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1

        20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 예찰용 LED 유아등 개발을 위하여 파장대가 다른 LED 램프가 장착된 유아 등을 제작하고, 조도와 곤충유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파장대별 조도는 365nm 0.3lux, 405nm 0.3lux, 525nm 131.1lux, 590nm 69.1lux, 625nm 16.4lux를 나타내 어 조도는 525nm가 가장 높았고, 365nm, 405nm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LED파장대별 벼와 두류 해충의 유인상황을 조사한 결과 365nm 5종 166.5마리, 405nm가 8종 95.8마리로 유인수가 많은 경향이었고, 625nm가 가장 적은 유인수 를 나타내었다. 시설채소의 해충유인에 있어서도 365nm, 405nm가 종류와 유인수 가 가장 많았고 625nm가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조도와 해충 유인과는 관계 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목별로는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집게벌레목, 나비목 곤충은 365nm와 405nm에서 유인이 잘되었고, 파리목는 525nm, 벌목은 625nm에 서 유인이 잘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365nm와 405nm가 곤충유인이 잘되 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LED램프가격이 365nm가 405nm에 비해 5배가량 높은 가 격이어서 해충 예찰용으로는 405nm가 적합하였다.
        20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장이 다른 LED광원을 사용하여 파장별 파밤나방 성충의 유인효과와 유충 발 생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 6월에 비트를 정식하고, 방충망을 하우스 측면과 출입문에 설치하고, 자색(405nm), 청색(465nm), 녹색(517nm), 황색(590nm), 적색(625nm)의 LED램프가 장착된 유아등을 설치 가동하면서, 7월 13일 파밤나방 성충을 처리당 50마리를 접종하고 파밤나방 성충의 유인률을 조사하였다. 파장대 별 유인률은 자색 파장은 85.4%, 청색 36.7%, 녹색 19.6%, 황색 19.1%, 적색 8.7% 를 나타내어 자색파장에서 가장 높은 유인률를 나타내었다. 또한 LED 유아등 파장대별 비트 생육과 수량,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률을 7월 31일에 조사한 결과, 초장, 엽수, 뿌리 무게 등 생육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피해엽률은 무처리 66.9%, 자색 12.3%, 청색 27.4%, 녹색 32.2%, 황색 28.4%, 적색 57.8%를 나타내어 자색 파장 유아등이 설치된 처리에서 유충에 의한 피해도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LED 유아등에 의해 파밤나방 성충이 유인 포살되어 산란수가 감소하고, 유충에 발생 또한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수량은 상품률에 영향을 받아, 무처리는 754kg이었고, 자색은 10a당 1,653kg 으로 가장 많았다.
        20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group; EFG) versus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general food service (general food service group; GFG). We sought this basic information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preschool food services.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of the EF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FG.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FG than the GFG, with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s in both groups being vegetables. The G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n the EFG in the superior qua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the GFG than the EFG thought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ere too expensive.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both groups was safety. Whe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factor for the majority of both groups was the label certifying quality assurance. Both groups also considered price reduction as essential for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regard to parental perceptions on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the E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utritional adequacy of the menu compared to the GFG. Both groups considered food safety and health as primary reasons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with a greater proportion of the EFG than the GFG responding this w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FG and GFG, as the main satisfaction from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EFG was safety, freshness, and good hygiene, whereas the main satisfaction in the GFG was a good food service menu, freshness and good hygien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EFG were also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GFG. Thu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should be increased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Lowering prices and a strict supervision of quality assurance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4,500원
        20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기술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유아교육기관에 적용하여 유아 들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 아 총 32명이며 실험집단 16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자기 존중’ 영역에서 하위영역으로 수용하기(수용), 조절하기(조절), 확신하기 (확신)의 3개 영역, ‘자기 효능’ 영역에 하위영역으로 과제하기(과업 효능), 대처하기(대처 효 능)의 2개 영역, ‘자기 보상’ 영역에는 만족하기(정신적 보상), 인정하기(신체적 보상)의 2개 영역, 총 7개의 하위영역 구성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유아가 이해하기 쉽도록 게임, 이야기 나누기 및 만들기, 신체표현, 분류, 동화 및 발표, 소리 탐색 및 듣기 등 15개의 활동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 보다 유아셀프리더십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의 차이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기존중, 자기 효능, 자기 보상의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코칭기술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5,700원
        20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 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육과정 중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동작교육 수업을 진행하 기 위해 수업 연구에 대한 노력과 수업 자료를 갖고 있는지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동작교육에 대 한 창의성 여부는 어떠한가를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일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대학교육에서나 지속적인 연수를 통하 여 동작교육을 다양하게 실습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자료를 현장에서 필요할 때 참조 활용할 수 있도록 수준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보급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동작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동작 교육 지도에 있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 창의적 동작표현 수업 시 어려운 점 등의 내용 을 살펴 본 결과에 대한 해법으로도 제시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움직임과 관련된 동작교육만이 그 교과의 인식과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인 만큼 대학교육이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그리고 여러 가지 교재 개발을 통해 교사들 은 수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받기도 하고, 스스로 현장에서 개발하기도 하여 그 영역 에 대한 세계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800원
