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1

        22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만 3∼5세 일반 유아 162명과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 204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번역판 감각프로파일의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라쉬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차원모형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라쉬분석에서 23개 항목이 부적합 항목으로 판정되었고, 항목의 난이도 분석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분석결과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감각프로파일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난이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항목과 3점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형 감각프로파일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2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BGA 교육프로그램이 좌우뇌균형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제 실험을 통하여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의 대상은 2010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원아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에게 BGA 검사와 뇌파측정을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BGA 교육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3회씩 6개월 동안 진행하였으며 1회교육시간은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BGA 교육 실시 후 좌우뇌 편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BGA 교육프로그램이 좌우뇌균형지수에 유의미한 변화를 미쳤다.
        5,700원
        22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Keller의 ARCS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유아 대상의 수학교육 CAI 프로그램 설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NCTM의 다섯 가지 영역 중 수와 연산 영역, 기하 영역, 자료 분석과 확률 영역에서 색, 수 세기, 도형, 방향을 포함한 수학 교육 CAI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학 교육 CAI 프로그램은 유아가 직접 카메라를 사용하여 RGB를 이용한 색 인식, 윤곽선 근사화와 허프변환을 이용한 도형 인식, 색 위치 기반의 방향 인식에 대한 미션을 수행하면서 학습하게 해 게임 몰입을 유도한다. 또한 동물형 캐릭터와 캐릭터가 제시하는 미션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주의를 집중시키고 유아 스스로 학습과 생각할 수 있게 해 학습을 하면서 미션을 성공이나 실패시에 캐릭터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4,000원
        22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척도를 개발하였다. 제작된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척도의 문항들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첫째,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문항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각 요인들은 자기존중, 자기효능, 자기보상으로 명명하였다. 제작된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누적 설명량은 45.101%로 측정되었다. 특히 자기존중의 설명량은 31.086%로 가장 높았고, 자기효능은 7.747%, 자기보상은 6.269%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로 자기존중을 가장 우선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계수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각 하위 요인별로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1요인(자기존중)의 Cronbach’ a계수가 .851로 가장 높았고 자기효능은 .801, 자기보상은 .730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코칭철 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척도가 유아 셀프 리더십을 신뢰롭게 평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5,200원
        22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주도성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유아의 창의성과 주도성의 개발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4․5세 남녀 유아 122명이었다. 유아주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숙현(2003)의 유아 주도성 검사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경원(1997)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주도성과 창의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성에 따라 창의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도성에서는 유아의 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창의성과 주도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800원
        22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일반 유아로 선정하여 특정한 치료적인 목적보다 교육과 학습에서 필요한 좌우뇌의 균형적인 뇌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S시, B시, J시, U시와 K도에 있는 관인 유치원 원아 200명에게 좌우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중 무작위 추출한 65명에게 B.G.A 검사를 통하여 뇌 발달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B.G.A 교육 실시 후 좌우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B.G.A 교육 실시 후 두뇌 영역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900원
        230.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가루제품은 밀가루 제품에 비하여 알레르기 유발율이 낮으므로, 영유아용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영유아용 식품은 치아발달이 미숙한 영유아에 적합하도록 침에 의해서 쉽게 녹여 삼킬 수 있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팽화쌀과자는 이러한 특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쌀가루로부터 쌀압출물을 제조한 후 팽화시켜 다공질이 많은 구조를 갖는 쌀과자를 제조하였다. 팽화쌀과자의 팽화율은 1.8배이었으며, 경도는 대조군으로 연구된 Graduates 및 Little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팽화쌀과자의 수분흡수량은 상대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분 흡수속도는 상대습도 30-40% 구간에서 0.0024 mg/hr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팽화쌀과자는 기존 쌀가공품이 보이는 딱딱한 물성을 다공성의 구조의 형성을 통하여 개선하였으며, 이는 영유아의 씹힘과 삼킴에 부담을 줄이며 저작운동을 유도하여 치아발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팽화쌀과자와 같은 팽화쌀제품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에 밥, 떡, 주류 중심의 쌀제품에서 탈피하여 쌀가공품의 다양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4,000원
        23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surveyed care giver's perceptions of baby food and evaluat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Korean websites related to the baby food for atopic dermatitis infants. Sources of care giver information about baby food were the internet (93%), clinics (57%), television (52%), oriental clinics (37%), and neighbors (6%). The five most commonly-used internet search engines (Daum, Google, Nate, Naver and Yahoo) were searched using the terms "atopic dermatitis", "weaning food" and "baby food". The searched websites included oriental medical clinics (38.8%), online merchant companies (13.4%), corporations (13.4%), medical clinics (11.9%), related associations (11.9%), public health centers (4.4%) and personal sites (4.4%). Websit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cluded medical information about baby food for atopic dermatitis (92.6%), baby food for atopic dermatitis (67.6%), related community (58.8%), product information (32.4%) and baby food preparation for atopic dermatitis (23.5%).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website checklist; Website operator and information sources were provided for 62.7% and 38.8% of the website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a website was more explicitly stated in medical clinic sites than nonmedical sites. Only 24.2% of websites had a title that appropriately reflected the site's purpose. The majority (92.5%) of the sites we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Information was judged to be sufficient in 65% of the medical sites and 74.1% of non-medical sites. A feedback menu and search function were enabled in 85.1% and 28.4% of the sites, respectively. The mean score for quality grade was 14.64 (range 9-19).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formation of baby food for atopic dermatitis infants in websites, accurate information by experts and continuing monitoring are highly required.
        4,000원
        23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해 유아의 언어창의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와 언어창의성 하위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평택에 있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5세반 18명으로 6주동안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유아기는 아직 사고의 틀이 고정적이지 않고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언어 창의성 발달 최적의 시기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요한 시기를 어떤 방법으로 언어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하위영역인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이 향상되었다.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유아가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며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토론을 통해 다양한 면에서 생각해 보도록 함으로써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