증가량이 둔화되었으며, NAR는 감소되었다.
        53.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종근으로 사용한 부위와 마디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6~1997년 2년간 충북 농촌진흥원 시험포장에서 상위부, 중위부, 하위부를 각각 1마디, 2마디, 3마디씩 절단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재식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근부위별 출아율은 중위부 재식에서 82%로 가장 양호하였고, 심는 마디수가 증가할수록 출아율이 향상되었다. 2. 중위부 3마디를 재식하였을 때 LAI도 3.10으로 높았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3. 근경의 건물중 및 건물율은 중위부의 3마디 재식에서 821g/m2와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건엽과 건근경의 수량은 중위부 3마디 재식에서 272kg/10a과 821kg/10a로 높게 나타났다.
        5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란재배시(牧丹栽培時) 비종(肥種)에 따른 재배년수별 생육, 수량 구성요소, 수량 및 paeono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공시품종은 재래종을 공시하였고, 비종(肥種)은 무비구, 퇴비 3,000kg/10a, 3요소, 계분비료 100kg/10a, 유기질비료 200kg/10a등 5처리를 두어 6년간 재배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에 비하여 경장(莖長)은 정식 후 5년차에, 경수(莖數)는 4년차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후는 경장(莖長), 경수(莖數) 모두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종간차(肥種間差)는 크지 않았다. 2. 통목란(通牧丹) 수량은 시비를 함으로서 주근장(主根長), 근수(根數)가 증가되어 무비구에 비하여 3요소구 12%. 퇴비구 18% 계분비료 22%, 유기질비료 20%가 각각 증수되었다. 3. 재배년수별 통목란(通牧丹) 수량 증가율은 3년차까지는 6년차 수확시 총수량(總收量)의 25%~34%, 4년차 8~17%, 5년차 21~53%, 6년차 4~22%로, 5년차에 수량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4. Paeonol 함량은 년중 수권시기간(收權時期間)에는 10월 수확에서 3.08%로 가장 높았으며, 비종간(肥種間)에는 계분비료 시용구에서 3.63%로 가장 높았다. 5.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paeonol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3년차 이후 년간 증가율은 높지 않았으며, 근부위별(根部位別) 함량은 하위부(下位部) 3.07%, 중위부(中位部) 2.77%, 상위부(上位部) 2.38%로 생장점 부근인 하위부(下位部)로 갈수록 높았다.
        55.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패모(貝母)의 적정 재배년수(栽培年敎)를 구명(究明)코자 품종(品種)을 청주(淸州) 일원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평패모(平貝母)를 수집, 공시(供試)하여 재배년수(栽培年敦)를 1년(年), 2년(年), 3년(年) 재배후(裁培後) 생육(生育) 특성(特性) 및 수량(收量) 구성(構成) 요소(要素)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 경수(莖數)은 출현후(出現後) 42일(日)에 최고(最高)에 달하였고 재배년수(栽培年數)가 연장(延長)될수록 증가폭(增加幅)이 켰다. 2. 구(球)의 비대(肥大)는 출현후(出現後) 32일(日)부터 62일(日) 사이에 급격(急激)히 진행(進行)되어 출현후(出現後) 72일(日)에 완성(完成)되었다. 3. 재배년수별(栽培年敎別) 구(球)의 건물(乾物) 비율(比率)은 27.2~30.3%로 2年 재배(栽培)에서 가장 높았다. 4. 시장(市場) 출하(出荷) 가능(可能)한 5g 이상(以上) 종구(種球)는 1년(年) 재배(栽培) 89%, 2년(年) 재배(栽培) 87%, 3년(年) 재배(栽培) 77%이었으나 단위수량(單位收量)은 1년(年) 〈 2년(年) 〈 3년(年) 재배순(栽培順)이었다. 5. 10a당(當) 수량(收量)은 1년(年) 재배(栽培)(638kg/10a)에 비하여 2년(年) 재배(栽培) 88%, 3년(年) 재배(栽培) 189% 증수(增收)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