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3

        22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간판문화의 형성은 개항 기에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에 주로 영향 받은 것으로 보여 지며, 간판이라는 단어가 우리 문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1907년 󰡔대한학회월보󰡕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당시에도 간판에 대한 크기나 색상 등 조형적 문제를 이슈로 다루 었던 기사가 나타난다. 이 당시 시작되었던 간판의 크기나 지나친 표현 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사회적문제로 지속되고 있 는 사안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전통기의 간판 사용과 그 조형성을 살펴보고 특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 구대상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태평성시도>를 선택하였다. <태평성시도>는 성시의 여러 생활상 을 담고 있는 일종의 풍속화로 당시의 상업시설과 상행위를 중심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이 그림에는 간판으로 불리어지는 초패와 등간이 나타나는데, 초패란 나무판에 글자를 쓴 것이고, 등간은 상품이나 업종을 형상화한 상징물을 장대에 걸어 놓은 것이다. 연구방법과 연구기준은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초패 총63개, 등간(燈竿) 총285개를 대상으로 구조, 형태, 색상, 내용, 서체를 중심으로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초패의 크기측정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양동민속마의 ‘대성헌’을 잣 대로 하였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적 측면에서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면적이 작아 간판이 건축물의 원형미에 최소한의 범위에서 개입하고 있다. 2. 언어적 측면에서는 상호나 상품에 대한 직접적 표현보다는 유교적 의미에 부합하는 글귀로 대신해 언어적 품위를 보이고 있다. 3. 수량적 측면에서는 좌우 두 개만 설치되어 있어 건물과 균형적 조형미를 느끼게 한다. 4. 윤리적 측면에서는 초패로 인한 교통 불편을 최소화 해 상반상생의 디자인윤리의식이 드러나 있다. 5. 색상에서는 시각적 혼란이나 자극적 색상을 줄이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 적 안정감을 주고 있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간판디자인은 현대사회의 간판디자인과 조형의식에 한국적 간판의 원형 적 가치가 담긴 유용한 사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간판 연구를 위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222.
        2017.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scale unique instruments used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小簡儀, So-ganui) and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日星定時儀, Ilseong-jeongsi-ui) are minimized astronomical instruments, which can be characterized, respectively, as an observational instrument and a clock, and were influenced by the Simplified Armilla (簡儀, Jianyi) of the Yuan dynasty. These two instruments were equipped with several rings, and the rings of one were similar both in size and in scale to those of the other. Using the classic method of drawing the scale on the circumference of a ring, we analyze the scales of the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and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Like the scale feature of the Simplified Armilla, we find that these two instruments selected the specific circumference which can be drawn by two kinds of scales. If Joseon’s astronomical instruments is applied by the dual scale drawing on one circumference, we suggest that 3.14 was used as the ratio of the circumference of circle, not 3 like China, when the ring’s size was calculated in that time. From the size of Hundred-interval disk of the extant Simplified Sundial in Korea, we make a conclusion that the three rings’ diameter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described in the Sejiong Sillok (世宗實錄, Veritable Records of the King Sejong) refers to that of the middle circle of every ring, not the outer circle. As analyzing the degree of 28 lunar lodges (lunar mansions) in the equator written by Chiljeongsan-naepyeon (七政算內篇, the Inner Volume of Calculation of the Motions of the Seven Celestial Determinants), we also obtain the result that the scale of the Celestial-circumference-degree in the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was made with a scale error about 0.1 du in root mean square (RMS).
        22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yeonghuigung palace is an important site as it was the secondary palace in Hanyang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Its original state was lost because a number of buildings were damaged and the palace area was reduced. The entire palace can be seen only in “Seogwoldoan” a drawing of the western palace. With “Seogwoldoan” to show the complete configuration of Gyeonghuigung palace in detail as the main data and other relevant data used as supplementary sources,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dentify the figurative features around the plantings and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royal garden in Gyeonghuigung palace. The space configuration observed in the royal gardens in Gyeonghuigung palace deviated from the norms and strict systems of royal palaces. The free and uninhibited configuration of the royal garden was allowed in Gyeonghuigung palace because it was built as a secondary palace in a lower hierarchy. Furthermore, a royal garden characterized by unique and unlimited planting was created, with several spaces acting as both royal garden and rear garden as the rear gardens could not be separately configured due to the narrow space of Gyeonghuigung palace.