        20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umption behavior of housewives in the Jeonju area with respect to their u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and to assess the need for EAPs in childcare centers also in the Jeonju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nd collected from 278 housewives 42.4% of whom employed and 57.6% were unemploy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v. 12.0. The average score of awareness about EAPs was 3.57±0.56.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purchased EAPS was 76.3% regularly. On this group, 40.3% purchased EAPs 1~2 times in week. Unemployed housewives purchased more than employed housewives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rgin(p<0.05). The most-purchased EAPs were vegetables.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that housewives reported in relation to foodservice provided in childcare centers was 3.66±0.58. About 65%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m in choosing of a childcare centers. Approximately 42% of the housewives responded that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was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of foodservice provided in chidcare centers.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wanted to expand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even though the parents would have to bear some of the financial burden was 42.5%. A higher proportion of employed housewives wanted to expand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more than unemployed housewives, and this fi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000원
        20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아용 체감형 게임은 유아 놀이 공간 축소로 인한 안전한 유아 놀이 공간 부족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용 체감형 게임 인터페이스에 활용 가능하고 유아의 동작 특성이 고려된 유아 교육적으로 적합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된 유아 동작 데이터베이스가 필요성을 제기하고 유아의 상체 동작을 선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동작 데이터베이스는 센서와 카메라의 두 디바이스를 모두 사용한 7개의 한 손 동작과 카메라만을 사용한 7개의 두 손 동작 데이터로 구성되었다. 유아 동작 데이터베이스는 각 연령별로 남자 유아 5명, 여자 유아 5명으로 만3세에서 만 5세의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동작이 수집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총 14개 동작을 한 동작마다 3번씩 반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는 유아용 체감형 게임에 적용 가능하고 유아가 쉽게 따라하는 것이 가능한 동작들로써 연구용으로 외부에 공개 및 배포되어 유아 대상의 체감형 게임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21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육기관이라는 하나의 상황에서 이루어지게 되면서 보육교사나 유아의 특성 혹은 교육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일련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언어적 관여수준과 보육교사의 민감한 반응은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개별 유아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어 유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많은 연구결과들에 의해 알 수 있다.이러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부분을 기존의 코칭관련 서적과 연구를 통해 어떻게 이론적으로 접근할 것인지와 교사-유아상호작용 코칭의 실천적 접근 방법 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을 형성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교사교육, 교사-유아상호작용코칭이론 정립 및 교사-유아코칭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에 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5,800원
        21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A total of 59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were teste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3.72 ± 0.38 log CFU/hand. Five children's hands(2 male and 3 female) were positive(14.3%) for the coliform bacteria. These results showed that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repetitively.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tested in this study,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9(25.7%) and 16(45.7%) out of 35 their hands, respectively. Twelve out of sixteen B. cereus isolates(70.0%) produced enterotox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nd hygiene of nursery school children needs to be improv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hand washing in educated and non-educated group, the reduction effect of total aerobic bacteria on their hands was 0.42 and 0.60 log CFU/hand, respectively. The educated group showed 0.18 log CFU/hand higher reduction effect than non-educated group but microorganism did not eliminate perfectly. From the results, using a hand sanitizer after washing with soap and the continuous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to control the contaminated bacteria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4,000원
        21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on young children's musical understanding of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through researcher-invented notation. Al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Korean children from 3 to 5 years of ages in a private prekindergarten in Seoul Korea. A pre-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guided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for five consecutive weeks, including three treatment sessions between pre-and posttest sessions in summer of 2009.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posed: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when comparing active and passive listening condition? and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apparent understanding of tempo according to familiarity of the melody? Listening conditions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ody movement while children listened to short musical examples. The children's apparent musical understanding of tempo (in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d through children's guided drawings that indicated where they understood tempo changes to occur in the music. The drawings were evaluated by three independent judges who scored four drawings for each child: for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ies in both the pre-and posttest. A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etween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y, and no difference with the interaction of group and melody familiarity. Therefore, the null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accepted.
