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saf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s, accurate analysis of nuclear isotopes is important. It is known that there are 14 nuclides that have to identify nuclide-specific concentration levels. 63Ni, one of non-volatile nuclear isotopes which is included in those 14 nuclides, has to follow chemical separation for exact analysis. As various analysis methods were developed, various methods for analyzing 63Ni also emerged. Past method has used measurement specimens of 59Ni, after 59Ni measurement has been done. It used HClO4, known as strong oxidizing agent, to dissolve DMG, an organic substance used to form 59Ni precipitates. Nowadays, we analyze 59Ni and 63Ni simultaneously, which enables short analysis time, without use of HClO4. But high accuracy is just as important as short measurement time and efficiency. So, this paper compare 63Ni specific activity value used new method with the value, past method used, using real sample’s data. As a result, all sample data from new method’s relative 63Ni specific activity is within the uncertainty range of past ones based on past specific activity value. Consistency of new method’s result and past method’s data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and accuracy of those methods.
The domestic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WHR) nuclear power plant, Wolsong Unit 1, was permanently shut down on December 24, 2019. However, research on decommissioning has mainly focused on Pressurized Water Reactors (PWRs), with a notable absence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in the decommissioning of PHWRs. If proper business management such as radiation safety and waste is not performed, it can lead to increased business risks and costs in decommissioning. Therefore, the assessment of waste volume and cost, which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nuclear decommissioning process, is a crucial technical requirement before initiating the actual decommissioning of Wolsong Unit 1. Decommissioning radiation-contaminated structures and facilitie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due to high radiation levels, making it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these areas. Therefore,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precede decommissioning process assessments and safety evaluations, facilitating the derivation of optimal decommissioning procedures and ensuring worker safety while enhancing the efficiency of decommissioning operation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program to estimate decommissioning waste amounts for PHWRs, building upon prior research on PWR decommissioning projects while accounting for the specific design characteristics of PHWRs. To evaluate the amount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during decommissioning, w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methods, packaging container specifications, and the criteria for the transfer of radioactive waste to disposal operators. Based on the derived algorithm, we conducted a detailed design and implemented the program. The proposed program is based on 3D modeling of the decommissioning components and the calculation of the Work Difficulty Factor (WDF), which is used to determine the time weighting factors for each task. Program users can select the cutting and packaging conditions for decommissioning components, estimate waste amount based on the chosen decommissioning method, and calculate costs using time weighting factors.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PHWRs, but also to PWRs and non-nuclear fields, providing a flexible tool for optimizing decommissioning process.
With the aging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in 37 countries around the world, 207 out of 437 NPPs have been permanently shutdown as of August 2022 according to the IAEA. In Korea, the decommissioning of NPPs is emerging as a challenge due to the permanent shutdown of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However, there are no cases of decommissioning activities for Heavy Water Reactor (HWR) such as Wolsong Unit 1 although most of the decommissioning technologies for Light Water Reactor (LWR) such as Kori Unit 1 have been developed and there are cases of overseas decommissioning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e development of a decommissioning waste amount/cost/process linkage program for decommissioning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HWR), i.e. CANDU NPPs. The proposed program is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that can derive optimal processes from an economic and safety perspective when decommissioning PHWR based on 3D modeling of the structures and digital mock-up system that links the characteristic data of PHWR,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s. This program can be used to simulate the nuclear decommissioning activities in a virtual space in three dimensions, and to evaluate the decommission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waste amount, cost, and exposure dose to worker.