        224.
        2016.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 the design and specifications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group of instruments (Ilseong-jeongsi-ui, 日星定時儀)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s measure the solar time of day and the sidereal time of night through three rings and an alidade. One such instrument, the Simplified Time-Determining Instrument (So-jeongsi-ui, 小定時儀), is made without the essential component for alignment with the celestial north pole. Among this group of instruments, only two bronze Hundred-Interval-Ring Sundials (Baekgak-hwan-Ilgu, 百刻環日晷) currently exist. A comparison of the functions of these two relics with two Time-Determining Instruments suggests that the Hundred-Interval-Ring Sundial is a Simplified Sundial (So-ilyeong, 小日影), as recorded in the Sejong Sillok and the Seong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King Seongjong). Furthermore, the Simplified Sundial is a model derived from the Simplified Time-Determining Instrument. During the King Sejong reign,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s were used in military camps of the kingdom’s frontiers, in royal ancestral rituals, and in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ies.
        22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botanical taxa in Jeju Island, a diachronic study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archaic and modern names of the native plants in Jeju Island. To identify the archaic names of the plants, five old documents (Sejongshillokchiriji, Shinjŭngdonggukyŏjisŭngnam, T'amnaji, Namhwanbangmul and Jejugyerok) that were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between the 15 th and 19 th centuries were closely examined. A total of 131 taxa (65 families, 112 genera, 118 species and 13 varieties), 7.3% of the native plants known to be currently present in Jeju Island, was identified. Out of these, 21.4% was the plants found in the southern area. Among the five old documents analyzed for this study, Namhwanbangmul recorded the largest number of plants, 89 taxa. We closely examined the consistency between the modern and archaic names of each plant, and discussed the problems in matching the names of some plants analyzed in this study.
        226.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six remaining Yang-cheon-cheoks (量天尺), which were first described in the Veritable Record of King Sukjong (肅宗實錄). These woodblock sundials from Korea are structurally very similar to a Gyupyo (圭表, gnomon) or an altitude sundial and are light, compact, and portable. The front side of a Yang-cheon-cheok has two holes for styluses and several hour-lines. We compared the intervals of the hour-lines from the originating point of the stylus placement on all Yang-cheon-cheoks and found that two of the relics had the same hour-lines using the standard of the unit of 1 chon (寸). These two were actually the same sundial although the physical size was different. In spite of the lack of time accuracy, we hypothesize that various-sized Yang-cheon-cheoks were made and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227.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시대 관인의 생활은 격무에 시달리는 스트레스의 연속이었다. 관인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속의지를 항상 표출하였다.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귀거래하지 못하는 처지를 하소연하기도 했고, 여가에 가까운 산수를 찾아 잠시나마 탈속의 기분을 즐기며 돌아왔다. 관인들이 탈속을 즐기기 위해 가장 많이 선호한 공간은 산수였고, 유람을 통해서였다. 연속적인 스트레스에 골몰했던 관인들은 산수벽을 관념처럼 지니고 살았다. 번다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에 귀의하여 자적하는 安分의 삶을 이상으로 여겼다. 관인들의 산수유람 열망은 매우 컸다. 잠시라도 기회가 생기면 산수를 유람하며 탈속의 기분을 즐겼고, 그 기분을 잊지 못하여 또 다시 유람하고자 하는 유람벽으로 이어졌다. 관인들의 유람벽을 더욱 깊게 만들었던 산 중의 하나는 신선세계로 유명했던 지리산이었다. 관인들이 탈속의 기분을 즐기기에 지리산만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공무에 바쁜 관인들에게 지리산은 쉽게 유람할 수 있는 산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지리산과 접해있는 군현의 수령으로 부임하거나 공무 차 지날 기회에 짧게나마 유람하고, 평생의 숙원처럼 여기며 갈망했던 지리산 유람의 積翠를 풀었다. 하지만 지리산은 몇 일만에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관인들의 지리산 유람은 늘 아쉬운 소회로 남았고, 언젠가 또 찾아야겠다는 유람벽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22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리학이 자리 잡기 이전, 곧 조선 이전에는 찾아보기 어렵던 지리산유람록이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 것을 기다려 100여 편이나 등장했다. 