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8

        20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교수불안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해 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제시 및 다문화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과 부산, 울산에 소재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교육 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신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교수불안에 대한 일반적 경향과 각 변인간의 상관, 관련변인이 다문화교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 교수를 실시할 때나 실시하기 전에도 불안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수불안에 대한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양성기관에서 다문화교육에 관한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을 통해 다문화 교수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02.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는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487명을 대상으 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관계는 다문화수용성과 하위 3개 차 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수용성과 그 하위 3개 차 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에서 p=.000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 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긍정적인 또래관계가 다문화수용성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3.
        2019.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ting-out types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rtificial seasoning when consumers eat out at restaurants. Eating-out types considered to be typical when customers visit restaurants, such as the food-exploratory type, healthoriented type, and convenience-seeking type, were studied. Based on the research of previous studies, three eating-out typ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which were “food-exploratory”, “convenience-seeking”, “health-orient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MOS 22.0 with 300 questionnair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for examining the hypotheses as statistical method in this study. As a result, eating-out types such as “food-exploratory” and “convenience-seeking”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rtificial seasoning. However,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 of artificial seasoning differed depending on their consumption value. The path coefficients from food-exploratory type and health-oriented type to acceptance intention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hedonic-oriented group than the utilitarian-oriente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eating-out types relate to acceptance intention of artificial seasoning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nsumers’ psychological consumption value when they consider artificial seasoning.
        20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chatbots’ innovation attribute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for consumers who have used chatbo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at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transactions in mobile shopp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aged 20 to 49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when purchasing fashion-related products via mobile circumstances. After a pilot survey of 31 customers, pre-questionnaire was revised for the final test,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500 subjects. Out of these, 244 were retrieved. After excluding 48 inappropriate responses, 196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 First, four factors of chatbots’ attributes were extracte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complexity, sensibility, and diversity. Second, two factors were extracted for fashion leadership: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Two groups based on the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active innovation adopters and passive innovation adopters. Thir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divers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in order.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in groups by marital status and age.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 perceived sensibility as a more important attribute of chatbots than the unmarried in their twenties.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divers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Innovation among th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ctive innovation adopt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and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s chatbots’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items need to be modifi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leadership. Particularly, fashion leadershi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attribute as well as innovation acceptance.
        20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Blockchain technolog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credibility, security, integrity and decentralization, has brought innovation to internet platforms that mediate peer to peer transactions, as well as changes to the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s.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platforms can solve problems which have been articulated on prior internet social networks: increased market dominance of platform business because of centralization with no reward to creators who upload on platforms, and lack of fairness, such as unfair profit distribution between the copyright holder and businesses. With this background, the current research confirm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sage and behaviors, targeting potential users of blockchain-based copyright distribution platfor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Centered around the UTAUT2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with 'Perceived Security' added as Construct, and 'Age' and 'Knowledge Level' added as moderating variables. For data, 607 responses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and 601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 analyzed the research model and sample by using SPSS 23.0 and AMOS 23.0 on the collected responses. Results – First, results of research on whether Constructs make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of use is: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abit, and perceived sec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intention of use, an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hedonic motivation, and economic value did not. Second, results of the research on whether facilitating condition, habit, and intention of use made an impact on using behaviors, it was shown that only habit and intention of use made positive effects. Third, in two groups divided by age above or under 40, group effort expectancy, intention of use, habit, and intention of use had controlling effects, and facilitating condition, intention of use, perceived security, and intention of use had effects in both groups. Conclusions – The research shows that no matter how great a blockchain-based platform is, if advantages of blockchain are not proved in various industries and utilized in real life like the internet, blockchain-based distribution systems will develop slowly. Rather than a short-term inducement emphasizing technology,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approach that can foster the environment.
        20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수용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하여 인지된 조직지원, 스마트 교육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 그리고 스마트 교육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417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조직 지원은 스마트 교육의 용이성 보다는 유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교육에 대해 유용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 영유아 교사일수록 스마트 교육 운영에 대해 적극적인 의도를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유용성에 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207.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current paper is to identify features of advertisements at social media that generate the ad-click and to further identify if these advertisements lead to purchase. If no purchase is made, then reasons for not making purchase are identified. Users' purchase experience after users clicked at advertisements are also studi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Research design followed is exploratory research, where various factors leading to ad-clicks and generating purchase at social media platform were explored. Raw data was gathered by means of survey among a sample of 185 respondents in India using online structured questionnaire. GLM model and multinomial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Several factors including endorsement by friends, advertisement aesthetics, product reviews, and aggressive pricing played major role in generating ad-clicks. Major impediment to purchase on were product misrepresentation in advertisement, false discounts, and site security. Female users clicked more on social media advertisements and made more purchase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 Conclusions - Social media advertisement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ying behavior of online customers. Transactions culminating from social media ad-click generated significant positive experience for social media users. Thus, social media can be effective marketing tool.
