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4

        20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도입된 오차드그래스 27 품종과 국내 합성 품종인 Hapsung 2호의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 형성된 캘러스의 크기, 캘러스로부터의 재분화율 및 재분화 효율을 4주령 및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4주령의 캘러스에 대한 종자로부터 캘러스의 형성율은 치상 종자의 50% 이상이 캘러스를 형성한 형성율 상위 품종들은 93M > Sparta > Pizza> Condor > Lidaglo > Glorus >Hapsun
        4,000원
        205.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관령지역에서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여 생산성이 높은 품종을 농가가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수원 19호를 대비품종으로 하고 현재 많이 재배되는 8개 장려품종을 공시하여 1999년도에 난괴법 3반복으로 대관령지소(해발 800m) 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 중 간장은 DK501, GL499 품종이 각각 180, 198cm로 가장 적었고 그 외 품종은 230cm 내외로 품종
        4,000원
        20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ection of oat variety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is an important to increase productivity of forage crop.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s and dry matter productivity of oats according to cultivation period, early-maturing oat(EM0) and medium-
        4,000원
        20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between heading and headless varieties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in 1998. Treatments were var. TE hay grazer(heading type) and Jumbo(headle
        4,000원
        21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베기용 콩의 개량을 목적으로 진품 I, II호, 검정 I, II호, 황금, 석량붓콩, 장엽, 검정올콩, 보광, 만리 등 10개의 대두 품종을 재배하여 품종별 특성과 생산수량을 호숙기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10개 품종 중 초고가 큰 품정은 검정 I(118cm), 검정 II호(114cm)와 진품 I호(114cm)와 진품 I호(114cm)이었다. 또한 생초수량은 진품 I, II호, 검정콩 II호가 각각 ha당 23,841kg, 23,499kg, 22,815kg, 건물수량은 각각 ha당 5,531kg, 5,173kg, 5,236k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많았다. 호숙기의 대두 식물체의 잎과 줄기의 구성비율은 검정올콩과 보광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에서 잎이 많았으며 엽경비율이 가장 큰 품종은 만리(2.1), 진품 I호(1.9), 황금(1.9)였다. 대두 식물체의 건물율은 호숙기에서 조생종인 석량붓콩과 검정올콩을 제외하면 22~23.4% 사이에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키가 크고, 수량이 많으며, 잎이 풋베기용으로 적합한 품종은 진품 I, 검정 II이었다.
        4,000원
        21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 farm situated in Malkara District of Tekirdag Province (Turkey) in 1994-95, and the effect of genotyp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some characters and variations of these characters in terms of silage yield in 8 dent corn varietie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leaf weight, stem diameter, and silage yield had a low broad sense heritability while the number of leaves per plant had a high heritability. Yield performance of varieties varied to a significant degree because of variations in rainfall rate during the growing periods. Leaf number, silage yield, leaf weight, stem diameter, plant height and ear weight varied between 13.33-17.33 number, 8,443-11,114 ton/hec, 152.8-244.2 g, 2,615-2,965 cm, 216.5-252.5 g and 176.2-285.8 g, respectively.
        4,000원
        21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초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목개시시 초장(주구 3처리 ; 15, 30, 45cm)과 여름철 혼파된 화본 과목초에 경합력이 낮은 화이트클로바 품종(세구 4처리; Regal, Tahora, Brown, STVR)을 선발하기 위해 제주농업시험장의 사료작물시험포장에서 1994년 9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2년간 시험이 수행되었다. 혼파목초의 건물수량은 전체적으로 평균 예취시 초장 30cm 이상에서 유의적 증수를 보였으나(P<0.05) 2년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2년째 수확시에만 목초의 건물수량이 Brown 품종구에서 타 품종 보다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1). 2년차에 예취시 초장에 따른 식생구성율에 분명한 차이를 발견치 못하였다. 다만 white clover 품종 처리별로 비교할 때 white clover의 비율은 Regal와 Tahora구에서 보다 Brown과 SRVR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년차 마지막 예취시에 잡초비율도 주구나 세구간 효과를 발견치 못하였다. 목초의 ADF와 NDF 함량은 예취 초장 15cm에서 가장 낮았고 인 함량은 1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혼파목초의 K 함량은 30cm 초장에서 가장 낮았으며 (P<0.05) 질소 함량은 예취시 초장과 품종간에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P<0.01). White clover의 품종이 목초의 일반성분 함량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방목형일 때 15cm 초장에서 화이트 클로바 SRVR을 이용하는 것이 사료가치도 유지하며 두과와 화본과목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21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배콩과 돌콩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밝히고, 콩을 사료작물로 개량하는데 필요한 유전정보를 얻기 위하여, RAPD 분석방법을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증폭된 polymorphicband의 총 수는 74개였으며, 이중 다형현상을 보인 것은 50개로 67.6%, 증폭된 band의 크기는 0.13~2.0 Kb 범위에 있었다. 2. Random primer의 sequence 5'-CAG GCC CTT C-3'를 사용하였을 때, 0.56-2.0 Kb에서 콩의 종피 색깔에 따른 변이 (누런색과 검은색)가 나타났다. 그리고 Sequence 5'-TGC TCT GCC C-3'과 5'-GTC CAC ACG G-3'인 primer를 사용하였을 때, 각각 0.63~0.94, 0.94~2.0 Kb에서 검정콩 2호에 특정적인 genetic marker가 검출되었다. 3. Genetic similarity 값에 의한 품종간 유전적 변이성은 검정콩 2호 (0.81)가 가장 낮았고 검정콩 1호 (0.46)에서 가장 높았다. 4. 콩의 품종과 돌콩의 유연관계는 황금콩과 석량붓콩이 0.52로 가장 가까웠고 검정올콩 (0.47), 검정콩 l호 (0.46), 검정콩 2호 (0.42), 돌콩 (0.38)의 순서로 멀었다.
        4,000원
        215.
        199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21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저항성품종을 선발하고자 175개 고추품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래종 15품종(IT 102794, 104806, 105516 등)과 도입종 2품종이 저항성이었고 재배품종 중에서는 홍탑고추, 강산고추, 홍실고추와 부강고추가 중도저항성이었다. 저항성반응을 보인 품종에서는 감수성인것에 비하여 선충의 침입수도 적었고 발육도 부진하였다. 또 에스테라제와 퍼옥시다제의 활력에서 저항성 고추품종의 뿌리는 감수성인 것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4,000원
        21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im to find out a tall fescue cultivar which is palatable and resistant to hot climate, and a white clover cultivar which is less competitive with other grasses. Pastures with 3 treatments (TI: Fawn, tall fescue + Regal, wh
        4,000원
        21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