그리고 성리학적 전통이 무너져 내리는 것과 거의 동시에 유람록을 남기는 전통 또한 사라졌다. 우리는 바로 이 지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자연스레 하나의 물음을 떠올린다. 유람록의 주체이자 성리학을 이념적 토대로 삼았던 선비, 그들은 도대체 왜 지리산 유람 길을 떠났고 수많은 유람록을 남겼을까? 이 글은 이 물음에 대해 배움과 휴식 그리고 선현을 닮기 위한 노력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선비들이 유람을 떠난 동기를 찾아보고, 그것이 어떻게 넓게는 유학 그리고 좁게는 성리학과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선비들의 유람은 한편으로 일상의 배움을 이어서 세상을 읽어가는 또 다른 형태의 배움을 위한 길이자,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일상의 긴장을 해소하는 휴식의 길이었다. 그리고 긴장과 이완이라는 두 가지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선비들이 성취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선현들과 닮은 모습, 곧 자신이 현인 혹은 그와 같은 인격으로 완성되는 것이었다. 선비들에게 긴장과 이완, 배움과 휴식이 둘이 아니었다면, 그것을 통해서 선현을 닮아가는 것 역시 또 다른 길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아울러 유람은 선비들에게 세상을 읽는 하나의 방식이었다. 세상 읽기는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그것은 가끔 세상과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을 때 더욱 충실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점에서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 것과 함께 유람록의 전통이 세워지고, 성리학적 전통이 무너지는 것과 거의 동시에 유람록의 전통 역시 사라지는 이유를 짐작하게 된다. 선비들의 시대가 끝나면서 이들이 세상을 읽던 방식 역시 함께 사라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229.
        2015.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Yang-gyeong-gyu-il-ui (兩景揆日儀) is a kind of elevation sundial using three wooden plates. Sang-hyeok Lee (李尙爀, 1810~?) and Byeong-cheol Nam (南秉哲, 1817~1863) gave descriptions of this sundial and explained how to use it in their Gyu-il-go (揆日考) and Ui-gi-jip-seol (儀器輯說), respectively. According to Gyu-il-go (揆日考) there are two horizontal plates and two vertical plates that have lines of season and time. Subseasonal (節候) lines are engraved between seasonal (節氣) lines, subdividing the interval into three equal lines of Cho-hu (初候, early subseason), Jung-hu (中候, mid subseason) and Mal-hu (末候, late subseason); there are 13 seasonal lines for a year, thus resulting in 37 subseasonal lines; also, there are 12 double-hour (時辰) lines for a day engraved on these plates. The only remaining artifact of Yang-gyeong-gyu-il-ui was made in 1849 (the 15th year of Heon-jong) and is kept at the Korea University Museum.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Yanggyeong- gyu-il-ui and similar western sundials. Also, we have reviewed the scientific aspect of this artifact and built a replica. Yang-gyeong-gyu-il-ui is a new model enhanced from the miniaturization develop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can be appli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tropic line through a structure change.
        230.
        2015.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世宗, 1418-1450)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lots of astronomical instruments, including miniaturized ones. Those instruments utilized the technical know-how acquired through building contemporary astronomical instruments previously developed in the Song(宋), Jin(金), and Yuan(元) dynasties of China. In those days, many astronomical instruments had circles, rings, and spheres carved with a scale of 365.25, 100, and 24 parts, respectively, on their circumference. These were called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 hundred-interval (Baekgak), and 24 direction, respectively. These scales are marked by the angular distance, not by the angle. Therefore, these circles, rings, and spheres had to be optimized in size to accomodate proper scales. Assuming that the scale system is composed of integer multiples of unit length, we studied the sizes of circles by referring to old articles and investigating existing artifacts. We discovered that the star chart of Cheonsang yeolcha bunyajido was drawn with a royal standard ruler (周尺) based on the unit length of 207 mm. Interestingly, its circumference was marked by the unit scale of 3 puns per 1 du (or degree) like Honsang (a celestial globe). We also found that Hyeonju ilgu (a equatorial sundial) has a Baekgak disk on a scale of 1 pun per 1 gak (that is an interval of time similar to a quart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nalysis of specifications of numerous circular elements from old Korean astronomical instruments.