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ur methods for calculating optimal decommissioning quantit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radiological impact on workers and cost reduction during decommissioning, were compared with the methods of the foreign specialized institution (NAGRA). The optimal decommissioning quantity can be calculated by classifying the radioactivity level through MCNP modeling of waste, investigating domestic disposal containers, and selecting cutting sizes, so that costs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final disposal waste reduction. As the target waste to be decommissioning for comparative study with NAGRA, the calandria in PHWR was modeled using MCNP. For packaging waste container, NAGRA selected three (P2A, P3, MOSAIK), and we selected two (P2A, P3) and compared them. It is intended to develop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to derive the optimal process for decommissioning PHWR by linking the optimal decommissioning quantity calculation methodology with the detailed studies on exposure dose to worker, decommissioning order, difficulty of work, and cost evaluation.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for PHWR but also for other types of NPPs decommissioning in the future to derive optimal results such as worker safety and cost reduction.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경관 조성용 화 훼를 주제로 하는 지역축제의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변화와 화 훼류의 이용 및 생산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경관화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2019년 까지 개최된 지역축제 10,800건 중 경관화훼 관련 축제를 시 기별 및 지역별 개최수와 활용된 식물의 종류와 생산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축제 10,800건 중 꽃축제는 1,312건으로 연 평균 94건이 개최되었으며 지역축제의 12.1%를 차지하였다. 지역축제는 2008년 최고점에서 감소하다 2014년 이후 지속적 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꽃 축제의 비율은 2008년에서 2010 년까지 소폭 감소하였다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9년에는 15.5%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평균적인 개최비율은 봄 66.7%, 가을 25.7%, 여름 6.8%, 겨울 0.8%로 봄에 가장 많이 집중되 었으며, 여름과 겨울에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 봤을 때 전남은 매년 평균 18건으로 개최수가 많을 뿐만 아니 라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경남 의 경우는 매년 평균 10건으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하다 2016년부터 증가하였다. 이외에 강원도, 경기도, 서울, 전북, 충남 등에서 매년 평균 9건 정도가 개최되었으며 그 다 음으로 충북, 경북, 제주도, 대구 등에서 3~4건이 개최되었고, 인천, 울산, 부산, 광주, 대전 등은 2건 이하로 전반적으로 대구를 제외한 광역시에서 꽃 관련 축제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인터넷으로 검색된 소규모 축제를 포함하였을 때 2019년 개최건수는 경기도(49건), 전남(40건), 서울(28건), 제주도(25 건), 충남(25건), 경남(24건), 강원도(17건), 경북(12건) 등으로 나타났다. 경관용 화훼류는 목본류가 연평균 51건의 꽃축제에 서 주제식물로 활용되었으며, 일년초(11건), 그래스(9건), 숙 근초(8건), 수생식물(3건), 구근류(3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 식물은 목본류(12종), 일년초(4종), 관상용 그래스(4종), 다년 초(3종), 구근류(3종)으로 26종이 사용되었으며, 구근류를 제 외한 대부분의 식물이 2~4개의 축제에서 중복으로 활용되었 다. 경관조성용 화훼생산량은 경남, 전남, 울산, 경북, 전북, 강원도, 경기도, 충북, 충남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국 화와 메리골드가 100만분 이상, 팬지류와 페튜니아는 50만분 이상, 색양배추, 베고니아, 백일홍, 패랭이류, 샐비아, 맨드라 미 등이 10만분 이상 생산되었다.
본 실험은 장미의 삽목시 증산억제제와 생장억제제를 활용 하여 미스트나 밀폐시설 없이 삽목발근 효율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절화장미 ‘M-Red’ 줄기 삽목 후 증산억제제 ‘Wilt Pruf’ 및 ‘Cloud Cover’ 1, 2, 4, 8%와 생장억제제 paclobutrazole 10, 20, 40, 80mg・L-1, diniconazole 100, 200, 400, 800mg・L-1를 각각 엽면살포 하였다. 증산억제제의 효과 는 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Wilt Pruf는 생존율, 신초 발생율, 발근율을 모두 향상시켰으나 신초수, 뿌리수, 뿌리길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loud Cover는 생존율과 발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없었으나 신초 발생율이 처리농도와 비례하여 높아져 4, 8% 처리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장억제제 처리효과도 종류에 따라 달라 paclobutrazol은 생존율과 발근율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신초 발생율을 높였으며 1% 처리시에 신초발생이 가장 높았다가 농도가 높아지면서 낮아졌다. Diniconazole은 100, 200mg・L-1 처리시 생존율과 발근율을 향상시켰으나 800mg・L-1의 고농도에서는 생존율과 발근율 모두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ervical alignment, pain, and physique to apply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techniques 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patients diagnosed with FHP.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PNF group(n=12) and a control group(n=12).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a total of 24 times, 30 min a day, six times a week for four weeks. Data on cervical alignment(forward head displacement, FHD), pain(visual analog scale, VAS), and physique(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obtained pre- and post-interventio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groups and time. For FHD, the VAS, and physique(height and BMI),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for the groups and time(p<.001, BMI: p<.05) and main effects for time(p<.001, BMI: p<.05). For weight, there were main effects of time(p<.01). For FHD(p<.01) and the VAS(p<.05), there were main effects for the groups. In the PNF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HD, VAS, and physiqu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H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NF intervention using scapular and upper extremity patterns effective in FHP positively. The use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on physique changes may also be effective in improving poor posture and help to better patients’ quality of life.
Selfie refers to self-portrait photography, which became widespread practice with handy digital photographing technologies and the proliferation of social media.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selfie and most of them examine the psychological profiles of selfie takers. However,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diverse goals embedded in the selfie practice and meanings of the practice.
