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6

        18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LED 면조명을 이용한 감성조명시스템의 인체 생리학적 반응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시각 질환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LED 면조명의 색상에 따른 인체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LED 조명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무채색(하얀색)을 사용하여 5분간 조명 자극을 주었다. 평가 방 법으로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뇌파와 심박변이도를 평가하였고 피부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체 열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뇌파의 경우 무채색, 빨간색, 주황색 LED 면조명 자극 시 α파 비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무채색,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LED 면조명 자극을 받을 때 부교감신경에 비하여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체열이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LED 면조명 자극을 받을 때에는 α파 비율의 증가와 교감 신경에 비하여 부교감신경의 활성화가 발생하였고 체열이 감소하였다. 향후 각 색상을 조합하여 상황별 모드를 구성한 실험과 시각적 자극 외에 아로마와 같은 후각 자극, 음악과 자연의 소리를 이용한 청각 자극 등을 이용한 복합한 시너지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8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red pepper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Korean red pepper extracts were added to chocolate at weight percentages of 0, 2, 4, and 6%. The sensory characteristics made with various Korean red pepper concentrations of the additives were measured as follows: color values (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phenol, total capsaicinoid, total carotenoid,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sensory evalu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p<0.01) were shown in taste, sp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epper extrac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erties of aroma and bitterness for chocolate.
        4,000원
        18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깽깽이풀은 관상적인 가치가 뛰어난 다년생 초화류이다.깽깽이풀의 재배 기간 단축을 위해, 양액의 농도에 따른깽깽이풀의 생장 효과를 구명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양액의 유무가 식물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화 전용 양액(Technigro 20N-9P-20K Plus fertilizer)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0(대조구)과1.0dS•m−1으로 저면관수 처리하였다. 엽수, 초장, 엽면적,건물중은 양액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양액 처리구에서 Fv/Fm값과 SPAD값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두 번째 실험은 1, 2년생 식물체를4가지 다른 수준의 Sonneveld 양액 농도(0, 0.5, 1.0, 2.0배액; EC는 각각 0.2, 1.2, 1.9, 3.7dS•m−1)에서 각각재배하였다. 건물중과 양액농도와의 관계를 2차식으로 표현하였다. 포물선 식에 따르면 최대 건물중을 획득하는 양액의 농도는 1년생에서는 0.76배액, 2년생에서는 1.06배액이었다. 이와 같이 깽깽이풀 재배에는 1년생의 경우에는 EC 1.29dS•m−1 정도로 하고 생장이 진전될수록 EC를 1.9dS•m−1까지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8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etylcholinesterase (AChE, EC 3.1.1.7) plays a vital role in neurotransmission in both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AChE is a key enzyme in the insect nervous system, in which the cholinergic system is essential. In addition to its classical synaptic functions, AChE is recently known to play other non-neuronal roles. In vertebrates, only one AChE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both neuronal and non-neuronal functions, whereas two different AChEs have been identified from various insect species, and seem to play respective neuronal and non-neuronal functions. In honey bee, for instance, membrane-anchored AChE2 is reported to be responsible for classical synaptic functions, while soluble AChE1 plays non-neuronal functions. In contrast to most insect species expressing two AChEs, Cyclorrhaphan flies are known to possess only a single ace locus. In Cyclorrhapha possessing only one AChE, multiple forms (molecular varia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AChE (DmAChE) were recently suggested to be generated via alternative splicing. Among various molecular forms, membrane-anchored dimer has high enzyme activity, whereas soluble monomer is abundantly expressed without catalytic activity. Interestingly, expression of the soluble DmAChE was induced by chemical stres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hypothesized that the generation of multiple isoforms of AChE2, particularly the soluble forms, may have provided alternative protein copies for AChE1, replaced the functions of AChE1 and eventually allowed the loss of AChE1 in Cyclorrhaphan flies.
        18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scribe the macroscopic anatomy and ovarian-physiological difference of the genital organs of the female Korean water deer, organs from captured animals in a wild area of Korea were dissected. The ovary of estrus group was about 1.10 ± 0.02 mm long and weighed about 0.50 ± 0.02 g. And pregnant group was about 1.3 ± 0.10 mm long and weighed about 0.40 ± 0.05 g. And the crowns of corpora lutea were found in the estrus group, but we couldn't find crowns at the pregnant group. Especially, the estrus ovaries tended (p=0.04) to be heavier than the ovaries during pregnancy. The MMP-9 activity was higher at the Graafian follicles of pregnant group than that in estrus group. However, with regard to follicles of estrus group, MMP-2 level was higher than that in pregnant group. Furthermore, apoptosis detection marker (Casp-3) was highly expressed in Graafian follicle of the pregnant group and the corpora lutea of estrus group. Thu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MMPs observ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flec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of monovulatory in estrus and/or pregnancy. Our results may be very useful as it provides with information that may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biotechnologies in endangered animals.