        23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 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 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3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나 지금이나 교육의 성패는 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하여 가르치는 자의 역할을 중시했다. 조선시대 중등 관학인 사학에는 교관, 학관, 사유, 학교수 등으로 불리는 교육을 담당하는 자들이 있었다. 교관제는 겸임제와 전임제가 번갈아 시행되었는데, 계속된 교관 증원 요청에서 볼 때 충분한 교관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교관직은 승진과 출세가 어려운 한직으로 보아 이를 기피했고, 이는 교관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자들이 교관직에 나아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교관의 자질로는 경명, 행수, 그리고 노성 등이 중시되었는데, 인지적 측면에 관한 ‘경명’과 정의적 활동적 측면에 관한 ‘행수’ 외에 대체로 ‘노성’ 즉 나이가 많은 사람을 선호했는데, 이는 다른 자리로 옮겨야겠다는 생각에 가르치는 데 마음을 다하지 않는 젊은 선비들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교관에 대한 평가는 교관 자신의 근만 뿐 아니라 유생에 대한 평가도 병행되었는데, 거재하는 생원은 몇 명이고 유학은 몇 명인지 유생수와 유생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때로는 무시로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평가 결과에 따라 포폄을 가하거나 바로 발탁하여 등용하기도 하였으며, 때로 유생들의 유임 요청이 있을 때는 이를 받아들여 유임키도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근무 여부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려워 다른 방법을 강구토록 하는 등 교관 평가에도 한계가 있었던 듯하다.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경명과 행수를 갖춘 교관이 교육자로서의 긍지와 사명감을 갖고 교육에 임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그러나 당시 사학의 겸임교관제, 부실한 교관 공궤, 교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국 교육 부진으로 이어졌다.
        234.
        201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uncovered 14 Korean royal astronomers and one scientist who worked in the early and mid-18th century. In spite of their high positions in the government office, all of them but one were not recorded anywhere in the major histories, such as WangjoSillok (王朝實錄) and JeungboMunheonBigo (增補文獻備考). Our search of Bon'gwans for each person has been carried successfully for 13 scientists. Their family relations are also uncovered finding five eminent astronomy families.
        235.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ill introduce and overview in general the Seongbyeon Deungrok issued by the Gwansang-gam, the Astronomical Board in the Joseon Dynasty of Korea.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1668 Seongbyeon Deungrok was deciphered at first and thes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English. With these translations and the word ‘white vapor’ in particular we discuss the nature of the main object in this Deungrok. Lastly, names of observers who engaged in the observations of this 1668 celestial, which are made as a by-product of this research, are introduced.
        2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조선조 문인들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를 고찰하였다. 조 선시대 유산시는 대체로 몇 가지 투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을 대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산을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여, 그 중요성을 부각시 키는 것. 둘째, 지리산에 대한 敬畏心을 담아내는 것. 셋째, 지리산에서 浩然之 氣를 기르고 발산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것. 넷째, 지리산을 仙界나 理想鄕의 소 재처로 보아 憧憬하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 다섯째, 지리산과 연관이 있는 인물 을 연상하면서 尙友千古의 자세를 보이는 것. 여섯째, 지리산 등산을 修己, 또는 학문 연마의 비유로 삼는 것. 유산시에 나타난 이런 투식은 곧 지리산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의미하며, 이것은 오랜 기간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약간의 변화된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唐詩 風의 서정적인 작품이 등장하기도 하고, 보다 현실적인 사고를 담아내기도 하 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自尊感을 여과 없이 드러내기도 하였다. 또 시 국 변화에 따라 國運을 염려하는 마음이 삽입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문인들의 사고가 근대화 되어가는 한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3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한국 명산문화의 정체성을 인문지리적인 관점에서 탐구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명산문화의 개념 정의, 사상적 배경 및 구성 요소, 역사적 기원과 형성 유형을 살펴보고,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명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 심으로 유학적 명산문화의 전개와 의의 등을 주요 논제로 고찰하였다. 조선조 유학사상은 한국 명산문화의 인문적 발전을 이끌고 명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꾸었다. 道學者들에게 있어 명산경관은 天地動靜의 이치를 體現하 고 있는 공부텍스트이자 觀物察己의 유학적 存養 장소가 되었다. 그들은 명산 의 장소이미지를 인간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名山과 名儒의 이미지를 결합시켜 표상하였다. 實學者들에 있어 명산의 산수는 可居地 생활권의 한 입지 요건이 되었고, 명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노력이 뒤따르게 되어 名山誌가 저술되 었다. 白頭大幹과 관련하여 명산에 대한 인식의 提高가 이루어졌고 국토의 祖 宗이 되는 명산으로서 백두산이 주목되었다.
