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9

        18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재배 시 중∙소과종 수박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적정 줄기유인 수와 착과 위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줄기유인 수를 위한 시험은 아들줄기를 각각 2, 3, 4줄기로 달리하여 유인하였다. 줄기유인 수에 따른 초장, 경경, 마디수 등 생육특성은 3, 4줄기보다 2줄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과중, 과고, 과폭 등 과실특성은 4줄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당도와 착과율은 줄기유인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착과 위치를 위한 시험의 착과 위치는 2, 3, 4번째 암꽃으로 달리하였다. 착과 위치에 따른 암꽃의 평균 착과마디는 각각 11.5, 15.8, 23.1마디였다. 착과 위치가 높아질수록 과중이 증가하여 2번째 암꽃에 비해 4번째 암꽃이 0.8kg 무거웠다. 그러나 당도는 착과 위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2번째 암꽃이 4번째 암꽃에 비해 1.3°Bx 높았다. 생육과 과실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겨울철 중∙소과종 수박의 줄기유인 수는 3줄기, 착과 위치는 3번째 암꽃이 고품질의 수박의 생산을 위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추후에 재식거리, 중∙소과종 품종의 다착과 등 수박 재배 농가의 소득 안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8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 초부터 비상업용 정부선박의 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와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전통적 국제법상의 절대적 주권면제 이론에 대한 비판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체 이론으로 제한적 주권면제이론이 등장하면서 주권면제이론은 더욱 구체화 되었다. 국제관 습법 및 국제해양법에서는 군함과 함께 비상업용 정부선박에 대한 주권면제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권면제와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 국립대학의 실습선이다. 우리나라 국립대학은 고급해기사 양성 및 어업 실습 등의 교육목적으로 실습선 및 조사선을 건조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실습선은 국내 관할수역 뿐만 아니라 타국의 관할수역 및 공해까지를 활동범위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국의 항구에도 입항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법상 국립대학 실습선의 법적지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국제 항행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습선이 어떠한 법적 지위를 누리느냐에 대해서는 단순히 답할 수 없는 요소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국제법상 비상업용 정부선박의 개념 및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국립대학 실습선이 이와 일치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전통 국제법상의 주권면제 범위와 현행 국제협약상의 주권면제에 대한 규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국립대학 실습선이 해양에서 누릴 수 있는 주권면제의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4,000원
        18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quantitative assessment items for each response phase, and to develop a virtual training method that police can use as a tool to effectively counter chemical terrorism in a crowded facility. METHODS :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related to counterterrorism action and virtual training, as well as a police checklist for counterterrorism simulation, were examined. RESULTS : A new checklist for counterterrorism drills was created; this checklist provides details regarding the tasks, trainees (team), execution, and accuracy at each phase based on the counterterrorism simulation checklist in Annex 4 of the Act on Safety Action at Facilities Vulnerable to Terrorism.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virtual counterterrorism training for police,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counterterrorism manual development/supplements, and virtual training system development.
        4,000원
        18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ultifaceted approaches will be needed, such as global synkinesis (GS) achieve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arms of stroke patients from involuntary movements during exercise. Objective: To identify changes in arm GS and muscle activity, functional evalua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variables throug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hereby verifying the effect on stroke patient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n=10) and experimental group (n=10). Before the intervention, arm GS and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nd arm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Fugl– Meyer Assessment (FMA) scal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which lasted 4-wk, arm GS and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again using the same scale. Results: There was a de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S during the bending action in experimental group (P<.01).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ed only in the activity of the anterior deltoid (AD) and biceps brachii (BB) (P<.05). The results of the arm functional assessmen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e in both groups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crease in GS during the bending action (P<.05). Only the muscle activity of the AD and BB were significantly increase different (P<.05). There was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crease in the arm functional assessment (P<.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S and muscle activity on the FMA in the control group (r=.678, P<.05). In experimental group, GS during the bending arm action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r=-.749, P<.05),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AD and BB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701, P<.05). Furthermore, in experimental group, the activity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increased, and the activity of the flexor carpi radialis decreased, which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r=-.708,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ain plasticity could be more efficiently stimulated by combining surface stimulation in the affected arm of stroke patients.