        4,000원
        18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먹이 조건에서 생활하는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장내 세균의 의존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종령 유충의 소화관에 존재하는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효소활성 및 항균 능력을 분석하였다. 종령 유충의 소화관은 몸 체장에 약 7 배의 길이를 나타냈다. 한 개체의 소화관 내 존재하는 세균 수는 5.0 x 10⁶ cfu로 98% 이상이 후장에 존재했다. 소화관에는 3 종류의 상이한 세균이 존재했고, 미생물 동정 장치는 이들이 각각 Morganella morganii, Providencia rettgeri 및 Bacillus halodurans로 동정하였다. 이들 소화관 세균을 16S rD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 외에 Proteus mirabilis, Providencia alcalifaciens, Providencia sp.를 검출하였다. 이들 장내세균은 항생제 내성을 보였고, 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섬유소, 지질,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분해 능력을 보유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은 아메리카동애등에 소화관에 유용성이 높은 세균을 보유하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4,300원
        18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온기 근권냉방이 파프리카의 배지온도 하강과 파프리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7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이어 배지에서 재배 하였다. 냉방방식은 공기순환 덕트(지름 12cm, 미세구멍 (0.1mm)으로 찬 공기(7월~8월; 20 ± 2oC, 9월; 23 ± 2oC) 를 야간시간(오후 5시~오전 3시) 공급하였다. 고온기(7월 23일부터 8월 31일) 중 파프리카 배지의 일평균 온도가 냉방처리구는 24.7oC, 대조구는 28.2oC로, 냉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3.0~5.6oC 배지온도가 낮아 졌다. 하루 중 맑은 날(650~700W · m−2) 주간(오전 5시~ 오후 8시)/야간(오후8시~오전5시) 냉방처리구 배지 온도는 대조구보다 1.7oC/3.3oC 낮아졌다. 오후 6시에서 8시까지 초저녁 배지온도 하강속도가 냉방처리구에서는 평균 0.5oC/h, 대조구는 0oC/h였다. 배지 상부와 하부 간의 대조구 대비 냉방처리구의 온도차도 각각 1.3oC, 0.6oC 였다. 냉방처리는 고온(28~32oC) 배지 온도 노출율을 대조구 대비 32.5% 감소시켰다. 냉방처리구의 파프리카 광합성, 증산율 및 수분포텐셜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첫 개화시기도 대조구보다 4일 앞당겨지고, 착과수도 증가하였다. 냉방처리구의 엽장은 짧아졌으나, 초장, 경경, 분지수, 엽폭 등은 차이가 없었다. 야간 근권냉방으로 배지 온도가 3.0~5.6oC를 낮추었으나, 고온기 온실 온도가 고온에서는 파프리카 착과가 지연되므로, 지상부 온도 하강 방법을 병행하면 파프리카 생육과 착과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4,000원
        18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GA 2.5% 도포제 처리가 자두 과실의 생리적 낙과 억제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포모사’ 과실에 대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수정 후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생리적 낙과방지 효과가 높았다. ‘포모사’ 품종에 GA 도포제를 처리하고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 율은 만개 후 3일 처리에서 61%, 만개 후 13일 처리에서 15%로 무처리 5%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GA 도포 제 처리구에서 착과율 증가는 ‘하니레드’, ‘추희’ 품종 에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비대 및 과실 성숙에 영향을 주었다. GA 도포제 처리구에서 ‘포모사’ 과실의 비대 양상을 조사한 결과, 만개 후 80일까지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만개 후 80일 이후에 대조구에 비해 과실 무게가 높게 나타났다. GA 처리된 ‘포모사’ 과실은 과중이 약간 높고, 당도, 산 함량 및 경도는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모사’ 과실에서는 수확기 직전 즉 만개 후 85일경에 sucrose 함량이 증가하는데 GA 처리는 sucrose 함량 증가시기를 앞당겼다. 이를 종합하면, GA 도포제 처리는 자두에서 과실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또한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고 성숙기에 과실 비대를 촉진하였다.
