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4

        201.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선별 검사법 (AUDIT-K)설문지 척도점수에 따라 적정음주군(10점 이하)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뇌 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고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백질 부위의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연령과 체질량지수(BMI)의 변인에 따른 뇌 백질 모든 영역에서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연령과 체질량지수(BMI)는 뇌 백질의 미세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20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뇌록은 조선시대 건축물의 바탕칠(가칠)에 사용된 녹색 안료이며, 불국사 대웅전 등 주요 건축물의 단청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안료 원료인 뇌록을 이용하여 소성온도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포항 뇌성산 일대에 국부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뇌록은 주구성 광물이 셀라도나이트(celadonite)이며, 주요 구성 원소는 Fe, Si, K, Mg 등으로 주로 Fe가 풍부한 운모류임을 알 수 있다. 105℃~1000℃까지 단계적 소성실험 결과, 색상이 녹색 → 담녹색 → 갈색 → 적색으로 변하였으며, 열분석에서는 616℃ 부근에서 결정수의 탈수작용에 의한 흡열반응이 확인되었다. 광물의 변화는 600℃ 이상에서 결정면[(11-1), (02-1)]이 붕괴되고, 1000℃ 이상에서 철산화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뇌록의 정출 온도가 600℃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며, 셀라도나이트만이 확인되는 것으로보아 Stage I 단계만의 변질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20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백질 부위의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나타났지만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른쪽 맥락총 부위에 대한 FA값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백질의 미세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맥락총 부위에는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20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뇌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 진단장치 중 MRA, CTA, DSA 3장비 영상에 관한 SNR과 CNR을 비교, 분 석하여 뇌혈관 검사 시 최적의 검사기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뇌혈관 진 단 검사를 받은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부위는 Rt MCA, Lt MCA, ACA Image J를 이용하여 측 정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MRA의 평균 SNR은 254.87 CNR은 178.13, 신호강도는 326.81, CTA의 평균 SNR은 74.75, CNR은 62.2, 신호강도는 356.66, DSA의 SNR은 26.85, CNR은 25.89, 신호강도는 4400.69 로 평가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SNR과 CNR 모두에서 MRA>CTA>DSA 순으로 측정 되었다. 유의성 평가 방법으로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하였고,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method를 사용하여 p<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뇌혈관 질환 환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최적의 영상진단 장비로 MRA, CTA, DSA의 결과를 얻었다.
        20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재적 시술은 매우 낮은 관전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시술자뿐만 아니 라 환자의 방사선 노출에 의한 위험도가 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뇌혈관 중재적 시술 시 시술자가 받는 선량을 측정하고 의료 방사선으로부터의 노출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폐물질과 차폐방식을 찾아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Nano Tungsten 물질로 새롭게 고안한 차폐방식을 사용하였을 때 시술자 측에서 평균 7.95% 선 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안한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때 PSNR의 결과는 38.44 dB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Nano Tungsten이 영상의 화질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 었다. 결론적으로, Nano Tungsten 차폐물질은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술자뿐만 아니라 환 자의 선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물질을 사용할 경우 최근 차폐물질의 이슈로 부각되 고 있는 인체 및 환경의 유해성 및 경제성에 관련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PG in the fibromyalgia (FM)-like animal model. Methods and Results : To assess the possible effect of PG on FM symptoms, we constructed a FM animal model induced by intermittent cold stress with slight modification. All mice underwent nociceptive assays using electronic von Frey anesthesiometer and Hargreaves equipment.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PG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and phosphorylated CREB (p-CREB),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es were performed. In behavioral analysis, nociception tests showed that the pai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M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of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showed downregulation of BDNF and p-CREB proteins in the FM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PG recovered these changes at behavioral tests and protein level.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effects of PG extract in the FM model may be related to its modulating effect on the BDNF signaling pathway in the hippocampus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Conclusion : Our animal model may be involved in the mechanism by which PG extract is effective as a therapeutic agent for FM.
        208.
