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8

        222.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ute and subacute toxicities of copper sulfate were evaluated in zebrafish (Brachydanio rerio). Dipping of fishes for acute toxicity was performed for a period of 24 h, and TLm24h value (median tolerance limit = LC50) was 1.36 ppm. Clubbing of gill filaments due to severe epithelial hyperplasia of gill lamella were oberved. And epithelial edema, fusion and necrosis of renal tubules were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 was mild epithelial hyperplasia of gill lamella in subacute toxicity test which fishes were exposed to 0.15 ppm of copper sulfate for 1 week.
        4,000원
        22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가루이 Q계통은 2005년 경남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2007년까지 9개도 28시군 12개 작물에서 발생하여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담배가루이의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방제와 농약을 이용한 화학적방제의 상호 보완적인 사용기술을 개발하고자 담배가루이 천적인 황온좀벌(Eretmocerus eremicus) 번데기에 대한 저독성약제를 선발하였다. 착색단고추와 토마토 등 원예용 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주요 살충제 59종과 살균제 75종을 추천농도, 배농도로 희석한 후 황온좀벌 번데기를 침지 처리하고 12일차에 우화율을 조사한 결과 IOBC기준으로 무독성(우화율, 70% 이상)인 살충제는 크로르피리포스(입상), 포스치아제이트(액), 피라크로포스(수) 등 유기인계와 메소밀(액) 등 카바메이트계, 아세타미프리드(수)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IGR계 등 56종이었으며, 21~70%의 우화율을 보이는 약제는 메치온(유), 에토펜프록스(유), 클로치아니딘․클로르훼나피르(유) 등 3종이었다. 추천농도 및 배량으로 처리한 살균제는 황온좀벌 번데기에 전 약제가 저독성을 보였다.
        22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꿀벌을 비롯한 화분매개 곤충의 농업과 자연생태계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는 꿀벌이 생산하는 일차생산물의 약 140여 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과수 생산 농민들의 고령화로 인한 적화 및 적과에 대한 노동력 부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적화 및 적과의 생력화 방안으로 화학적 적화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석회유황합제는 이의 중요한 대안이다. 이에 사과원 화분매개 곤충 중 꿀벌에 대한 석회유황합제의 실내 독성 평가와,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 처리 전후 화분매개 곤충 밀도 및 곤충상 조사를 통해 석회유황합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꿀벌 실내 독성은 3가지 조합의 lime sulfur를 이용하여 처리 후 3시간, 12시간, 24시간에 평가된 사망률은 추천 농도를 포함한 대부분 농도에서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25%미만으로 꿀벌에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의 처리 전후 방화곤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한 결과 처리 전 꿀벌의 밀도는 0.18마리였으며, 처리 후 밀도는 0.34마리로 나타났다. 꿀벌과의 다른 종들은 처리 전 육안 조사가 되지 않았으나, 처리 후의 밀도가 0.05마리였다. 트랩을 이용한 방화곤충상 조사에서 주요 벌목 곤충은 처리 전후 밀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리목의 꽃파리과는 처리 이후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또한 트랩에 포획된 방화곤충은 총 6목, 40과, 635개체이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는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226.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enotoxicity of the gamma-irradiated (0, 5 and 10 kGy) milk and ice cream. The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was performed using S. typhimurium TA98, TA100, TA102, TA1535 and TA1537 as tester strains.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were not increased in both milk and ice cream, compared with negative control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rradiation do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amma-irradiated milk and ice cream do not show any genotoxic effect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at they may be safe genotoxically.
        4,000원
        22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 by harmonizing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elect low toxic pesticides and to evaluate residual toxicity to natural enemies. Leaf dipping method and body dipping method were set up for evaluating toxicity to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adult. We had tested 52 kinds of pesticides (33 insecticides, 19 fungicides) commonly used to control greenhouse insects, mites, and disease pests to natural enemies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Fourteen insecticides by body dipping method, 12 insecticides by leaf dipping method and 19 fungicides were selected as low toxic pesticides to O. strigicollis adult. After insecticide spraying at recommending dose on the sweet pepper plant, we examined residual effect of insecticides by introducing natural enemies on different days. Safety interval for introduction of O. strigicollis adult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Safety insecticides at one day after treatment were pyraclofos, methomyl, thiodicarb, esfenvalerate bifenthrin, alpha-cypermethrin, etofenprox, fenvalerate, imidacloprid, acetamiprid,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spinosad, indoxacarb. However, residual toxicity of neo-nicotinoids last up to 21 days to O. strigicollis adults.
        4,000원
        22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 by harmonizing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elect low toxic pesticides against natural enemies, and their residual toxicity were evaluated. Leaf dipping method, body dipping method, and diet treatment method were set up for the toxicity evaluation against Cotesia glomerata adults. We had tested 46 different pesticides (31 insecticides, 11 fungicides, 4 herbicides) at recommending concentration commonly used to control diamond back moth, disease and up-land weeds in chinese cabbage field. Twenty three insecticides, eleven fungicides, and four herbicides were shown to be low toxic to C. glomerata adults in the treatment of body dipping. After insecticide spraying at recommending dose on the chinese cabbage, we examined residual effect of insecticides by introducing natural enemies on different days. Safety interval for the introduction of C. glomerata adult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Safe insecticides for the introduction of C. glomerata adults at one day after treatment (DAT) were thiacloprid, acephate, chlorfenapyr, clothianidin and at 3 DAT were imidacloprid, deltamethrin, thiamethoxam, dimethylvinphos, emamectin benzoate.