        4,000원
        18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고지질 Botryococcus를 확보하기 위해 시료채취를 하였고, 실험실에서 Botryococcus sp.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otryococcus sp.는 현미경으로 그 크기와 형태를 관찰하였고, 분자적 동정을 위해 18S rRNA gene과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Botryococcus sudeticus J2로 명명하였으며, 생태학적 특성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의 Botryococcus 속의 분포를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정된 B. sudeticus J2의 생리적 특성 분석을 위해 배양실험을 수행하였고, 생장률과 바이오매스 생산성 그리고 광합성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주로서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총 지질 함유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B. sudeticus J2의 생태적, 생리적 연구 후 2배의 광량과 2% CO2 조건에서 배양을 수행함으로써 최적 배양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B. sudeticus J2는 비교를 위한 B. braunii UTEX 572보다 높은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지질생산성을 보였으나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다른 후보 미세조류에 비해서는 낮은 생장률을 보였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로 B. sudeticus J2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광저해에 대한 내성에 초점을 맞추어 최적 배양을 위한 광조건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19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잣버섯 품종인 솔향과 개량 신품종 곤지 10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영양 성분 분석의 경우 유리당과 당알코올의 경우 총 4종류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그 중trehalose의 경우 건물 g당 곤지 10호 44.11±0.99mg,솔향 38.89±1.31mg로 검출된 당 중에서 가장 높은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곤지 10호가 솔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은 총 24종중 17종이 검출 되었고 유리당과는 반대로 솔향의총 아미노산 함량이 곤지 10호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대표적으로 항암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진 물질인 β-glucan의 경우 솔향이 곤지 10호보다 높은 수치를나타내지만 품종 간의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성분인 total polyphenol 함량은 곤지10호의 열수추출물이 15.02±0.50mg GAE/g DW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자실체의 생리 활성 분석으로는 항산화 실험인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두 품종 모두 농도별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품종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항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itrite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두 품종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10mg/ml에서까지 대부분 40% 이상의 nitrite를 소거하여 발암물질인 nitrosoamine을 없애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당뇨 실험으로 α-amyloglucosidase및 α-amylase 저해 활성을 실험한 결과, 이 모두 솔향 열수 추출물이 positive control로 쓰인 acarbose와같은 농도이거나 더 높은 농도에서 비슷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곤지 10호보다 유의적으로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마우스 유래 RAW264.7 cell line을 이용하여 항염 활성을 확인한 결과 nitric oxide의 저해능은 열수 추출물보다메탄올 추출물이 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곤지 10호 메탄올 추출물이 솔향 메탄올 추출물보다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91.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화란 시간경과에 따라 생체기능의 불가역적인 저하로 치매, 뇌혈관질환, 고혈압, 암 등과 같은 노화관련 질병이 생겨나며, 세포들이 생명력을 잃어가는 일련의 현상이다. 노화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은 퇴행성 뇌 질환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이 있다. 이 병들은 초기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아 조기 진단이 어렵고, 질병의 진행을 막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유전자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노화 동물모델인 SAMP1 마우스를 대조군인 SAMR1 마우스를 비교하여 노화의 초기단계에 차등 발현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여 향후 노화와 연관 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성장단계인 8주령과 노화초기진행단계인 26주령의 뇌 조직에서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cDNA chip 분석을 수행하였고, 신뢰성을 가지고 생물학적 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는 13,939개의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들 중 발현이 2-fold 이상 증감하는 유전자들을 조사한 결과, 2,029개의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별로 분류한 결과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총 증가 혹은 감소한 유전자의 개수는 660개였으며, 이 중 노화와 연관성이 높은 유전자는 74개였다. 26주령에 증가양상을 보인 것이 46개, 감소양상을 보인 유전자가 28개로 밝혀졌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노화와 관련된 유용한 유전자인 Wnt7a, Prkcb, Dgke가 선별되어 real-time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nt7a 유전자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현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노화 초기 단계의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Prkcb 유전자는 성장단계의 발현량에는 관계없이 노화초기단계에서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Dgke는 성장단계부터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노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9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광처리에 의한 광환경 변화가 섬시호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차광막을 이용하여 무차광처리구(0%), 50%, 70% 및 90% 차광처리구를 설치하고 광합성 관련 인자, 수분이용효율, 엽육세포내 CO2 농도, 엽록소 형광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차광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낮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암호흡의 저하로 인한 광보상점이 감소가 나타났으며, 광합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순양자 수율과 엽록소 함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무차광처리구에서는 강한 광에 의한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가 감소되었고, 엽육내의 CO2를 효율적으로 광합성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 광합성속도가 감소하는 광저해현상이 나타났으며, 여기 에너지의 전자전달이 원활하지 못하여 광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된다. 90% 차광처리구 역시 점진적으로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여 7월에 가장 낮은 최대광합성속도를 보였는데, 이는 광선요구도보다 매우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50% 차광처리구의 경우 광합성에 효율적인 광환경이 제공되어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가 증가하였고, 광화학반응 효율이 증가하는 등 광합성 활성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어 생육에 보다 유리한 광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9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지' 품종에 대한 수분수로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꽃사과 11품종의 특성 및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꽃사과 품종의 개화기는 '후지'에 비하여 개화시기가 2~7일 정도 빨랐고 화분발아율도 'Virginia'(74.4%) 외에 다른 꽃사과 품종들은 85.6~98.0%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후지' 품종에 꽃사과 화분을 인공수분시킨 결과 착과율이 자연방임의 65.4%에 비해 'Adam's'는 76.8%로 11.4% 높았고, 나머지 품종들은 86~100%로 20.4~34.4% 높은 결과를 보였다. 꽃사과 화분으로 결실된 '후지' 품종의 종자수는 자연방임으로 결실된 과실에 비하여 13.8~42.3% 향상되었고, 과중은 346.7~376.8g으로 7.4~16.7% 정도 향상되었다. 과형지수는 무처리구 과실은 0.82로 비정형과 기준이었는데 비해 'Manchurian', 'Hopa A', 'Virginia', 'Prunifolia', 'Spectabilis' 등을 인공수분한 경우 0.87~0.88로 정형과 기준에 도달하였다. PCR분석을 통한 꽃사과 품종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을 확인한 결과 'Manchurian', 'Virginia', 'Sentinel', 'Adam's', 'Asiatica', 'Yantaishagou', 'Hanyaehanakaidou'에서 S3, S5, S9, S10, S20, S26이 확인되었고,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5('Manchurian', 'Virginia')와 S9('Yantaishagou')가 보고된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과 일치하였다.
