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7

        18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to find a control factor for the marine casualty of fishing vessel by using the risk quantitative method of marine casualty, and sequentially timed event analysis for the reason finding. The result is that collision, sinking, and capsizing took high risk need to be strongly controlled. And the accident reason and control factors distinguished are as follows. The 82.2% of collided fishing vessels have negligence of look out as a immediate cause, while it was judged that underlying cause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vessels and fishing method, lack of suitable complement, fatigue, the prejudice or ignorance on steering and sailing rules. So the control factors are; firstly needs educational control measures and in terms of systemic control approach expand the range of the certificate of competency more smaller tonnage.
        4,200원
        182.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vessels have been causing more than 70% of marine casualty in Korea. As a view of the occurring number of marine casualty, it is obvious for fishing vessel to account for the absolute high portion of that in comparison with the non-fishing vessels. That is a natural outcome because fishing vessels have occupied more than 90% of all registered Korean vessels. If we consider it not occurring number, but occurring ratio, we could find out that fishing vessels accounted for 5 times lower than non-fishing vessels in marine casualties. Nevertheless, fishing vessels have not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for marine casualties at all, because the tendency of it in fishing vessel has been dominating the whole marine casualties in Korea. So for reduction of them, it is indispensable to decrease th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In this study, the authors tried to carry out many items of them to compare the occurring number with the occurring ratio, and dealt with the casualties of collision and machine damage in detail, because those have not only been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casualties in Korea, but also led to the death and injury of lives. To reduce the collision and the machine damage, the operator have to keep the watch more strictly and check and keep the machine in good order. And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tak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intended to decrease thos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especially for the crews of fishing vessels.
        4,200원
        189.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5년간(2005-2009년) 국내의 조선소 주변해역에서 발생한 해양오염사고의 건수를 연도별, 지역별, 원인별 및 물질별로 분석하였다. 조선소 주변의 해양오염사고는 5년간 총 45건이 발생하였으며, 2005년 연간 8건이 2009년 연간 15건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발생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 지역이 17건(41%)의 오염사고가 발생하여 1위이고, 경남과 전남 지역이 각각 9건(22%), 강원 지역이 3건(7%), 경북 지역이 2건
        3,000원
        190.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외적으로 해양오염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발생한 재난적 해양오염사고인 씨프린스호 사고와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는 다시 한번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준 사고이다. 국내에서 발생한 두 사고를 분석하여 해양오염사고 대비에 관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개선여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 해양오염사고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3,000원
        191.
        201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사고 중에서 인적요소(Human Factors)에 의한 사고가 8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적요소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가 대단히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 및 평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에 나타난 인적요소 식별과, 분석 및 평가 기법을 살펴보고, 최적의 기법도출에 필요한 위기요소의 사전식별과 연구접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국내외적으로 인적요소의 효과적인 관리체계와 분석 및 평가 연구가 미흡함
        3,000원
        194.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예인선 오염사고는 총 172건으로 매년 30건 이상이 발생하여 10㎘이상의 기름을 해상에 유출시키고 있다. 사고의 원인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대부분 90%이상이 운 영자가 주의를 기울이면 예방 할 수 있는 오염사고가 많다는 점이다. 그 원인은 노후 된 선박, 고령의 종사 자, 부정기적인 운항과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관계기관에서의 관심과 정보공유, 현 장소통의 기회가 적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예인선 종사자에 대한 해양환경보전의 식을 심어 줄 수 있는 예인선 오염사고 감소방안에 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3,000원
        195.
