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18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vibration control effect of the exterior-installation Kagome damping syste (EKDS)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Kagome dampers to a 15-story frame apartment building structure.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of a structure with exterior-installation Kagome damping system up to the third stor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story should be higher than second story to effectively reduce the base shear and the maximum drift of the uppermost story. When the exterior-installation Kagome damping system was installed up to the fifth story, the application story should be higher than third story and for obtaining the target performance.
        18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제진설계를 구현하기 위한 설계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최근 제안된 Exo-type 감쇠시스템을 활용하여 15층과 20층의 연구 대상 건물을 대상으로 감쇠시스템의 최적 강성비와 적용된 감쇠장치의 최적 항복비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라멘조 건물의 제진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해석결과, Exo-type 감쇠시스템을 3개층 적용 시에는 대상 건물 15층과 20층 모두 밑면전단력과 최상층 최대응답변위 감소라는 관점에서 유효한 제진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Exo-type 감쇠시스템과 대상 건물의 강성비는 7.0 이상 확보를 하여야 하며, 감쇠시스템에 적용된 감쇠장치의 항복비는 대상 건물의 층전단력의 약 8.0% 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xo-type 감쇠시스템을 5개층 적용 시에는 대상 건물 15층과 20층 모두 Exo-type 감쇠시스템과 대상 건물의 강성비는 2.5 이상 확보 하여야 하며, 감쇠시스템에 적용된 감쇠장치의 대상 건물의 층전단력의 약 3.5%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8.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종자에서 기름을 착유한 후 부산물인 유채박을 토양에 처리하여 토양 내 선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실험 한 결과를 보면, 유채박을 혼합한 토양이 OM, Av.P₂O₅, Ca, Mg, CEC 등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유기물함량은 무처리 토양보 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채박의 glucosinolate 함량 은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199.97 μmol/g로 선망 유채박의 함량 보다 76.62 μmol/g 더 많았으며, 특히 progoitr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및 sinigrin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기 때 문에 유채박의 선충밀도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선망’ 유채박보 다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선충밀도를 더 줄여주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19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19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 개화기에 염소계 살균제인 NaDCC(sodium dichloroisocyanurate)의 사용에 따른 배검은별무늬병의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건전한 배나무에 배검은별무늬병원균인 Venturia nashicola의 분생포자를 접종하고 NaDCC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무처리에서 51.6% 발생한 반면에 NaDCC 처리시 750mg/L에서는 23.8%, 1,000mg/L에서는 26.2%로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원황 등 6개 품종을 대상으로 만개기에 NaDCC를 살포하여도 배꽃의 화분발아에는 피해가 없었다. 신고 배 포장에서 개화초기와 만개기로 구분하여 NaDCC를 살포한 결과 개화초기에 NaDCC를 단독 살포 처리시 98% 이상의 높은 수정율을 나타내어 가장 효과적인 살포시기로 판단되었다. 또한 신고 배 재배포장에서 NaDCC를 배검은별무늬병 방제 적기에 4회를 살포한 결과 NaDCC 750mg/L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발병과율은 0%이었다.
        193.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자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omopsi scitri에 의한 유자 검은점무늬병은(Meloanose)과 Elsinoe fawcettii에 의한 유자 더뎅이병(Scab)은 유자나무에서 가장 일반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병 발생은 6월 하순경에 피해가 큰 것은 6월 동안의 강우량과 상대습도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병들은 수령이 낮은 유자보다는 수령이 높은 유자에서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유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농가의 관행재배구가 78.3%였으며,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9.1~72.6%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 유자 더뎅이병 시험에서 농가의 관행재배구에 대한 방제효과는 82.6%였으며, 공시자재인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1.1~71.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본 시험결과에서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유자의 검은점무늬병 및 더뎅이병에 대한 방제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194.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제주지역을 강타한 태풍 ‘나리’이후 홍수조절을 위해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태풍 ‘뎬무’의 내습 시, 한천 상․하류에 위치한 하천유량 관측소의 자료와 저류지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천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에 미치는 홍수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에서의 실제 하천수위는 3.44m를 기록하였으나, 수위-유량 관계식, 유출전파속도, 저류지 유입량 등을 활용하여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의 하류지역 하천수위를 분석한 결과 4.16m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홍수저감 효과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유사한 사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95.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ginseng alternaria blight and to evaluate their effects from 2011 to 2012. Alternaria blight is caused by Alternaria panax and is the most common ginseng disease in Korea.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were used to reduce amount of chemical fungicides and the number of spray for control of Ginseng Alternaria leaf blight. In 4 years of ginseng, control value of Alternaria leaf blight by single application of Defenoconazole WP was 82.3% and those of single application was 62.0~75.9%. Consequently, mixed or alternated application of eco-material products could be recommended as a control method to reduce the amount of fungicides.
        19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TPB모형에 근거하여 운동참여 의도가 높지만, 실제 운동참여로 이어지지 못하는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을 운동제약을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 319명을 대상으로 운동제약 수준에 따라 행동통제지각에서 운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차이를 다집단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의도가 운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운동제약 집단 간 동일하지만, 행동통제지각이 운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운동제약 저집단(.73)이 고집단(.50)보다 높았다. 따라서 운동제약을 많이 받는 사람일수록 의도는 높지만, 실제 운동참여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진행된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들 대부분이 가설적 편향과 같은 측정 오류, 긍정적, 부정적 성향 등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 결과는 운동제약 요인을 추가하여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9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s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joint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and separation between those structures were examined through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Through this experiment, the usefulness of the interaction vibration control using a steel body and a damper as connection members was verified as the seismic response behavior of the structures was reduced and the collision and separation between those structures were prevented.
        20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kiwifruit root system infected with nematodes was treated by hot water dipping treatment, the maximum temperature for this treatment was suggested as 50℃. The lowest killing temperature of internal root-knot in the root tissue was 48℃. Consequently, root-knot nematodes could be killed without damaging root tissues by the hot water dipping treatment at 48℃ for 10 minutes. This could be useful for organ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iwifruit seedlings by avoiding the synthetic nematicides which are not easily decomposed in soil once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