        20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 수용성 연구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등재학술지(KCI)에 게재된 다문화 수용성 논문 121편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수용성 관련변인(연구주제)과 연구방법적 측면(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측정도구)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 연구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문화 수용성 연구에서 관심주제는 개인적 특성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전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설계에서는 횡단연구와 양적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서는 타인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향후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기별 다문화 수용성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면,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다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 다문화 수용성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연구에서 특정 연구주제나 연구방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다문화 수용성 연구에서 연구주제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209.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근거하여, 혁신의 특성인 상대적 이익,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 복잡성 등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관련하여 개인 혁신성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경기권 및 강원도 지역의 5개 대학을 선정하고 2017년도 2학기에 이 대학들의 교수학습지원(개발)센터에서 주관한 스마트 기기 활용 교수법 특강에 참여한 교수.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Rogers의 5개 특성 과 수용의도, 개인 혁신성 측정을 위한 척도를 구성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 수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5개 변인이 혁신의 수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인 혁신성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이익과 적합 성, 복잡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찰가능성과 시험가능성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가설에서 기각된 관찰가능성과 시험 가능성을 제외하고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 이익과 복잡성에서만 개인 혁 신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re are common factors both in 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 and Technology Paradox Theory which can be put together and made in one unified model. The unified model can provide the following merits. First, the unified model is simple but contains factors of the models. Second, the unified model can clarify the process of technology acceptance of common consumers. Third, the unified model can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analyze the negative sides of new technology, thus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acceptance by general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45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people around Seoul and 421 were collected. Except insincere and wrong-marked ones, 402 were used to analyz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 By analyzing sub-factors of both models and binding the common factors in one category, we accomplish one model. And we tested the model by empirical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ults from the unified model are almost same as the results from the two models. In other words, the unified model works. Conclusions – Explaining one state of affair by two different method is in some sense distracting attention. By devising a new model including factors of both models, we can explain the affair more straightforward and efficiently. At firs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devised to explain the technology users in an organization and the following tests and revised models were for the similar purposes. However, as on-lone activities including contracts have been expanded and become important, consumers as the technology uses have emerged as first factor to consider. In accordance models to explain this situation has been suggested. The model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one of the models but it has the following merits. That is, it is simple but has strong explanation power, it can clarify the process of technology acceptance of common consumers by containing negative sides of consumer conception, and thus,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analyze the negative sides of new technology, als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acceptance by general consumers.
        21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4~6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가정 아동 343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내적합치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학생 집단은 남학생 집단보다 다문화 수용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6학년 집단은 4학년 집단보다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의 수준이 높았으며,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에서는 5학년 집단이 4학년 집단보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 집단은 남학생 집단보다 사회적 능력(책임감과 개방성)의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접촉경험이 있는 아동은 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수용성 4개 하위요인들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적 관계형성능력은 사교성과 책임감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에서 필수적인 사교성과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12.
        201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examines critical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accepting online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Unlike recent research under this topic, the paper assimilates some components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consumer behavior theories. The paper employ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from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s three major constructs: consumer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the perceived value of 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and the perceived value of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ccepting online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ccess of online health communication via social networking sites largely depends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21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수 의 관계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 소년패널데이터(KCYPS) 중에서 중 1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인 총 2,259명의 중학교 3학년을 최종분석에 포함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적 합도검증, 경로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다문화 수용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 중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 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 지역사회 등을 고려한 통합적 체육활동 교육 개발과 정책적 지원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21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교사들의 게임 인식 유형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및 전문 상담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네 가지 게임 인식 유형은 성별, 연령, 게임 경험 유무, 게임에 대한 태도, 게임에 대한 대응, 게임이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에 따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를 비 교한 결과 ‘관리/감독의 필요성’, ‘적극 활용의사’, ‘관심과 확인’, ‘부적응 대체활동으로 인정’ 에서 유형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수용 효능감’에서는 모든 유형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논의하였다.
        21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존 던에 대한 엘리엇의 수용변화를 살펴보고 존 던과 엘리엇의 후기 시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엘리엇은 긍정적으로 던을 평 가했던 초기와 달리 후기에 와서 던의 작품에서 “감수성의 분열”을 발 견했다고 하면서 그를 비판하였다. 엘리엇은 존 던의 작품에서 “감수성 의 분열”이 나타나게 된 것은 이냐시오 성인의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하 였다. 엘리엇이 이냐시오 성인의 영향을 발견한 것은 존 던의 후기 작 품인 종교시들이라고 생각된다. 존 던의 종교시는 이냐시오 성인의 영 신수련의 묵상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그 주제도 죄에 대한 묵상인 데, 그것은 영신수련의 첫 번째 주간의 주제와 동일한 것이다. 엘리엇의 대표적 종교시인 네 사중주는 시간과 영원의 교차에 대한 명상을 다 루었다. 엘리엇은 번트 노튼 의 장미원, 리틀 기딩 의 “한겨울 봄”에 서 시간과 영원이 교차되는 순간을 빛, 물, 꽃등의 이미지 혹은 상징 체 계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번트 노튼 2부에서는 “정지점”에 대 한 명상을 통해서 장미원에서 경험했던 신비의 순간을 정의하고자 하였 다.