        4,000원
        19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tty acid-amino acid conjugates (FACs), first identified from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larvae (Alborn et al., 1997), have been found in noctuid as well as sphingid caterpillar oral secretions and especially volicitin [N-(17-hydroxylinolenoyl)- L-glutamine, 17OH-volicitn] and its biochemical precursor, N-linolenoyl- L-glutamine, are known elicitors of induced volatile emissions in corn plants. We conducted FAC screening of 29 lepidopteran species and found FACs in 19 of these species (Yoshinaga & Mori et al., 2010). Thus, FACs are quite commonly synthesized through a broad range of lepidopteran caterpillar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it is presumed that volicitin and the other FACs, although consequently unfavorable to the insect in the plant-herbivore interactions, are produced because they are essential part of the primary metabolism of the insects. In this context, we suggested that FACs in Spodoptera litura play an active role in nitrogen assimilation by regulating the amount of glutamine in the larval midgut (Yoshinaga & Mori et al., 2008). The benefits of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FACs for the herbivores need to outweigh the costs caused by induction of plant defense
        197.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글쓰기 행위는 인간의 생리적 활동 중 하나이며, 심리 가 투사된 활동 중 하나이다. 이러한 투사활동의 생리적 기초는 글쓰기 지도라는 객관적 이유를 동반한다. 본고는 글쓰기와 생리에 관련된 신경조직, 시지각, 손의 생리, 정서생리, 응용 생리, 글쓰기의 생리적 연구 방법 등, 6개항의 문제를 본격적 으로 탐구하여 보았다.
        5,800원
        19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숲에서의 체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을 분석하여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주시 건지산 일원의 편백나무 숲에서 평균 연령 53.33세의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숲 체류 5시간 동안의반응을 측정하였다. 생리적 반응으로 뇌파, 심박변이, 혈압, 맥박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숲에서 체류하는 동안 알파파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생리적 안정이 이루어졌으며 숲에서 4시간 체류할 때 중추신경계의안정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효과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율신경계 측면에서 이완 및 스트레스 완화를 설명하는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혈압 및 맥박의 감소 효과가 나타난 피험자 집단이 숲 체류 후 증가하였으며 최소 2시간부터4시간까지 효과가 나타난 피험자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생리적 반응분석에 의하면, 숲 체류에따른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있어서 숲에서 2-4시간 머무를 때 가장 많은 이용자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9.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ree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Anti-oxidant and anti-tumorigenic activities were carried out. As the anti-oxidant test ORAC(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was performe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MTT assay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anti-tumorigenic activities. HeLa and A549, MCF-7 cell lines were used for MTT assay. GONJI No.6 ethanol extract showed highly effects on anti-tumorigenic activities among three strains. But water extracts were not shown anti-tumorigenic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Hypsizygus marmoreus(from Japan) water extract showed highest radical absorption activities on ORAC assay.
        200.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ousands of mushrooms grow wild in earth and fifteen hundreds of mushrooms in Asia. Mushrooms has been used for food ingredients since early times. Recently it is being used as a good pharmaceutical material or functional bio-material. Because of unknown function, it is worth while to examine the wild mushrooms. We performed experiments with 15species(Russula sorroria, Lactarius japonicum, Tylopilus vireus, Amanita, Russula foetens, pseudoporphyia, etc.) of wild mushrooms. With Methyl alcohol extracts of wild mushrooms, we have investigated the cell growth inhibition by the MTT assay and antioxidant effects by DPPH. Among them, showed excellent results. In this meaning, Forward a variety of biologically research(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