        2016.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cidence of ischemic stroke increases with age due to improvements in health care and living conditions. With increasing proportion of old age, the proportion of old age is rapid expansion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Young and old age groups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have different risk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But, many patients of old age are excluded from active treatment like thrombolysis due to hemorrhagic transformation, poorer clinical outcome etc. So we studied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 outcome in ≧80 years old patients compared with <80 years. We enrolled 1,445 patients, who diagnosed acute ischemic stroke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5.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0 years versus <80 years. We compared with two groups about risk factors, stroke subtypes, thrombolysis, complications in hospital, initial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core, prognosis. Of the total 172 patients, 54(31.4%) patients were 80 years or older. Symptomatic hemorrhage and asymptomatic hemorrhage was not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over 79 years patients: 4/54 (7.4%) vs. under 80 years patients: 10/118 (8.5%), p>0.302], [16.7% vs. 17.7%, p>0.701]. There were no difference in mortality and favorable prognosis at 3 months later between both groups [over 79 years patients: 5/54 (9.3%) vs. under 80 years patients: 5/118 (4.2%), p=0.290], [over 79 years patients: 13/ 21 (24.1%) vs. under 80 years patients: 56/86 (47.5%), p=0.803]. There was difference in early neurological improvement rate(improvement > NIHSS 3) and degree of improvement (NIHSS at discharge - NIHSS at admission) were significant[over 79 years patients: 24/54 (44.4%) vs. under 80 years patients: 77/118 (65.8%), p=0.012], [2.69 vs 5.55, p=0.017]. Intracranial hemorrhage(symptomatic and asymptomatic) and favorable prognosis a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wo groups. Elderly patients is not a absolute contraindication for intravenous thrombolysis. For intravenous thrombolysis in elderly ischemic stroke patients, we need more study to exclude the poor prognostic factors and to consider of gain of patients.
        20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통계적 속성에 기반한 질감특징값 분석을 바탕으로 뇌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정상과 뇌경색의 컴퓨터보조진단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질감특징값을 나타내는 6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질환인식률 평가와 ROC curv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밝기 88%, 대조도 92%, 평탄도 94%, 균일도 88%, 엔트로피 84%의 높은 질환인식률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왜곡도의 경우 58%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ROC curve를 이용한 분석에서 각 파라미터의 곡선아래면적이 0.886(p=0.0001)이상을 나타내어 질환인식에 의미가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파라미터의 cut-off값 결정으로 컴퓨터보조진단을 통한 질환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schemic stroke is a common cause of adult disability and death worldwide. Excessive oxidative stress is an important pathogenic mechanism in ischemic stroke. Major reduction of endogenous antioxidative systems increases production of free radicals inducing peroxidation of lipid, protein, and nucleic acid. 1,3-Dipalmitoyl-2-oleoylglycerol (DPOG) is a triglyceride found in oil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such as palm kernels, sunflower seeds and rice bran. We found DPOG as an active constituent of rice bran oil.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protective effect of DPOG derived from rice bran oil on excitotoxicity in cultured neurons and on ischemic brain injury in rats. Methods and Results : Transient focal ischemic brain damage was induced by 2 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followed by 24h reperfusion (MCAO/reperfusion) in rats. After MCAO/reperfusion, the infarct and edema volume of brain tissue was measured by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methods. Glutathione concent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rate were measured in brain tissue. The expression levels of phosphorylated mitogen activated proteins kinases (MAPKs), inflammatory factors, and anti-apoptotic and pro-apoptotic proteins in brain tissue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 Cerebral cortical neuronal cells were cultured in 15-days-old fetus. Cortical neurons were incubated with 1 mM N-methyl-D-aspartate (NMDA) for 14 h to produce excitotoxici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DPOG (1-5 mg/kg) significantly reduced MCAO/reperfusion-induced infarction and edema formation, neurological deficits, and brain cell death. Depletion of glutathione level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MCAO/reperfusion were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DPOG. The increase of phosphorylated MAPKs, inflammatory factors, and proapoptotic proteins and the decrease of antiapoptotic protein in ischemic brai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eatment with DPOG. DPOG (0.1-10 uM) inhibited 1 mM NMDA-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evidence that DPOG derived from rice bran oil might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211.