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8

        18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플라톡신 생성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진공동결 건조한 대사산물로부터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대두로부터 아플라톡신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은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는 아플라톡신 생성균에 대한 길항물질을 생산하였으며 MeOH추출, 실리카겔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아플라톡신 생성균인 Asp. flavus와 Asp. parasiticus의 생육은 길항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길항물질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었으며 이는 아플라톡신 오염방지를 위하여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일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8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전국 8개도 37개점의 밭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2균주의 선충 포식성곰팡이를 이용하여 실내 및 온실에서 부식성선충과 뿌리혹선충을 이용하여 포식력을 비교하였다. 실내검정에서 부식성선충에 대하여 91% 이상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는 51균주였고, 부리혹선충에 대하여는 26균주였으나, 온실 검정에서는 81%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가 3균주로 온실검정과 실내 검정간 상관 유의성은 없었다. 선발된 3균주는 부식선충 및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실내 및 온실실험에서 모두 높은 포식력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으로 미루어 볼 때, 천적 포식성곰팡이 선발 시험은 반드시 포장 조건과 가장 유사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8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agonistic bacteria and pathogenic fungi on the growth of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in continuous cropping soil(CCS) and non-continuous cropping soil(NCCS). Tall fescue was establishe
        4,000원
        18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약이 한국산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SMAY배지상에서의 농약농도에 따른 곰팡이 포자형성수는 metalaxyl과 tolclofos-methyl 처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fenitrothion과 mepronil 처리에서는 권장량의 배 처리에서도 포자형성이 미약하였다. 농약과의 동시 처리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희석액에 병원성 곰팡이를 1-5시간 동안 침지시켜 병원성을 알아본 결과 전 약종에서 100%의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배추밭에서 농약전처리가 M. anisopliae의 병원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Bt나 teflubenzuron, metalaxyl, carbofuran 처리구는 대조구와 병원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lachlol 처리구에서는 병원성이 80% 이하로 떨어졌다. 잔디밭에서 농약의 후처리가 병원성곰팡이의 병원성과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바 iprodione+thiram과 tolclofos-methyl 처리구에서는 4달째까지 병원성이 지속되었고 fenitrothion처리구에서는 3개월 후부터 B. bassiana와 M. anisopliae의 병원성이 상실되었으며 mepronil처리구에서는 M. anisopliae가 병원성을 상실하였다.
        4,000원
        18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hogenic hngi(Fusarium culmorurn, Fusarium oxyspomm fsp. lycopersici, Fusaiurn solani, Rhizoctonia solani), pregermination time(0, 6, 9, 12, 18, 24, 48 hrs.) and temperature(12℃, 18C˚
        4,000원
        18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곤충병원성곰팡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5개도와 3개 광역시에서 200개소의 토양 sample을 채집하여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8종의 곤충 사체로 부터는 직접 분리하였다. 그 결과 40개소(20.0%)의 토양과 8종의 곤충 사체에서 곰팡이가 분리되었는데, 토양에서 분리된 균종별로는 Bequveria가 21개소(10.5%), Metarhizium이 19개소(9.5%)이었다. 그외 7종의 곤충에서 Beauvria가 분리되었다. 서식처별로는 산림 110개소중 25개소(22.7%), 경작지 20개소중 2개소(11.0%), 휴한지 11개소중 6개소(54.5%), 하천 제방 19개소중 7개소(36.8%)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가 검출되었다. 한편, 곤충 사체에서는 긴수염 대벌레에서 Metarhizium이 분리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Beauveria가 분리되었다.