        4,000원
        23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NO donor, S-nitl‘ oso-N-acetyl-DL-penicillamine(SNAP) on heme oxygenase-1 (HQ-l) ex pression in human oral immortalized & malignant keratinocytes, and investigated in the control of keratinocyte proliferation evidence tha t HO-1 cou ld be involved in a low dose of NO, NO inhibitor, HOinducer, and HO inhibitor medi ated cytoprotect ion against cytotoxi city induced by a high dose of NO Oral keratinocyte growth inhibitory or anti-proliferative effects were exerted by with SNAP and hemin in a dose- and cul tivation time dependent manner The level of HQ-1 protein was increased in all cell types after exposure hernin dose, and the hemin induced HQ-1 protein achieved at higher maximum level by 12 hrs in all kind of cells , The pretreatment of cells with 0, 2 μ M SNAP reduced 1 mM SNAP-induced death in IHOK and HN4 cells , These cytoprotective effects on high dose of NO induced HQ-1 expresion and cell ular toxicity were blocked by low dose of SNAP, HCB, and ZnPP IX supporting the involvement of HQ-1 in high dose NO induced growth arrest or cell death, But these cytoprotection pattern is different from immortalized and malignant keratinocytes , These results indirectly demonstrate that HQ-1 could be involved in cytoprotection by NO priming against high dose NO induced cytotoxicity in immortalized and maigla nt oral keratinocytes, Thus, HQ-1 might be an important cellular target of NO donor,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pre vention of inJlammatory di seases and anti-tumor immunity
        4,000원
        23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꽃인 꽃베고니아(Begonia semperflorens ‘Superolympia White’), 토레니아(Torenia fournieri ‘Crown Pink’), 팬지(Viola tricolor ‘Solvetsunny Royal’) 및 펠라고니움(Pelargonium grandiflorum ‘Jessie Jarrett’)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및 세포독성에 미치 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펠라고니움의 경우 531.57mg/100g으로 높게 나타났으 나 토레니아는 30.98mg/100g, 팬지는 14.62mg/100g, 꽃베고니아는 5.77mg/100g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자공 여능은 꽃베고니아, 토레니아,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500g·mL-1에서는 모두 69.4% 이하를 나타 냈으나 펠라고니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125g·mL-1에서도 각각 94% 내외를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토레니아와 팬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95% 이하를 나타내어 세포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히스타민 억제효과는 펠라고니움 추출물의 경우 91% 이상을 나타냈으나 토레니아 추출 물은 51-66%, 팬지 추출물은 14-24%, 꽃베고니아 추 출물은 1~2%의 억제 효과만 나타났다.
        4,000원
        238.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 and its mechanism on Radix Aconiti(RA) extract in lung cancer cell lines. RA extract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fashions in lung cancer cells including A549, H460, H23 and H157 cells. Many investigators reported that A549 and H460 cells expressed wild-type p53, but H23 and H157 cells preserved mutated p53. After treatment with RA extract in A549 and H460 cell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p53 protein level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In both cells treated with RA extracts, p53 protein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our experiments, RA extracts also have cytotoxic effects in H23 and H157, which have mutated p53. Treatment with RA extract decreased bcl-2 protein expressions in both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 extracts have cytotoxic effects via p53 expression increase and bcl-2 inhibitable pathways in A549, H460 cells and H23, H157 cells, respectively.
        4,000원
        239.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BPA와 DEHP가 돼지 정액 성상(운동성, 생존율, 원형질막의 정상성, 기형율)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일정 농도로 희석한 돼지 정액에 BPA와 DEHP를 각각 0, 1, 10,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3, 6, 9시간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BPA 처리에 따른 운동성과 생존율은 체외배양 시간과 첨가농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체외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명백한 차이를 나타냈다.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의 운동성과 생존율은 체외배양시간에 관계없이 처리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DEHP 처리에 따른 정자의 운동성과 생존율도 체외배양시간과 첨가농도에 따라 감소하여 BPA의 성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정자원형질막의 기능성은 배양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BPA 및 DEHP 첨가농도 간에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100 μM 처리구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성적을 나타났다. 정자의 기형율은 BPA 및 DEHP 처리시간 및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고농도의 BPA와 DEHP(>10 μM)에 정자의 장시간 노출은 유해한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4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방산개구리의 난자 및 배아를 활용하여 난자성숙현상과 배아발달과정에 미치는 Cd2+의 독성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Cd2+ 0.1ppm에서 난자의 성숙현상을 억제하였으며 Cd2+ 작용의 가역성을 조사하기 위해 3시간 동안 난자들을 Cd2+에 노출시킨 후 보통배양액으로 옮겨 17시간 배양한 결과 1ppm에서는 가역성을 나타내었으나 2.5ppm에서는 비가역적 인 손상을 주었다. 발달 중인 2세포 배아를 Cd2+의 여러 농도에 노출시킨 결과 0.1ppm에서 발달이 억제되었으며 노출시간이 길어진 32세포 시기에는 세포붕괴현상을 유발하였다. 한편, 포배기 배아를 Cd2+의 여러 농도에 노출시 켜 96시간 배양한 후 유생의 치사율 및 기형율을 대상으로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한 결과 LC50은 0.1ppm, EC50은 0.08ppm, TI는 5.0을 나타내어 Cd2+은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는 물질로 나타났다. 기형 양상은 척추기형이 0.05ppm에서 14.3%,꼬리기형이 0.1ppm에서 75.0%,복부기형 이 0.01ppm에서 66.7%를 나타내었고 profound형 기형이 0.1ppm에서 25.0%를 각각 나타냈으며 Cd2+ 0.1ppm에서 머리에서 꼬리까지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Cd2+이 난자성숙, 난할 및 배아의 발달과정에 높은 독성의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