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18

        201.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Researchers have previously commenced examining the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many disease and impairment populations. Object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n the HRQOL using Korean version of KIDSCREEN-10 questionnaires for applying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for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Methods: The focus groups were recruited for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by implementing the following wellness services: 1) referring to a screening session for detecting potential posture-related musculoskeletal problems and 2) recommending home exercise programs. Before a primary field testing for the program, two focus groups were formed with a group of 9 parents and their 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8–10 years of age. The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 versions of KIDSCREEN-1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fter completion of the wellness program. Item level Rasch rating scale analysis was applied to compute logit scales of KIDSCREEN-10 questionnair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scatterplot of item difficulty between two reports were analyzed. Results: For fit statistics of parent proxy report, all items except 4 items (i.e., psychological well-being, mood/emotions, self-perception, parent relation) were found to be acceptable. For fit statistics of child self-report, all items except 3 items (i.e., psychological well-being, autonomy and home life) were accept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reports using ICCs were ranging from weak to very strong at p = 0.05 (i.e, ICCs = 0.011 to 0.905). Scatterplot analysis between two reports showed a major disparity on self-perception item at 95% confidence intervals. Conclusion: Both item level analyses and ICC comparisons provided a disparity between parent proxy and child self-reports of the HRQOL on self-perception item after competing a school-based wellness program. Therapist should consider the item as part of the HRQOL assessment.
        4,000원
        20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적용의 타당성 검토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코칭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9명씩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12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25일부터 동년 12월 3일까지 12주 동안 서울·경기지역 평생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40대-50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증을 위해 코칭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난 후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분석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등 3가지 하위영역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칭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에게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 절능력, 대인관계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정성의 경우 ‘생활만족도’를 제외한 ‘자아낙관성’과 ‘감사하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ACTIVE 코칭대 화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며,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8,000원
        20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북한의 핵무기와 화학무 기, 생물무기를 포함하는 대량살상무기 폐기를 위한 협력적 위협감소 (CTR) 프로그램의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폐 기를 위해서는 국제레짐, 다자안보협의체 등을 활용한 협력안보 차원에 서 접근해야 한다. 그 대표적인 방안이 미국의 협력적 위협감소(CTR) 프 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CTR 프로그램은 ‘넌-루가 프로그램’이라고도 하는데, CTR은 핵무기뿐만 아니라 화학무기, 생물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전반의 제거를 목표로 하는 포괄적 프로그램이다. 구소련 3국에 적용되 었던 CTR은 좋은 선례이기는 하지만, 북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 특수성은 북한이 처한 안보환경의 차이,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투자한 기회비용과 동인, 비대칭 군비통제에 따른 보상방안을 들 수 있다. CTR의 북한 적용을 위해서는 북한의 특수성을 감안한 북한의 안보환경 고려, 북한 대량살상무기 실태 파악, 경제적 보 상과 재원마련 대책, 북한식 CTR 모델 정립, 사찰 및 검증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5,500원
        20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 시설에 수감되어 있는 청소년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한 내면의 아이 프로그램 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12명의 교정시설 재소자 청소년들이 참여했다. 연구 자는 내면의 아이 개념에 근거하여 8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이를 실시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물고기 가족화와 자기 그림책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 면 물고기 가족화는 가족 관계의 역동을 성찰하게 하고 상처받은 내면의 아이를 발견 할 기회가 되었고 자기 그림책은 내면의 아이를 스스로 치유하겠다는 동기 부여의 계 기가 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내면의 아이 발견과 자기치유 능력, 변화에 대해 논의를 했다.