        23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지리산의 역사적 성격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名山文化로서 智異山의 正體性을 조선 초・중기의 문헌사료를 통해서 구명한 것이다. 먼저 명산은 인간 이 인위적으로 창출하고 결정한 의미에 의해서 규정・이해되는 것이다. 그러므 로 명산은 고정되는 경우보다 변화를 겪는 존재로서 사회적 생산물의 성격을 갖고 있어 문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명산문화는 명산이 의미하는 바의 정체성까지 수렴하는 보다 광의의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 초기 지리산은 太祖 李成桂에게 조선 건국과 관련해서 중요한 신성의 장 소이자 그들의 정치적 목적의 정당화를 위한 含意를 지닌 곳이었다. 한편 지리 산의 神聖은 卿·大夫·士・庶人이 숭배 대상으로 하였던 山神으로서 信仰性을 갖 고 있었다. 반면에 왕을 비롯한 위정자에게 지리산의 신성은 명산대천으로서 신성에 정치적 성격을 포함한 이중적 함의를 지녔다. 세종 같은 경우 전통문화 로서 명산대천의 신성을 인정하면서도 惑信하는 신성에 대해서 철저하게 조사 하여 금지하였다. 이처럼 鮮初 지리산의 정체성은 신성에서 신앙성・정치성 등 다양한 함의를 지녔다. 조선 중기 지리산은 지리산권역의 사림들과 수령들에게 仙遊・修養의 공간, 그리고 勳戚政治 개혁을 위한 모색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럴 때 馬 崇祖가 지리산 天皇을 숭배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지리산이 신앙으로서 神聖性을 크게 잃어갔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지리산의 정 체성은 조선 중기에 이르러 정치・사회적 함의가 커져갔다. 한편 賊徒 張永己 사 건에서 지리산이 인간의 삶 속으로 급속히 편입되는 사회성을 읽을 수 있다. 이 보다 더 사회성과 정치성을 보여주는 사건이 자칭 의병대장 宋儒眞 사건이다. 16세기 말 지리산은 王朝를 부정하였던 송유진을 따르는 한 무리의 활동 공간 이었다. 이는 그만큼 지리산의 정체성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24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variety of different flowers used in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of Japan and Korea, the relevant Japanese era to Joseon Dynasty where traditional folk art revitalized was studied. This study aims to deliver a through and prescriptive approach to the research in question through horticulturalistic and color-orientated approach as well as the standard forma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Japanese paintings were shown to prefer peony at best and other flowers such as Japanese apricot, Chrysanthemum, Bamboo, Japanese red pine were also popular which is similar to those of the Joseon period. However in Joseon dynasty, peony seized 17% of all flowers used in Folk-Art paintings unlike 10% in Japanese paintings. Whatsmore 10 of 20 most favoured plants of Joseon dynasty were shown to be shrubs whilst it was 6 for Japan illustrating flowering plants were more popular. The study of range showed paintings of Joseon dynasty using 85 varieties whilst Japanese paintings using 82 varieties hence again showing similarity. Moreover Joseon paintings illustrated that they used mostly wild flowers whilst Japanese paintings depicted more imported flowers such, Pyracantha, Gladiolus, Carnation In terms of identification of flower in the paintings, Japanese practiced precise painting technique making it easy to identify unlike the Joseon paintings where more abstract techniques of folk-Art producing difficulties in classification.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