Eighty one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who reported to take selfies frequently,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irty minutes to an hour, asking their selfie-taking behavior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when, where, how, why), skills and techniques, related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sharing and online posting. Transcripts and observation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steps of coding.
Data revealed numerous strategies in selfie photography and statements about why those strategies are important, that is, goals of selfie practice. We present findings in the following structure:
Operation of selective selves → Subordinate goals → Superordinate goals
We abstract the essential feature of selfie as augmented control as a result of integrative and selective operation of the three selves as the one who photographs, the one who is photographed, and/or the one who owns and uses the selfie. Participants’ strategies reflect this complexity. For example, tips for camera angles and lighting are related to self as a subject who photographs. Knowledge on facial expressions reflects self as an object that is photographed. Photoshop skills are obtained as self who uses the photographs.
Five goals at the subordinate level emerged: Attractive appearance, social activities, testimonial, fact check, and story-telling. These are the immediate goals gained through taking, using, and possessing selfies. Different goals are formed based on relatively different importance of each of the three selves. For example, to post a selfie that tells one’s feeling about new season, the photographer chooses to focus on the self as a subject who writes a story and portrays in photographing rather than the self as an object of the photograph.
Superordinate goals are derived from the subordinate goals: Narcissism, self-discovery, self-expression, reminiscence, display, self-monitoring, and belongingness. As in the relations between selves and subordinate goals, some subordinate goals are related to more than one superordinate goal. Some superordinate goals also result from more than one subordinate goal. We conclude that selfie provides augmented control in producing and using pictures and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three selves enables consumers to obtain various individual and social values through the selfie practice.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find and update sequential patterns when new transactions are added to an existing database. This method reduces time for scanning the existing and new databases since it uses only transactions that influence the length of sequence. This algorithm outperforms existing algorithm when updated sequential pattern found in the whole database are longer than the patterns in the existing databas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reduction in total execution time.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이론(Bandura, 1986), 성취정서의 통제-가치 이론(Pekrun, 2000) 및 자기결정성 이론(Deci & Ryan, 1985)을 체육 맥락에 적용하여 지각된 학습환경과 과제 지속행동의 관계에서 인지, 동기와 정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 과제 지속행동에 대한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이 남녀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778명(남학생 384명, 여학생 394명)이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의 결과 부분매개모델의 적합도가 자료에 가장 적합하였고(X2=3720.15, df=1107, p<001, Q=3.36, TLI=906, CFI=912, RMSEA=055), 과제 지속행동의 분산 중 61%가 선행변인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긍정적 부정적정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자율적 행동조절이 지각된 학습환경과 과제 지속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지각된 학습환경, 정서, 자기효능감 구인, 자율적 행동조절이과제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결과는 학생들의 성취행동에 대한 환경적, 사회-인지적 동기와 정서 요인들의 역할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환경-개인의 관계에서 인지와 동기를 포함하고 있는 정서는 인간 심리의 가장 근원적이며 역동적인 요소이다. 정서이론은 정서의 역동적 구성개념 간의 보편적 관계를 설명해 준다. 따라서 정서이론의 이해는 스포츠 정서연구와 실제적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Lazarus의 인지-동기-관계적 이론(cognitive-motivational-relational theory: CMRT)은 스포츠 정서연구와 정서조절의 중요한 기틀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CMRT의 구성개념과 요소들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CMRT를 기반으로 시행된 최근의 스포츠 정서연구와 정서조절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정서-인지-동기이론의 통합적 접근과 문화적 정서개념의 정립을 미래 스포츠 정서연구의 방향으로 제안했다.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와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의 무용 내적동기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교급 간 경로 동일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국내의 예술중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4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델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의 결과,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는 세 가지 기본욕구를 예측하였지만 유능성 욕구만이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동료의 자율성 지지와 내적동기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지각된 동료의 자율성 지지가 자율성 욕구에미치는 영향력은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결과는 무용 맥락에서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와 동료의 자율성 지지는 유능성 욕구만족에, 유능성은 내적동기에 크게 기여하며, 중학생일수록 동료에게 자율성을 지지받을 때 자율성 욕구만족이 더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포츠 경쟁상황에서 우수 운동선수들이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자기조절을 구조화하는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국가대표 급 개인종목 선수 12명을 심층 면담했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들을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우수선수들의 자기 조절적 과정은 경쟁적 상황(과거경험, 경기가치), 인지적 상황평가(긍정적, 부정적), 주관적/신체적 반응, 인지적 상호작용적 조절기제가 구조화되고 있었다. 스포츠 경쟁상황에서 선수들은 과거의 시합경험과 시합의 중요성에 따라 경쟁상황을 평가하며, 이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에 따라 주관적 정서반응과 신체적 반응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선수들은 최적의 수행을 위해 이러한 정서적 신체적 반응들을 사고와 상호작용적 조절 기제를 사용하여 조절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선수들의 자기 조절적 과정과 구조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인지 심리적 기틀이 논의되었다.