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뇌기반 교사교육이 교사의 행복감, 효능감,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교사 36명(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9명)이다. 뇌기반 교사교육은 2015년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 동안 11회기 진행되었고 뇌기반 학습원리 나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강의와 액션러닝방법을 활용하여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 수통계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행복감은 뇌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집단 효능감에서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실험집단의 심리적 소진 총점은 통제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1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SS-TSE 기법의 신호대잡음비 감소를 수치 적으로 정량화하여,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한 SS-TSE 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 15년 7월부터 10월까지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를 검사한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SS-EPI 기법 과 SS-TSE 기법을 적용하여 기법별 숨뇌의 신호대잡음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b=0 영상의 신호대잡음 비는 새로운 SS-TSE 기법(314.41±42.96) 적용 시 SS-EPI 기법(514.84±48.97) 보다 38.9% 감소하였으며, b=1,0 00 영상의 경우도 SS-TSE 기법(117.33±14.04) 적용 시 SS-EPI 기법(208.65±25.70) 보다 43.8%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세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뇌줄기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해 SS-TSE 기법을 적용할 경우 신호대잡음비가 저하됨으로 기존의 SS-EPI 기법이나 MS-EPI 기법을 병행하여 검사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213.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eview delivering rationale and reason for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against aging through exercise and motor learning and to present a new awareness and perspectives that can lead to a healthy and successful aging. Methods: Web search engines of PUBMED, Web of Knowledge, ERIC, Science Direct were used for mining articles which were related to key words with the combinatiom of ‘aging’, ‘physical activity’, ‘exercise’, ‘neural plasticity’ and ‘cognition’. Results: Aging decreases the capacity of memory, atten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motor control & motor learning ability, increase the variability in the behavior level and is a closely rel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 Reduction and damage of functions to be displayed in physical and mental areas are threaten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Especially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is closely related to the neural plasticity,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throughout lifetime. Physical activity & exercise regularly is essential element for successful aging and brings about preven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mprovement of vascular function, reduction of obesity, reduction of inflammatory factors, causing an increase of brain health and functionality. Conclusion: An important features of successful aging demonstrate low prevalence, low degree of disability, and high cognitive and physical ability with active lifestyle. Future to develop the arbitration scheme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the decline in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21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CSI 치료시 Standard Technique과 Simple Technique을 비교하여 조사야 접합부의 고선량(ho t spot) 또는 저선량(cold spot)이 발생되는 부위의 체적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방사선 치료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CT Simulator를 이용하여 환자의 두개부에서 골반부 까 지 영상을 획득하였다. Standard Technique 의 경우 조사야 접합부의 이동을 실시하며 Simple Technique은 접합부에서 조사야를 고정하여 치료계획을 수립 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tandard Technique의 경우에는 조사야 접합부분에 대한 고선량(hot spot)의 영역이 발생 되었으며, Simple Technique은 Standard 기법 보다 선량이 균등하게 나타났다. Standard Technique 과 Simple Technique의 CI 지수는 각 1.6∼3, 1.6∼1.87, CN의 경우는 0.32∼0.53, 0.46∼0.51, HI는 0.11∼0.33, 0.2∼0.26의 분포를 나타났다. 즉, 인접 조사야가 접합하는 조사야 부분의 선량 분포는 Standard Technique에 비해 균등하게 나타났으며, CI, CN, HI 지수를 비교한 결 과 Simple Technique에서 균등한 선량 분포가 나타나 CSI 치료에서 Simple Technique의 적용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15.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0 T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상인과 인터넷 중독자의 뇌 량과 내섬유막 구조의 변화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10명의 인터넷 중독자와 정상인 12명 을 대상으로 검사를 하였고,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뇌량의 5부위와 내섬유막의 2부위를 View Forum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두 그룹에 대한 신경섬유의 손상 정도를 FA, ADC(10-3 mm 2/s), Length(mm)값으로 측정하 였다.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은 Independent t-test와 pearson 상관관계로 하였다(p<0.05). 정상인과 인터넷 중 독자에 관하여 신경섬유 손상정도는 7부위에 대하여 FA, ADC(10-3 mm2/s), Length(mm)값에 대하여 의미 있 는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두 그룹에서 IAD scale 과 뇌량의 FA값은 음의 적으로 강하게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0). 결론적으로, 확산텐서영상은 FA, ADC(10-3 mm2/s), Length(mm)값에 대하여 유의성 있는 차 이를 보여고, 이 결과는 뇌 백질에 대한 손상정도에 관하여 정량적으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216.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뇌가소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 다. 뇌가소성은 교육신경학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주제 중 하나로 뇌의 기능이나 구조가 환경이나 경험에 의해 변화하는 특성을 말한다. 