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4

        20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의 외식산업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로 2005년의 레스토랑 매출은 U.S. GDP의 4%인 4,7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약 4.9%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약900,000 레스토랑에서 식사와 간식을 제공하며 또한 레스토랑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의 숫자도 약 1억 2천만 명에 이르러서 민간부문에서 가장 큰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내 외식 산업의 환경은 사회변화와 함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베이비 붐 세대가 장년기에 들어서면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비만과 성인병의 증가로 인해 레스토랑 메뉴의 영양표시에 대한 요구도가 커지고 있다. 또한 외식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가 관심의 초점이 되면서 레스토랑에서 건강 메뉴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건강지향 고객의 증가로 인해 보다 건강한 외식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레스토랑의 노력이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외식산업 시장에서 민족음식(ethnic food)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고객의 보다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내 외식 시장에서 한식의 위치는 한식의 영양적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지도와 전략적 마케팅의 부재로 인해 아직 미약한 실정으로 보인다. 미국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미국의 현재 외식 산업의 추이를 파악하고 그 안에서 한식의 위치를 재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외식 산업의 현재 추이와 영양과 건강문제가 외식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 한식의 대미 진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4,000원
        20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contemporary Northern Irish, Anne Devlin questions the traumatic experience and memory in personal and national histories of Northern Ireland. The Troubles-ridden landscape of Northern Ireland turns into a dramatic site in which Anne Devlin’s heroines negotiate their quests for voice and visibility. In her first play, Ourselves Alone (1985), Devlin foregrounds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are excluded from the public and secluded within their domestic realm. Three young women, Frieda, Josie and Donna, struggle against the isolation and the violence that permeate their daily lives. What is common to these three women is that their lives are constructed, controlled, and represented by the men around them. Their personal identities are constantly wiped out by the communal identities. Whether they are career women, political activists, or housewives, there is always a boundary that limits their sphere of action. Furthermore, the idea of home becomes a metaphor for their nation. Far from being a domestic haven, their homes are constantly disrupted by external violence in war-torn Belfast and their homes turn into an experimental site where men’s national ideology is tried and approved. Here, the male patriarch or father figure comes armed with a specific political and national stance and the home becomes a microcosm of the nation. Women are expected to live up to a national ideal in which their primary function is to reproduce the members of the collectives while their home is under constant patriarchal surveillance. This essay focuses on questions of home, gender and nation and asks how the seemingly most private sphere of home has come to be intersected with the public sphere of the nation and, also, how women’s roles are imagined and perpetuated within the frame of national ideology.
        5,500원
        20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김해지역 노인들의 가정내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김해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가정내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에 대한 설문내용은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2002)와 일상생활활동평가도구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개별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김해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중 어려운 활동은 청소하기, 건강관리, 식사준비하기, 목욕하기 및 샤워하기, 기능적 이동과 세탁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활동은 건강관리, 식사하기, 개인위생, 대소변 조절, 목욕하기 및 샤워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려운 활동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식사준비하기, 대소변 조절 그리고 청소하기였으며,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개인위생이었다. 중요한 활동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식사준비하기였으며,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활동은 개인위생과 세탁하기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김해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어려운 활동과 중요 활동을 알 수 있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활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적용하거나 노인을 위한 생활기기 개발시 노인의 관점에서 남․여 또는 연령에 따라 어려운 활동과 중요한 활동을 고려하여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4,600원
        20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작업치료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내어 가정작업치료 모델개발과 보건복비 분야 정책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2004년 7월 현재 뇌졸중의 진단으로 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74명이며, 작업치료를 받고 퇴원 후 외래로 내원하는 94명으로 총 168명이었다.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정작업치료 요구도에 대한 37문항이며,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은 MBI(Modified Barthel Index) 도구로, 인지기능은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로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자 168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환자는 147명이었다. 입원환자 74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69명(93.2%), 외래환자는 94명 중 가정작업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78명(84.8%)이었다. 일상생활동작(MBI) 평균점수는 63점이었고, 인지기능(MMSE)은 평균 24점이었다. 언어장애(p= 0.0127), 인지장애(p=0.0001), 시각장애(p=0.0001), 배변문제(p=0.0010), 배뇨문제(p=0.0278), 연하곤란(p=0.0001)이 있는 경우에, 장애 등급(p=0.0001)이 높을수록 가정작업치료의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작업치료를 절실하게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고령사회의 진입으로 인한 노인환자와 뇌졸중 환자들을 위해 가정에서 작업치료를 수행해 준다면, 재활치료의 지속성과 병원으로 내원하는 불편함을 덜어 환자들에게는 건강한 양질의 삶과 가족들에게는 부담감을 덜어주어 행복감을 줄 것이다.