        4,000원
        18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tor imagery is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n action without overt movement or muscle activation. However, few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motor imagery training effects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early stroke.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strok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additional task of motor imagery training (MIT) 20 minutes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the SSEP amplitude, Fugl-Meyer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MA UE) and Wolf motor function 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SEP amplitude and FMA UE than di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IT effectively improve the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4,000원
        18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lthough studies on physical motor learning through motor imagery training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tudies on its effectiveness are still considered insufficient.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and balance training on static balance of asymptomatic adults in their 20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hirty-six adults in their 20s who passed the tandem stance test were randomized to the motor imagery training group (MIG, n=12), motor imagery with balance training group (MIBG, n=12), and balance training group (BG, n=12). Each group underwent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changes in static balance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race lengt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IBG than in the MIG and BG (P<.05),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race length in the MIBG was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as compared to the baseline (P<.05). Furthermore, a significantly lower velocity was observed in the MIBG than in the MIG and BG (P<.05), and a significant reduction of velocity in the MIBG was more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or imagery training enhance static balance in healthy college students.
        4,000원
        18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arly rehabilitation after partial meniscectomy is important to recover the balance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and prevent pathological problems in the lower extremities and the whole body. Objective: To compare muscle activations for patients after partial meniscectomy. Design: Dua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wenty participants after partial meniscectomy were recrui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Q-setting sensorimotor training group (QSMTG) and Q-setting exercise group (QSEG). Muscle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In the two groups,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activ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P<.05). The Q-setting sensorimotor training group showed more increases than the Q-setting exercise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5). The activation ratio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had increasing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setting sensorimotor training group (P<.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5). Conclusion: Q-setting exercise with sensorimotor training was a useful method that improved the balance of vastus medialis oblique (VMO) and vastus lateralis (VL) activity after meniscectomy.
        4,000원
        188.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변화에 요구에 부합하는 능력 있는 검안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면허시험제도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미국과 영국, 독일의 검안사 교육과정과 시험체계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의 안경광학과 교육과정과 면허 체계를 비교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안광학 학계와 업계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안경광학과의 교육과정과 면허체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결과 : 미국과 영국의 검안사들은 단독법률을 가지고 있으며, 독일 검안사는 법률적인 지원이 없다. 이들의 검안 사 교육기관은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승인된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반면, 한 국은 안경사 관련 법규가 제정된 이후 30년 동안 업무 영역에 변화가 없었다. 즉 교육기간의 통일화, 표준화된 교육 과정과 현장 실습의 부재 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사회의 변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안경광학과를 무 분별하게 증설하여 안경사의 공급 과잉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했다. 실정법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관련 학교나 교육 및 시험체계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으며 결국 안 보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안경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교육제도와 면허시험제도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결론 : 이러한 현실의 모순적 인식에 따라 안광학 관련법을 수정하여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안경사의 업무에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안경사의 업무에 관하여 법률적 재해석이 필요하다. 우수한 안경사를 배출하기 위하여 현행 안경광학과 교육시스템과 교육과정, 인력수급, 교육기관의 현장실습, 면허시험을 재검토하여 표준화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18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방법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ScienceDirect, Pubmed와 CINAHL에 등재된 논문 중 ‘schizophrenia’, ‘occupational therapy’, ‘executive function’으로 자료를 검색하였다. 그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10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연구에서 작업치료 중재 종류는 작업치료 훈련중재, 물건 구매하기 훈련중재, 인지 훈련중재, 직업훈련 프로그램 중재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중재들은 방법과 목적에 따라 실제 일상생활의 수행도, 실행기능, 전반적인 인지 그리고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한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은 인지기능, 실행기능,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쇼핑 등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10편의 연구에서 총 38개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으며, 대부분 인지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들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내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종류와 효과, 종속변인 및 평가 도구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사가 조현병 환자에게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할 때 목적에 따라 중재 방법을 선택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90.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은 주마다 교육제도와 직업 체계에 차이가 있지만, 노인수발 관련 직업에 종사하려면 최고 연령기준(17세)과 최저 연령기준(45세∼50세)을 충족시켜야 하고 일정 수준의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노인수발 직업군에는 수발보조인력(Pflegehilfskraft), 노인수발보조사(Altenpflegehelfer), 노인수발사(Altenpflegerln), 전문수발사(Pflegefachmann) 등이 포함된다. 저마다 교육 수준과 처우도 다르지만, 현장 경력과 교육을 통한 직업상승의 기회가 보장된다. 2017년 “노인수발(요양) 직업에 관한 법”의 제정으로 요양보호사, 보건위생 및 환자간호사, 어린이환자 간호사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였다. 이에 2020년부터 3년제 통합교육이 시작되어 2023년부터는 이들을 ‘전문수발사’라 칭할 예정이다. 한국의 요양보호사는 초창기 독일의 노인요양보호사처럼 나이나 학력 등 자격요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지정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만 이수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간호’와 다르고 자격요건이나 처우도 낮은 상황이어서 요양보호사로서의 직업적 자긍심을 갖기 어렵다. 본 연구는 독일의 노인수발(요양) 인력 양성 제도 변화를 분석하여 전문화와 다양화라는 두 가지 방향이 한국 장기요양보호 인력 양성제도에 어떤 정책적 시사점과 방안들이 있는지 제안하였다.