        2011.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양의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경제적, 생태적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출현장에서의 신 속한 방제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제의 신속․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사고초기 오염의 정도와 오 염범위 확산추세 등에 대한 신속한 자료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현장검증 등 기초데 이터 등을 수집하여 필수적인 근거자료로 활용하여야 하나, 해상오염도라든지 구체적인 현장의 오염현황 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파악하기란 상당히 난해한 일이다. 본 연구는 방제조치에 앞서 정확한 기름오 염 확산 범위, 농도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제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해양오염사고 현장의 기름농도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국내외 현황 및 구체적인 분석기술 조사를 통하여 실시간 수중 기름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장비, 프로그램 등)의 도입과 이동편의성, Data logger, 국내 해역 위치정보, 운용프로그램 등 국내 해역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196.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사고라고 하는 것은 넓은 의미로 해상에서 선박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총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양사고 는 유형별로 충돌, 좌초, 접촉사고 등의 교통관련사고와 화재, 침몰, 전복, 손상사고 등을 포함하는 기술관련사고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 통관련사고는 해상교통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그리고 기술관련사고는 선박의 기술적인 개선을 통해서 예방이 가능하다. 한편 대부분의 해 양사고는 그 발생 원인이 포괄적인 인간과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해양사고가 발생한 해당 해역의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에 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타 선종에 비하여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의 지배를 많이 받고 있는 어선의 해양사고를 중심으로, 국내 남해서부해역에 한하여 이 해역의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이 어선의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켜 어선의 해양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적 및 정책적 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3,000원
        197.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사고라고 하는 것은 넓은 의미로 해상에서 선박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총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양사고 는 유형별로 충돌, 좌초, 접촉사고 등의 교통관련사고와 화재, 침몰, 전복, 손상사고 등을 포함하는 기술관련사고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 통관련사고는 해상교통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그리고 기술관련사고는 선박의 기술적인 개선을 통해서 예방이 가능하다. 한편 대부분의 해 양사고는 그 발생 원인이 포괄적인 인간과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해양사고가 발생한 해당 해역의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에 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타 선종에 비하여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의 지배를 많이 받고 있는 어선의 해양사고를 중심으로, 국내 남해동부해역에 한하여 이 해역의 자연환경과 해상교통환경이 어선의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을 감소시켜 어선의 해양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적 및 정책적 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3,000원
        198.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류에 의한 해양오염은 해양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전에 방지되어야 함이 최선이다. 하지만 일단 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신속한 방제조치와 아울러 피해자에 대한 신속하고도 적정한 손해배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피해 국민들의 생존권 보호차원에서도 구체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과제이다. 해양사고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가 발생할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는 해양 생태계 파괴에 따른 어업 피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국내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국제기금의 어업피해 보상율은 피해 청구액 대비 약 10~30%로 인접국이나 유럽 국가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 피해보상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여 국내 해양 유류오염사고 손해배상율 제고방안을 제시한다.
        3,000원
        19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연간 약 600여건의 각종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해양사고의 발생에 관한 국 내외 많은 연구와 분석에 의하면 해양사고의 약 70~80%가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여러 인적요인 중에서도 항해사의 피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해사의 피로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거의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종류별로 인적요인에 의한 발생률을 분석하고, 문헌과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항해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5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ISM법을 이용하여 피로요인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 위험성의 평가요소를 계층구조화하였다. 마지막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각 피로요인의 중요도를 구하고 항해사의 피로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해양사고의 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수면시간 0.386, 스트레스 0.302, 건강상태 0.139, 휴식시간 0.099, 음주 약물 0.074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사상사고 0.328, 충돌사고 0.308, 좌초사고 0.195, 침몰사고 0.094, 화재사고 0.075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을 중심으로 제어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00.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해양사고의 방지와 해상교통의 원활한 흐름에 기여하기 위하여 전 세계의 주요 항로에 항로지정 (Ship's Routeing) 방식을 채택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2003년에 해상교통안전법의 시행규칙으로 남해안의 홍도 및 보길 도 항로에 대하여 통항분리방식이 적용되는 수역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2005년에는 거문도 항로를 추가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의 통항분리수역 지정으로 인한 해양사고방지 및 해상교통흐름에 대한 기여도 평가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 내 통항분리수역 지정 전후 5년간의 해양사고 자료 및 해상교통흐름을 분석하여 실제 통항분리수역의 지정이 해양사고의 방지와 해상 교통의 원활한 흐름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평가하고자 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