        6,700원
        20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을 위한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황금원모델, TREASURE Talk 코칭모델, STOP모델을 재구조화하여 ‘마음꽃’ 자녀존중 부모존경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집단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녀존중 부모존경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집단의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자녀가 있는 학부모 38명을 표집하여 각각 19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을 위해 9회기로 구성된 ‘마음꽃’ 프로그램과 교육·훈련체계가 개발되었으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녀존중 척도와 부모존경 척도가 구성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결과 실험집단에서 자녀존중과 부모존경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실험집단의 추수 연구 질적분석 에서도 부모 자녀의 긍정적인 관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21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시아 주요국으로 ‘Shine Muscat’ 포도를 수출하기 위하여 수출대상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MRL)에 적합하며 안정적이고 우수한 품질의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포도 병해 방제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북 경산과 상주 지역의 간이비가림시설에서 재배되는 ‘Shine Muscat’ 포장에서 수출 대상국에서 허용 된 약제 중에서 포도 재배에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를 선발하였고, 재배 기간 동안의 병해 발생을 방제하기 위하여 개화전부터 성숙기까지 10-11회 살포하였다. 2년에 걸쳐 약제를 살포하고 수확 전 병해 발생 여부를 조사하고 수확 후에는 과실의 품질 특성과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이 발생하였으며, 2019년 2번 처리구에서 전체적으로 82%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과실 품질 특성은 지역별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농약 잔류량은 0.00-0.20 mg/kg 수준으로 주요 수출국의 MRL 이하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출량이 증가하는 ‘Shine Muscat’ 포도 재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안전한 수출용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병해 방제력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의 포도 수출 농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1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숲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이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여성의 골격근량과 내장지방 량, 우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A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여성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2명으로 총 33명으로 구성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 램은 주1회 2시간씩 총8회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체성분분석기(Inbody 720, Biospace, Korea)를 이용하여 골격근량과 내장지방량을 측정하였고, 우울척도는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였다. 실험군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60.3±9.4였으며 대조군 나이는 평균63.6±5.8 이었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 대상자의 골격근 변화는 참여 전 2.52에서 참여 후 2.47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1.64에서 1.99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내장지방량의 변화는 실험군 대상자는 참여 전 34.27에서 참여 후 31.64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대조군은 35.02에서 33.18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우울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참여 전 5.10에서 참여 후 3.85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도시숲을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노인여성의 만성질환의 요인이 되는 골 격근량과 내장지방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고, 실험군의 우울감 역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 등 심리적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하나의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4,000원
        21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예방 및 치료를 위해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인지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과 지필형 워크북으로 구성되었다. 효과성 검증은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치매대상자 60명을 두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사전-사후설계의 적용을 통해 인지기능, 시지각 능력,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에 워크북 기반의 공통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주 1회 20회기 진행하였으며, 홈 프로그램으로 실험군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인지훈련, 대조군에는 워크북을 활용한 인지훈련을 매일 20 분씩 반복적으로 제공하였다. 결과 : 효과성 검증에서 실험군은 인지기능(기억력: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y; SVLT-E, 주 의집중력: Digit Span Test; DST, 언어능력: Short-form Korean version Boston Naming Test; S-K-BNT, 집행기능: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K-CWST), 시지각 능력(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MVPT-V), 일상생활수행능력(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IADL)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도 주의집중력을 제외한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집단 간 비교에서 실험군의 중재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으로 반복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 중재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21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 및 해양구조물과 같은 대형 유한요소모델의 진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유치 해석 및 가진 주파수에 따른 응답 계산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들은 과도한 전산 장비와 계산 시간이 요구되어 고성능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선형연립방정식에서 발생하는 역행렬 계산 및 고유치 해석 시에는 상당한 전산 해석 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신 고성능 라이브러리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식 선형연립방정식 계산 라이브러리인 PARDISO와 고성능 고유치 해석 라이 브러리인 ARPACK을 적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해석이 가능한 진동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해석 프로그램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여러 선박해양공학 수치 예제를 사용하였고,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와의 결과 비교 검토를 통해 개발된 진동해석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검증, 제시하였다.