        7,000원
        191.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카누 선수의 심폐기능(Cardiorespiratory Function), 체간 등속성 근력(Isokinetic Trunk Strength)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9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의 핵심은 무산소성 훈련 프로그램으 로 기존 1RM의 퍼센트(%)를 나누어 훈련하던 방식과는 달리 횟수에 대한 100%의 중량을 가지고 하는 훈련이며, 유산소성 운동과 짐볼운동은 보조적인 개념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에서 신장과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중, 체지방율,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과 총 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등속성 근력의 경우, 각속도 30°/sec에서는 Flexors 운동시 Peak Torque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120°/sec에서는 Extensors 운동시 Total Work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의 경우, Peak Power, Average Power, Peak Drop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폐기능에서는 유의한 개선효과가 있었지만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수 개개인의 근력과 파워가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훈련기간을 6주 이상으로 구성하고 사례수가 보강된다면 체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은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92.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제 의료 초청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연수생들이 어떤 학습을 했는지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개선 점을 도출해 보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라오스와 한국의 맥락의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연수생들의 어려움과 모순을 문화 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들이 어떠한 무형식 학습을 하는 지 알아보고, 도출된 모순들로부터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수생, 지도교수, 연수생의 동료를 인터뷰 했다. 연구 결과 연수생들을 둘러싼 모든 활동 체계의 요소에서 모순이 드러났으며, 이로 인해 학습의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연수생들은 한국에서 일하는 방식 받아들이기, 성실한 태도로 임하기, 자기주도적학습 하기, 배운 내용 적용에 대한 범위와 수준의 균형잡기를 통한 무형식 학습을 하였다. 또한 모든 수준의 모순점으로부터 개선점을 도출해 내었는데, 연수의 제도적 지원 강화와 프로그램 체계화가 그것이다. 본 연구가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계승한 ‘이종욱-서울 프로젝트’가 내실 있게 시행되고 마무리되어 훗날 ‘라오스 비엔티안 프로젝트’로 이어지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8,000원
        19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Foot drop is a common symptom after stroke and causes walking disorders. Therefore, its proper treatment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stimulation during walking on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Design: Quasi-experial study. Methods: The study enrolled 18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electric stimulation during walking,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ankle foot orthoses. Both groups received treatment 2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Outcome measures were assessed for walking and balance ability using the 10-m walking test (10MWT), 6-min walking test (6MWT),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6MWT and TUG result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on all test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oot drop stimulator effectively improved the walking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foot drop after stroke.
        3,000원
        194.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K-fishbone analysis used in the AeLT program and to find suggestion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AeLT Training Manual and lecture PPT file and AeLT final reports. The procedure of K-fishbon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specify the problem to be solved. Second, brainstorm the cause and factor of the problem. Third, cluster problems and elements with the same factors. Fifth, the branching branches (2nd branch , 3rd branch) extending from large thorns become the sub-cause. After all the causes of the problem have been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re analyzed. The cause of receiving the most arrows is the fundamental cause and the priority of the solution. K-fishbone analysis should 1) consider as many causes and sub-factors as possible through brainstorming and 2) by doing casual and correlation relationship analysis, help to ① determine the more critical factors of the problem, ② remove unnecessary elements that hinder the discussion, so increase concentration on the subject, and ③ in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data and information, improve the analyst'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nd its causes. Moreover 3) It is suitable for solving problem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The implications of K-fishbon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invitational training for policy makers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it will be more widely used in inquiry classes in the school. Third, it can be widely extended and utilized as a method of RCA.