        5,500원
        21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dentified the intake pattern and consumption propensity of milk and sought improvements to promote consumption of milk. We targeted 362 preschool children aged 5~7 years old who attended nursery school in the Bucheon are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pproximately 36.2% of boys and 31.2% of gorls drank milk six times per week. A total of 32.9% of the preschool children drank more than 2 cups of milk/day. Approximately 72.9% of them currently drink white milk, and 46.0% preferred milk to processed milk. The reasons why they drink milk included ``want to be tall``(66.5%) and ``good health``(52.4%). Mothers(54.6%)and preschool children(39.3%) were the purchasers with the greatest impact on product purchases. Consumer propensity to buy milk was shown in the order of expiration date(4.80 points), and nutrition facts(4.01 points). (4.88 points) and enhanced nutrients(4.59 points) should be promoted for milk consump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made together in order to increase consumption of milk of children and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and school parents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nd in order for children to drink milk without repulsi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satisfying both symbolic aspects and nutritional aspects should continue to be made.
        4,000원
        217.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화의 초기 단계인 유아의 정치의식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 교육과 유아의 발달 수준에 알맞은 정치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치의식은 정치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지며 유아기에 기본적인 정치적인 개념들을 습득한다. 유아기에 이미 권력의 근본적인 의미, 규칙의 의미, 정치 사회화를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권력으로서의 힘을 알고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리더인 ‘대장’을 뽑기도 한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의 정치적 개념을 자신이 취하는 태도, 자신의 관점 표현, 발생한 사건에 관한 질문, 의사결정 과정 참여시 선택 상황 등을 통해 나타낸다. 정치사회화 과정은 일생을 통해 끊임없이 지속되는 발전적 과정이며 사회화의 초기단계인 유아기의 정치사회화는 이후 성인 생활의 정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정치의식 발달 이론은 정신분석학 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 이론으로 분류되어진다. 정신분석학 이론은 정치 권위자에 대한 선호에 유아 자신의 욕구와 개인적 경험에 의한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사회학습 이론은 유아가 속한 환경 내에서 강화, 모방을 통하여 경험하는 다양한 학습의 결과로 정치사회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인지 발달 이론은 동화되고 조절되는 과정 속에서 유아는 질적으로 다른 정치인지 발달 단계들을 거친다는 것을 알려준다. 정치의식의 형성 즉, 정치 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으로 들 수 있다. 가정에서 유아는 자기와 부모를 동일시하고, 정치태도에 대한 부모의 견해를 받아들인다. 부모의 사회․정치적 태도 등의 가족요인은 유아가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행동양식을 습득하거나, 참여권을 행사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유아에게 가장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매개체는 유아교육기관이다. 교사는 사회적 대변자로서 성장기에 있는 유아가 어떤 정치성향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정치적 주제들의 탐색활동에 관여하는 것은 유아들의 정치적 주체성을 수립하고 보여주는 것을 돕는다.
        5,400원
        21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해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하여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의 내용을 기본 방향으로 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유아들이 이전에 접하지 않은 영리더십센타에서 감수한 동화를 선정하여 NLP코칭스킬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본 프로그램은 17차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차시마다 동화를 적용하고 신체, 음악,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Y구 D어린이집 만 4세반 1개 학급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22명의 유아들 중 11명은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실험집단으로,나머지 유아 11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