        21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ICT관련 연구직 직장인에게 수용행동 향상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 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목적으로 수용전념치료 기반 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 는 경기도 김포시에 ICT업계 종사자들로써 ㅇㅇ기업 기술 연구소 에 근무중인 현직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무작위로 구분하여 15명씩 총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12 회기를 실시하였다. ACT 기반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ACT이론 삼각 모형의 6단계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원예활동은 현재 나의 관찰을 도와주는 플라워 박스, 감각 속에 나의 시간 느끼는 꽃병 꽃꽂이, 인지적 융합 이해를 위한 장미 곱슬 버들 리스, 수용을 촉진하는 포프리 상자, 나의 가치를 표현하는 핸드 타이드 꽃다발, 자신의 현재 감성을 표현한 잔 디 인형 만들기를 하였다. 매회기 원예 활동 후에는 토론을 통하여 ACT 이론을 자연스럽게 복습하도록 하였 다. 평가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측정 도구(PWBS)와 수용행동 측정도구 (AAQ) 그리고 한국인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 세가지를 사용 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2.0 을 이용하여 실시 전 대조군과 실험군의 동질성과 실시후의 효과성은 독립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그룹내의 사전 사후 변화 비 교는 대응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예치료 실시 후 투자수익률(ROI)기법 을 이용하여 원예치료 프로 그램의 경제적 효과성을 알아 보았다. 프로그램실시 후 AAQ 검사의 하위요인인, 기꺼이 경험 하기, 행동 2개 모두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PWBS 검사 결과에 따르면 하위요인 6개 중에서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반면 개인 적 성장 자아수용 2개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KOSS검사에서는 8개의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관계 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물리환경,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스트레스 상 황을 단순하게 인내하거나 부정적인 상황을 회피하고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원 그 자체를 그대로 경험하고 수용할 것을 강조하 는 수용전념 치료의 맥락을 원예활동으로 전환하여 체험과 토론을 통하여 AAQ와 PWBS의 향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투자수익율 (ROI) 분석을 통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경제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투자대비 109%라는 수익률이 산출되어 경제적으로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CT 기반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은 연구직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짧은 시간 내에 즐거움과 동시에 치료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이라고 판단된다.
        217.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장면에서 학생들의 디지털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 중, 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전문 상담사, 총 25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디지털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는 5개의 하위요인인 관리/감독의 필요성, 적 극 활용의사, 관심과 확인, 부적응 대체활동으로 인정, 수용 효능감으로 구성되어있었다. 다변량다중회 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요인 중 공동체성과 탈규 범성, 학생들의 디지털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 태도와 디지털 게임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 평가가 교사의 수용도 5개 하위요인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적 잠재력이 강조되고 있는 디지털 게임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 인하고, 교사의 수용도를 촉진하는데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21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 유기적으로 통합된 새로운 유통 패러다임으로 옴니채널쇼핑(omni-channel shopping)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새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서비스를 이용하고(EC연구회 외, 2015), 이러한 서비스의 이용은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혁신적인 제품・기술을 바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정도 저항을 거친 후에 수용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음료판매 옴니채널쇼핑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혁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잠재 이용자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 혁신저항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 소비자 혁신성, 복잡성, 복귀성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옴니채널쇼핑의 후속연구와 관련 종사자들을 위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19.
        2016.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explores determinants of corporate adoption of social media and the role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e path. This paper assimilates some component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dimension and social expectation theories to determine corporate intentions to use social media. Six hundred and forty-eight samples collected from hotel staff in Korea a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echnique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 that corporate needs, social expectations, ease of use and usefulness should be viewed as important antecedents explaining the firm’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ave positive directional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 diagram.
        22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process for making yacon leaf tea. We applied both green tea and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for producing yacon leaf tea. This research included consumer test and descriptive analysis of professional trained panel on yacon tea tastes and flavors. Both consumer test and descriptive evaluation preferred yacon tea produced by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because it tasted less bitter and had a sweet, delicate taste. According to orthogonal transformation resulting from varimax rotation,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positively affected by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while it was negatively affected by green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d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were appropriate for producing yacon leaf tea.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