        4,000원
        19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학교 체육 현장에서 적용한 심상훈련의 효과가 어느 수준인지 살펴보고,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95년부터 2018년까지 학교 체육 현장에서 심상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한 선행연구 10편을 메타분석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체육에서의 심상훈련 전체효과크기는 큰 효과 크기(Cohen, 1988)를 나타내었다. 둘째,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는 운동기능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에 대한 효과크기 분석 결과, 운동 학습의 유형, 연령, 성별, 훈련 기간, 훈련 빈도, 훈련 시간은 심상훈련의 효과를 조절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체육 현장에서 심상훈련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4,000원
        19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imulation training on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tudents at 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 2018 and December 31, 2018. This training was conducted over a 5-week perio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Friedman test,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all after the normality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p<.001). More specifically, there was a greater improvement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an in the existing simulation exercise. Conclusion: Being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s, competencies, nursing profession perspectives, and, especially in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is necessary to link evidence-based education and existing simulation training.
        4,800원
        197.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ADHD 성향의 대학생(이하, ADHD 성인) 3명을 대상으로 Dynavision을 이용하여 시지각과 집중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A-B 개별실험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독립변인으로 Dynavision의 visual tracking, self-paced, apparatus-paced, digital flash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중재는 적응기간(2회기)과 훈련기간으로 구성하였는데, 대상자 A의 훈련기간은 10회기, B와 C는 각각 7회기였다. 종속변인으로 중재 후의 시지각(MVPT-3, TVMS)과 집중력(스트룹, 100칸 계산문제)을 측정하였다. MVPT-3와 TVMS, 스트룹 검사는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100칸 계산문제는 매회기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 대상자 모두 MVPT-3, TVMS 점수가 향상되었고 스트룹 검사의 수행 시간은 감소되었다. 또한, 회기 가 진행될수록 100칸 계산문제의 풀이속도가 증가하였고 오답수는 감소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ADHD 성인의 시지각과 집중력 향상에 Dynavision 훈련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ADHD 아동이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Dynavision을 인지에 적용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4,000원
        198.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영아에게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놀이수준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진단을 받아 시각기능 저하를 동반하는 만1세 4개월의 여자 영아 1명이었다. 연구의 진행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여 시각기능과 관련된 세 가지 과제를 선정하고,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일주일에 1회, 30분씩 총 16회를 4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효과는 훈련과제의 수행도,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녹스학령전기놀이척도(Knox Preschool Play Scale-Revised: KPPS-R)로 놀이발달 연령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호자 면담 보고를 통해 놀이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KPPS-R로 측정한 전반적인 놀이발달 수준은 12개월에서 21개월로 향상되었고 특히, 놀이감 운용 영역은 12개월에 서 22개월로 향상되었다. 훈련과제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는 세 가지 과제에서 2점 이상의 향상을 보여 임상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면담조사 결과, 보호자는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놀이와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대상자가 시각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결론 : 라이트박스 시각자극훈련은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영아의 놀이감 운용 발달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며, 놀이과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놀이의 질적인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200원
        199.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신분열은 대표적인 신경정신성 질환으로 정신분열 환자들은 정신적, 감정적 및 행동적인 장애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이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정신분열을 유도함으로써 골격근 조직에서 반응하는 혈관생성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살펴보고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흰쥐(SD rats) 총 18마리를 통제(n=6), 정신분열(n=6), 정신분열+운동(n=6)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정신분열 및 정신분열+운동 집단은 총 2주 동안 MK-801처치를 통해 정신분열을 유도하였으며, 정신분열+운동 집단은 4주간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을 수행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실험동물용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HIF-1α 및 VEGF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HIF-1α 단백질은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VEGF 단백질의 경우, 통제집단보다 정신 분열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1), 정신분열+운동 집단의 VEGF가 정신분열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따라서 골격근 내 혈관생성 관련 단백질들은 정신분열 유도에 의해 낮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운동은 이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0.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Obstacle training affects lower limb muscle activity, balance, reducing the risk of falls, and making gait more stabl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quatic and ground obstacle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30 patients with stroke, who were divided into aquatic (n1= 15) and ground (n2=15) groups. Groups underwent obstacle training three times per week, 30 min per session, for six weeks that went as follows: walking over sites with the paralyzed leg, stepping onto and down from a box step, and walking over obstacles with the non-paralyzed leg. 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muscle activity.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quatic group (p<.05). Activity of the biceps femoris and tibialis anterio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nd group (p<.05); however, the rectus femoris and gastrocnemi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of maximal distance regarding the limits of stability,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non-affected side, affected side, and anterior and posterior distance in the aquatic group (p<.05).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on-affected side and anterior and posterior distance the ground group (p<.05); however, maximal distance on the affected side dist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Gait training with aquatic and ground obstacles is effective for improving balance and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for the aquatic group than for the ground group.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