        4,000원
        19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4,000원
        191.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종의 선충 천적 기새균 A. arthrobotryoudes, A. conoides, A. oligospora, D. lobata 그리고 F. oxysporum 을 이용해 온실에서 당근뿌리 혹선충 방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선충 천적 기생균을 처리했을 때 뿌리혹형성이 감소하였고 또한 고추생육이 증진되었다. 5가지 천적 진균 모두 4가지 접종원 농도로 처리했을 때 뿌리혹 형성을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현저히 감소되었다. 특히 F. oxysporum 처리구가 뿌리혹 감소 효과가 매우 높았다. 고추 지상부 생육은 A. arthrobotryoides, A. conotdes, A. oligospora, D. lobata and F. oxysporum 접종원을 고추 정식전처리했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해서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온실 시험과 실내시험을 통하여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던 D. lobata와 F. oxysporum을 선발하여 뿌리혹 선충의 밀도가 높은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 두가지 선충 천적 기생균 모두 접종원 농도 1 : 70, 1 : 100 에서 무처리에 비해 고추의 뿌리혹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때 고추 지상부 생육은 두처리 모두 온실 시험에서 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4,000원
        19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method for Meloidogyne spp to medical herbs by applied of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spp, Fusarium spp, and egg parastic fungi, Paecilomyces lilacinus were applied for root-knot nematodes on medicinal herbs, Paeonia albiflora, Codonopsis lanceolata,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Codonopsis lanceolata, Paeonia japonica lower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ated control plots. But A. thaumasia F. oxysporum treated plots were less effective. Effect of egg parasitic fungi and chemical treatment at divided root of Paeonia japonica after sterilized in pot were increased in the fresh weight, root weight, control effect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as chemical, Carbo G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ted control plots. I field experiment, the number of root gall, egg mass and nematode density of Paeonia were also suppress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It was very effective continuous 2 years and transplanting time on Paeonia japonica infested soil with the M. hapla in field in both region, Chillgok and Euisung treated P. lilacinus as chemical treated plots. Soaking effect of insecticide for Paeonia japonica at diving shoot before transplating in pot were effective for 12hours immersion into 1,000 ppm of Benlate T + Mep Ec, Benlate T + Fenthion EC in pot and field Experiment. In the Examination of fungi activily on P.japonica field 1 year after soil treatment, Number of spore of P. lilacinus were 1,000~1,300 in 3 region except Euisung.
        4,000원
        193.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nematophagous fungi were evaluated for their nematicidal effect in vitro on Rhabditis sp. and Meloidogyne hapla in soil. Inocula of Arthrobotrys arthrobotryoides, A. conoides, A. oligospora, Dactylella lobata, and Fusarium oxyaporum were grown in moistened corn-sandy soil and chopped potato-sandy soil media, and incubated at 26 for one week. The prepared inocula were incorporated in autoclaved sandy soil, mixing thoroughly at rates equ-invalent to 1:50, 1:100, 1:200, and 1:400, repectively, before 80g of the mixture carrying 100 Rhabditis sp. was put into petri plates. Nematophagous fungi effectively teduced the popuation of Rhabditis sp. in soil in a week or two following treatment of the incula at concentration of 1:50 and 1:100. The optimum was at for nematicidial effect as high as 80-100%. The at the rate of 1:100 prepared incula were incorporated in auto-claved soil, where 100 Juveniles M. hapla were introduced per 80% soil. All fungi infected the M. hapla effectively in soil, caysing more than 90% mortality within one week. This result indicated the potential value of these fungi as promising biocontrol agents
        4,000원
        194.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주 근교와 금산, 오석 등의 선충발생 상습지의 건전 식물의 근권토괴으로부터 미 끼 이용법, 원심분리법으로 천적진균을 분리하었고, 또 자연감염선충으로부터 직접 천적 진균을 분리하여, 선충에 대한 기생능력이 우수한 다음 7 균주를 동정한 결과 Arthrobotrys arthrobotryoides, A. conoides, A. oligospora, Dactylella lobata, Fusarium oxysporum, Monacrosporium ellipsosporum과 Harposporium anguillulae였다. 그중 인공배양기에서 증식이 어려운 H. anguillulae릅 제외한 6균주의 배양상의 특징을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4종류의 배양기에서 건물량과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량을 조사 했던 바, CMA와 OMA에서 는 공시완 6 균주의 생장상태가 양호하며 , 부생성이 매우 약하여 일반배양기상에서는 생장이 극히 부양한 M. ellipsosporum도 다른 배양기에서보다 뛰어나, 배양상의 특징을 조사하기에 충분하였다. 균주에 따라 건물중, 균총생장 및 포자형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어 다양하였다. D. lobata는 GPA에서 균멱생장과 포자형성이 특히 우수하였고, F. oxysporum은 SNA에서 포자형성은 가장 우수하였으나 균멱생장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고, CM에서는 포자형성은 양호하였고, 균면생장은 최상이었다. SNA상에서 선충기생균의 건물중, 균멱생장 및 포자형성의 최적조건은 pH5--8 및 20-였다. 이들중 D. lobata와 F. oxysporum의 포자형성 및 균멱생장이 다른 균에 비 해 월등히 우수하였다.