본 연구는 교육신경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써 뇌가소성에 대한 이해 그 자체가 학생과 교육자에게 긍정적일 수 있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신경생물학 및 인지과학, 뇌과학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뇌가소성을 이해 하고 뇌가소성과 관련한 최신 연구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의 학습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고 뇌가소성에 대한 이해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뇌과학과 교육학 간 새로운 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교육자들은 뇌과학 지식을 명확히 이해하고 과장된 해석이나 왜곡 없이 신중한 학문 간 융합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217.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은 뇌출혈환자의 CT영상을 이용하여 정상영상과 질환영상으로 구분하여, 고유영상 및 실험영상을 생성하고 제안된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에 적용하여 6개의 파라메타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뇌출혈 CT영상의 인식률을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로 뇌출혈 CT영상 40증례 중에서 각각의 질감 특징값에 대한 인식률은 평균밝기의 경우 100%, 평균대조도의 경우 100%, 평탄도의 경우 100%, 왜곡도의 경우 100%로 높게 나타났고, 균일도의 경우 95%, 엔트로피의 경우 87.5%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영상의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으로 발전된 프로그램을 구현한다면 뇌출혈 CT영상의 질환부위 자동검출 및 정량적 진단이 가능해 컴퓨터보조진단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종판독에서 정확성과 판독시간 단축에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21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지금의 우리는 무엇보다도 사회적 요구에 따른 창의적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이 절실하게 되었다. 수많은 미디어 정보와 네트워크 환경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여 재 창조할 수 있는 능력, 즉 창의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창의력은 개인의 능력이며 나아가 글로벌 시대에 맞는 국가의 경쟁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분야 학자와 학부모들은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 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아이들의 적성과 개인의 특성을 개발하기 위해 실증적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위한 교육의 장을 만드는 것과 교육현장에서 아동들의 직접적인 교육을 책임지는 교사들 역시 과학적·합리적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창의성 발현의 근본이 되는 ‘뇌’의 활동을 탐구하므로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적 방향을 검토하여 미술교육에 있어 과학 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창의성 교육의 한 측면으로써 전뇌 활용을 돕는 미술수업 사례를 통해 창의적 미술교육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219.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cute ischemic stroke from cerebral artery occlusion, reperfusion is necessary to save the ischemic penumbra. Therefore, early and complete recanalization of an occluded artery is the main therapeutic goal of acute ischemic stroke. Among the many advances in manage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thrombolysis with intravenous (IV)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within 4.5 hours after symptom onset has been the only approved pharmacological therapy. However, IV t-PA has many limitations in clinical practice, low eligible patients and low recanalization rates, particularly in cases of larger proximal artery occlusion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mplications, including sympto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approximately 6%). In contrast, higher recanalization rates and an extended therapeutic time window have been reported for intra-arterial (IA) thrombolysis. According to studies until 2013, no studies proving the advantages of IA thrombolysis have been reported. However it was reported that studies in 2015 showed its possibi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st a light on failures of previous studies, and try to assess the differences with studies in 2015. In addition, crucial points for successful IA thrombolysis will be discussed.
        220.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ntitative analysis of MR spectrum depending on mole concentration of the contrast media in cereberal metabolite phantom was performed. PRESS pulse sequence was used to obtain MR spectrum at 3.0T MRI system (Archieva, Philips Healthcare, Best, Netherland), and the phantom contains brain metabolites such as N-Acetyl Asparatate (NAA), Choline (Cho), Creatine (Cr) and Lactate (Lac).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MRS PRESS pulse sequenc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contrast media (0, 0.1 and 0.3 mmol/ℓ) was evaluated for various repetition time (TR; 1500, 1700 and 2000 ms). In control (cotrast-media-free) group, NAA and Cho signals were the highest at TR 2000 ms than at 1700 and 1500 ms. Cr had the highest peak signal at TR 1500 ms. When concentration of contrast media was 0.1 mmol/ℓ, the metabolites were increased NAA 73%, Cho 249%, Cr 37% at TR 1700 ms compared with other TR, and also signal increased at 0.3 mmol/ℓ, In 0.5 mmol/ℓ of contrast agent, cerebral metabolite peaks reduced, especially when TR 1500 ms and 2000 ms they decreased below those of control group. The ratio of metabolite peaks such as NAA/Cr and Cho/Cr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ast agent increased from 0.1 to 0.5 mmol/ℓ. Authors found that the optimization of PRESS sequence for 0.3T MRS was as follows: low density of contrast agent (0.1 mmol/ℓ and 0.3 mmol/ℓ) made the highest signal intensity, while high density of contrast agent reveals the least reduction of signal intensity at 1700 ms. In conclusion, authors believe that it is helpful to reduce TR for acquiring maximum signal intensity.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