스포츠 재능발달 모형의 기본적 전제는 재능이 선천적(개인적) 특성과 후천적(환경적) 영향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된다는 것이다. 이 모형을 토대로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취와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자기보고형 스포츠 재능발달 척도 (MSTDS: Multidimensional Sport Talent Development Scale)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위계적 구조와 측정 동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련의 심리측정적 절차에 따라 스포츠 재능과 연관된 문항들을 추출하고 내용 및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12요인으로 구성된 57문항의 MSTDS가 개발되었다. 759명의 청소년 운동선수(남: 497명, 여: 262명)를 대상으로 고차원 확인적 요인분석(higher-order CFA)을 시행한 결과는 12개 요인(동적체력, 정적체력, 체격, 집중력, 조절력, 의지력, 정신적 지원, 정보적 지원, 물질적 지원, 양적연습, 질적연습, 정신연습)과 4개 차원(신체능력, 정신능력, 사회적 지원, 운동연습)의 MSTDS 위계적 구조를 타당하게 검증해 주었다. 스포츠 재능의 개인적 특성은 신체능력(동적체력, 정적체력, 체격)과 정신능력(집중력, 의지력, 조절력)의 차원으로, 환경적 영향은 사회적 지원(정신적, 정보적, 물질적)과 운동연습(질적, 양적, 정신)의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련의 다집단 CFA에 의한 측정 동일성 검증 결과는 MSTDS가 다양한 운동집단(학급, 운동종목, 성별)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척도임을 증명해 주었다. 나아가, 잠재평균 분석(latent mean analysis) 결과는 남자집단이 여자집단 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스포츠 재능발달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개인종목 집단이 단체종목 집단 보다 높은 신체 및 정신능력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지원에서는 중학 및 고교집단이 대학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자기보고형 스포츠 재능발달 측정의 타당성을 선행연구와 이론적 모형을 통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분위기(TIC)와 자아지향적(EIC) 분위기 향상을 위한 수업지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체육 수업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Ames(1992)가 제안한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평가, 집단, 시간)를 토대로 개발된 TIC와 EIC 프로그램은 체육수업(농구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2개 반 학생들(TIC: 37명)과 EIC 프로그램(36명)에게 15회에 걸쳐 적용되었다. 마지막 15회 수업의 학생행동들(적절한 활동, 부적절한 활동, 협력학습, 인식, 과제관련, 비과제관련, 동료학습, 대기시간)은 컴퓨터 행동분석 프로그램(BEST)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되었다. 학생 수업행동 분석결과에 따르면, TIC 집단이 적절한 운동행동, 인지적 행동, 과제관련 행동, 동료학습에서 EIC 집단 보다 높은 행동빈도와 지속시간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EIC 집단은 TIC 집단 보다 부적절한 운동행동, 과제비관련, 대기시간에서 높은 지속시간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지향적 분위기가 자아지향적 분위기보다 더욱 적응적인 성취행동과 연관돼 있다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 한구무용수들의 개인적, 긍정적 체험인 신명의 본질적 요인을 심층면접을 토대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03년 현재 프로 한국무용수로 활동 중이며 각종 콩쿨에서 금상 및 대상수상자와 국내·외 공연에서 주역을 맡은 경험이 있는 무용수 10명(남자: 5명, 여자: 5명)을 참여자로 하였다. 이들을 통한 심층면접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프로 한국무용수들이 경험하는 신명의 요인은 212개 원자료 14개 범주 6차원의 귀납적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양한 신명요인을 나타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일체감, 몰입, 쾌락, 용해, 초월, 기타 등의 차원이며, 이에 대한 범주에는 동료와의 호흡, 관객과의 일치, 인물과의 일치, 집단과의 일치, 완전한 집중, 점층적 집중, 즐거움, 좋은 기분, 성취감, 편안함, 자연스러움, 영적인 체험, 특별한 인식, 기타 등으로 나타났다. 신명은 극히 개인적이고, 비자발적이며, 우리춤에서만이 나타나는 독특한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결론들은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전수하는 무용수들에게 교육적, 실행적 입장에서 의미있는 연구일 것이다. 아울러, 질적 연구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과 결과를 양화시키는 것과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연관성이나 발레나, 현대무용에서의 신명과 유사한 체험의 비교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