        4,000원
        195.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종 곤충기생균의 균사생장 및 포자형성에 미치는 탄소원 (dextrose, starch, sucrose, sorbitol)과 실소원(Yeast extract 농도별) 배지 및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etarrhizium ftavoviride var. minus와 Hirsutella strigosa는 dextrose, starch, sucrose 원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많은 반면 한국에서 발견된 Hirsutella sp.(Korea)는 dextrose률 제외한 배지에서 좋은 생장을 보였다. 사용한 실소원은 균사의 생장에 필수적이나 기생균의 종류에 따라 생장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Nomurea riteyi는 배지원에 관계없이 까다로운 균사생장을 나타냈으며 공시균 모두 pH 부근의 배지에서 균사생산량이 많았다. 한편 2종 기생균을 공시하여 포자형성을 조사한 결과, M. flaνoviride var. minus는 공시실소원과 dextrose원 배지에서 포자생산이 많아 기생균별 배지 선택성의 차이를 나타냈다.
        4,000원
        196.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된 참외종자외 30종에서 Alternaria spp. 등 25종의 진균이 검출되었으며 박종자에서 Fusarium moniliforme 등 8종이 검출되어 공시종자중 가장 많은 종류의 진균이 분리되었다. 낙엽송종자외 5종에 약제처리한 결과 Vitathiram으로 처리된 수박종자에서 Rhynchosporium이 검출되었고 Benlate-T와 Captan을 처리한 종자에서 Alternaria spp.가 검출되었으며 무처리에서는 Alternaria spp. 등 6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종자소독제처리에 대한 발아시험에서는 종자소독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무처리나 약제처리가 거의 비슷한 발아율을 나타내고 있어 종자소독제가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99.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00.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시험장, 충남농촌진흥원 및 일반농가에서 수집한 40개 참깨종자표본의 종자전염진균을 Blotter 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A. longissima, Cercospora sesami, Cephalosporium sp., Corynespora cassiicola,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oxysporum, F. semitectum, Macrophomina phoseolina 그리고 Myrothecium roridum이 검출되었다. 그 중 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C. cassiicola가 많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참깨 종자내의 감염부위를 알아본 결과, C. cassiicola가 가장 깊숙이 배에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며 Chlorine으로 종자표면소독을 하였을 경우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이균에 이병된 종자를 살균토양에 파종하였을 경우 심한 발아저해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C. cassiicola의 종자상에서의 생육상과 배양기상에서의 배양적성질 및 포자의 형태를 기술하였다.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균의 포자현탁액을 참깨에 분무접종한 결과, C. cassiicola는 참깨의 잎과 줄기에 또는 자색의 병반을 나타내며 이것이 급격히 확대되어 고사하였다. A. sesami, A. sesamicola, A. longissima, C. sesami도 참깨 잎에 반점 또는 blight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A. tenuis은 병원성이 없었다. 토양접종실험의 결과, F. oxysporum과 M. phaseolina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심한 종자부패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