        4,500원
        20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의 유비쿼터스 환경의 홈 네트워크 제품 사용자는 단일 사용자가 아닌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행태를 취하고 있다. 변화하는 사용환경과 시스템들은 현재와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제품 인터페이스 체계의 연구활동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홈 네트워크 제품의 보급화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를 쉽게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중 음성인식기술을 비롯한 표정은 안면표정인식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션감지 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제스처 콘트롤 체계는 아직까지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나, 제품 제어에 있어서 향후 근미래에는 자연스러운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사용언어체계 개발 방법 및 결과 그리고 사용자 맨탈모델와 메타포 실험을 통한 연구내용을 정리하였다. 기존 사용자의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사용언어를 분석하면서 디바이스 제어방식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동작 감지 카메라 및 센서를 활용한 새로운 디바이스 제어방식 개발과정의 연구를 통하여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언어 체계 개발 및 과정을 정립하였다.
        4,300원
        20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악산국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은 20.7km 떨어져 있으나 백두대간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 문에 야생동식물의 서식지와 이통통로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협소한 크기, 조각화, 지 리적 격리와 같은 경관적 특성에 의해 이 두 국립공원은 적절한 생태적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이용하여 두 국립공원과 인근 속초시, 고성군, 인제군, 양양군, 홍천군 일대 총 면적 4573.6 km2인 지역을 대상으로 조각화 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식동물이며 보호종으로 지정된 삵의 서식지조건에 부합하는 경관조각을 파악하고 삵의 이동이 가능한 경관조각들의 연결망과 연결지점을 설정하였다. 다양한 도로와 인위적 시설로 인해 조사지역은 총 24,701개의 경관조각으로 단절되어 있었다. 식생과 최소 서식지면적, 조각간 거리와 같은 서식지 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이 중 39개 경관조각이 삵의 잠재서식지로 선택되었다. 나아가 계방산과 방태산 일대의 3개 조각이 국립공원의 조각화와 고립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연결망의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또한 점봉산과 방태산 일대의 조각이 삵이 두 국립공원으로 분산할 수 있는, 공급지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거의 모든 국립공원이 조사된 두 국립공원과 유사한 경관적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생 생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국립 공원과 인근 지역에서의 조각화 현상과 경관조각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과제가 매우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4,300원
        209.
        200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1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H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가정용 비만치료기의 특징과 치료효과를 측정, 분석한 것이다. 이 가정용 비만치료기는 중주파 활용, 온열벨트 사용과 함께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성능평가를 위해 20대 여성 8명을 대상으로 1개월 간의 비만치료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심폐기능운동검사를 통하여 피실험자들의 비만치료 실험 전후의 가스교환 반응도(VCO2와 VCO2양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실험결과 체중(kg), 체지방율(%), 체지방량(kg), 비만도(%), 기초대사량(kcal) 등에서 비만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비만치료 전보다 산소(VCO2) 섭취량은 증가한 반면 이산화탄소(VCO2) 배출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체의 생리학적측면과 운동 역학적인 측면이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 개발된 비만치료기가 의학적으로 비만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4,000원
        214.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ferred typ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food away from home by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cohort groups, sex. and consumption patterns consisting of 6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412 respondents by questionnaire method in April through May 2002.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sex, age, family income, family type and size as well as the consumption patterns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determinants of food away from home expenditures. Four logit function (each for Korean, American, Japanese, and bunsik) results showed that each type of food away from home was likely to vary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i.e., cohort groups and sex)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i.e., convenience and simple, distinction and variety, tradition oriented, foreign design, health and quality oriented, sensible taste and moo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ood away from home types are discussed, and future implications for food and nutrition specialists as well as food industrial marketers are provided.