        4,000원
        214.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1은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크리스천 유아교사를 위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5시간의 워크숍과 다자간 통화방식 및 52개의 받은말씀카드를 활용한 5일간의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이 개발·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은 ‘캐롤리더선생님’으로 명명되었다. 연구문제 2는 GOD 4N 리더십코칭모델을 활용하여 구성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153 coaching paper’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분석과 ‘받은말씀선생님코칭’의 내용을 Word Cloud 방법으로 해석한 질적분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크리스천 교사집단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유아교육기관과 교회학교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 되어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이론적 확장에 기여해야 하고, 실천적 입장에서 크리스천 리더십코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학습이 단계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7,000원
        21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SD(Think:생각, Saying:말, Doing:행동)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마음챙김 상태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자는 제주지역 성인 28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을 2019년 3월 20일부터 6월 5일까지 주 1회 5시간씩 총 12회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마음챙김 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에 의해 분석하였고, 사전ㆍ사후 간의 차이를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마음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 중 19개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 영역 중 주의집중을 제외한 4개의 하위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함께 이를 기초로 앞으로 교육대상자에 따른 보편화와 개별화를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5,700원
        216.
        202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moralit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MIEP)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EP among nursing students by quasi experimental design. Theoretical framework is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Rest's Four-Component Model: moral sensitivity, moral judge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Research design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Participants were 75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S colleg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38 students) or a control group (37 students). The two hour education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from March to June, 2013.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test, paired t-test, unpaired t-test, ANOVA, and MANCOVA with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on the 4 components affecting morality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3.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on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MIEP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rality improvement, and especially increasing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MIEP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morality.
        4,600원
        21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합을 앞둔 태권도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감소를 위한 NLP코칭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인식 정도, NLP코칭프로그램 적용 타당성 검토 및 선수들의 경쟁불안감소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적합한 NLP코칭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과 통제집 단에 각각 15명씩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적용된 NLP코칭프로그램은 자극 심기, 지각위상, 기성체험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12주간에 걸쳐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 사후 경쟁불안상태의 차이 정도를 평가했다.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표준화시킨 경쟁상태불안검사지(CSAI-2)이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결론은 실험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경쟁상 태불안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불안과 상태 자신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실험집단에 대한 신체적 불안과 인지적 불안도 NLP코칭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권도 선수들을 위한 NLP코칭프로그램은 경쟁상태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고, 태권도 선수들이 실제 운동 중에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기에 용이하게 개발되었다. ACTIVE코칭대화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NLP코칭을 적용한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6,400원
        21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linical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on clinical reasoning, confidence in handover reports,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 and simulation effectiveness in nursing students. Method: We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th-year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had taken a core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9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PBL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PBL program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 S-PBL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linical reasoning, confidence in handover reports, and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 More than 90% of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simul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was 2.54 on a 3-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The S-PBL program could be useful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seeking to become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PBL programs and apply them to the curriculum.
        4,500원
        21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a-Band, Narrow squats, Kinesiology taping helps in the reduction of loading on the knee joints. Despite the fact that the varus knee negatively affects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most of the studies have analyzed each independentl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lex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elastic band exercises and squat exercise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knees and balance in young adults with genu varum. Design: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complex exercise group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s using an elastic band. The taping group used kinesiology tape on the vastus lateralis and biceps femoris. To select those to be included in the study,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knees using digital Vernier calipers and to measure the balance ability, we used a balance training syste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stud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kne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ynamic balance between the groups. Also, the static balanc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included the trace length, C90 area, C90 angle and veloc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c balance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ap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and taping decrease the between both the knee and increase the balance.
        4,000원
        22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leg length, the center of gravity shifts unilaterally toward the short leg, causing loss of balance and secondary postural imbalance, trunk muscle tone changes, gait abnormalities and pelvic imbalance. Objective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 exercise program on leg length, balance in adults with leg-length discrepancy. Design: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eight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resistance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and core exercise. Each exercise was performed for 4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Leg length and bala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s, resistan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 but leg length differ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Flexibility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g length difference, but bal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Cor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g length difference and bal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ustomized exercise according to the patient's level is beneficial to the patient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