        4,000원
        21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home treatment stress in the CP (cerebral palsy) children's mothers. Dire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17 with April 4, 2003 with 97 mothers of CP children. The average level of stress from home treatment felt by mothers with CP children was . Stress-levels were especially high in mothers who were not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outcome (p<.05) and whose acceptance of disability was low (p<.01). Stress felt by mothers was low when their health status was high (p<.05). A physical burde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tress of the mothers during the home treatment (p<.01). Mothers with a child of Level 2 disability had lower levels of stress than those with a child of Level 4 or 5 disability (p<.01). The level of stress was higher in mothers who lagged in acquiring technical sufficiency (p<.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e factor affecting the stress felt by mothers with CP children was the degree of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p<.01).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stress levels of mothers with CP children through home treatment and secure social systems such as professional help and economic compensation, need to be developed. Activ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executed for these mothers since stress felt by mothers significantly affects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provided at home.
        4,600원
        218.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food preference and behavior on food away from home betwee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The sample was selected each 200 people who were waiting departure in duty free zon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survey was developed by researcher and it consist of four parts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 preference food material, preference cooking method and behavior on food away from home.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n preferred soup, pork and raw vegetable and dine out with their family. Japanese preferred soup, beef, salad and dine out by themselves. Chinese preferred meat, fish, sauteed vegetable, and dine out with their family. When they were dine-out, Korean frequently ate Korean food, Fast food, Japanese food and Chinese, however Japanese frequently ate Japanese food, Chinese food and Italian food. Chinese frequently ate Chinese food and Fast food. Korean were sensitive of food price, but Japanese were sensitive of food taste and Chinese were sensitive of new experience and taste.
        4,000원
        21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et quality of the menus delivered by 17 free meal service centers for the low-income home-bound elderly in Chung- cheong buk-Do.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le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meals offered by free meal service centers were not met the 1/3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in calcium and vitamin B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pendent variables(nutrient content, nutrient density, nutrient deficiency, NAR, MAR,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independent variables (operation type, operation status, operation period, nutritionist, food cost).
        4,000원
        220.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in rural areas and to collect basic data about disabled persons necessary when for carrying out rehabilitation services.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six of a total of eight townships (Myon) and one town (Eup) in the Wonju city area. Wonju is in Kangwon Province (Do). Of a total of 338 names provided by the Myon offices, 298 persons were located and included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persons. Conditions included stroke, spinal cord injury, and cerebral palsy in addition to disabilities classified as first, second or third degree, in the case of registered cases. Respond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illingness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nd individual opinions regarding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habilitation services received by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the rural areas surrounding Wonju city were medical rehabilitation (41.7%), diagnosis (36.5%),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s (7.6%), social assistance (7.1%), rehabilitation counseling (3.0%), vocational rehabilitation (1.8%), educational rehabilitation (1.6%) and housekeeping services (0.5%). The majo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medical rehabilitation provided at hospital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2) Sixty point eight percent of respondent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ceiv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Needs expressed were highest for medical rehabilitation (27.0%),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19.4%), medical examination (12.4%), physician-generated diagnosis in the home setting (11.6%), soci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9.3%), vocational rehabilitation (7.6%), rehabilitation engineering (6.0%), educational rehabilitation (3.3%), and housekeeping services (3.3%). 3)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nalyzed by severity classification: 65.8% of first degree, 62.7% of second degree and 55.6% of third degree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62.7% of non-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responded that rehabilitation service was necessary. 4)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lso analyzed by diagnosis: 62.6% of stroke, 85.5% of amputation, 60.0% of spinal cord injury and 52.4% of traumatic brain injury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if it were to be provided. Rehabilitation service utilization data of disabled individuals living at home in rural area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rehabilitation needs analyzed. This critical information can be used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are planned for provision out of a public health center or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elfare policy is formulated.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