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2

        22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chemical insecticides, with the ever increasing resistance of pest insects to chemical insecticides and the growing concern over environmental pollution, it becomes evident that the problem of pest attack on crops cannot be solved by anyone system. Under these circumstances, main pathogens of insects, i.e., viruses, bacteria, fungi and protozoa, have been studied to control many insect pests. Some of these pathogens are now being produced as microbial insecticides at the rate of hundreds of tons per year in the world. Some microbial insecticides are very effective against numerous or target insects under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icrobial control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ed control program. They have many unique properties such as selectivity, multiplication and harmless to higher animals. However, we must be aware also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safety, persistence and difficulty of efficacy, etc_ on the microbial insecticides.
        4,000원
        222.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산림해충중 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 및 솔잎혹파리 방제 대책의 일환으로 미생물 병원체를 조사하고져 실시하였다. 흰불나방에서 분리된 징충물은 핵다각체 Virus와 Bacillus sp. 일종이엇는데 살충효과는 무처리 에 대해 각각 와 로서 핵다각체 Virus의 경우가 우수하였다. 오리나무잎벌레에서는 세균과 진균 각 1종씩 분리되었는데 그중 진균만이 병원성을 보였으며 이는 백강균의 1종인 Beauveria bassiana로 동정되었고 이 균의 살충력은 무처리구 에 비해 의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솔잎혹파리에서는 모두 15종의 미생물이 분리동정되었으나 그중 3개의 세균종류와 3개의 진균이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가장 병원성이 강했던 것은 Fusarium sp.였고 그 다음이 Bacillus sp. I과 Spicaria sp.의 순서였다. 1957연부터 1977연에 걸쳐 솔잎혹파리에서 분리된 병원미생물을 흰불나방 및 오리나무잎벌레에 접종한 결과 어느 경우나 병원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4,000원
        223.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225.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화명충과 과수의 잎말이류 및 Codling Moth의 Pheromone등 모두 15종의 합성 Pheromone을 도입하여 국내해충의 예찰과 방제에 이용가능한 Pheromone의 선발코자 수행하였다. 이화명충 Pheromone은 미국의 열대생산물연구소에서 합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과수해충의 Pheromone은 Comell 대학과 Zoecon회사에서 공급받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화명충의 미교미 암컷을 넣은 Trap이 합성 Pheromone을 넣은 Trap보다 숫컷을 유인하는 능력이 컸다. 2. 이화명충의 합성 Pheromone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여 발생정점을 잡을 수 없었다. 3. 과수잎말이류 해충중 복숭아순나방이 OFM과 LAW Pheromone에 가장 많이 유인되었다. 4. OBLR, RBLR, SPAR, 그리고 ArcM Pheromone에 수종의 과수잎말이류 나방이 다수 유인되었으나 기타 8종의 Pheromone에는 유인나방의 수가 적었다. 5. 본 시험의 결과로 보아 해충의 발생예찰에 이용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는 합성 Phreomone과 이들의 적용해충은 다음과 같다. OFM, LAW: 복숭아순나방 OBLR: 사과무늬잎말이나방 OBLR, RBLR, ArcM: 한국잎말이나방, 검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잎말이나방 SPAR, TBM Pyroderces속의 일종
        4,000원
        226.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RRI에서 고안제작한 액상 주입기(Liquid applicator)에 의한 Carbofuran 액상근부주변 처리의 수도 해충 방제 효과에 대한 시험을 Capsule 근부처리, 입제, 수면처리와 비교 시험을 호남작물시험장 묘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Carbofuran 액상근부 주변처리는 Carbofuran Capsule 근부 처리에 비하여 해충 방제효과가 낮었다. 그러나 Carbofuran, Diaainon입제 수면시용, 2내지 4회 처리와 대등내지는 상회하는 해충방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해충 방제효과는 유신품종에 비하여 팔굉 품종에서 현저히 높였으며 액상 Carhofuran일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유기에 걸친 이화명충, 애멸구와 줄무늬 잎마름병 및 끝동매미충 방제의 가능성이 엿 보였다.
        3,000원
        227.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사과를 가해하는 나방류 해충은 그 종류가 많고, 피해도 크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해충의 무리이다. 그러나 우려나라에서는 그들에 대한 종류 조사 및 생활사를 비롯한 생태조사가 1940년후로는 별로 이루어 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피자들은 최근 몇 년간 실시된 작물해충 분포조사에서 얻었던 자료와 수원을 중심으로 1975-1976년 사과해충 특히 타방류에 대한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그 피해가 직접 관찰되었던 나방류 해충으로 14종의 잎말이 나방류를 비롯하여 심식나방류 3종, 굴나방류 4종, 기타잎을 가해하는 나방류 28종 등 49종(흡아류제외)을 사과해충으로 재확인하고 그 우점종들을 밝힘과 동시에 그들의 생활사 개략을 기술하였다.
        4,000원
        228.
        197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의약용 Capsuel에 넣은 입제형 살충제 BPMC, Carbofuran, Cartap, Chlorphenamidine-HCl, Cytrolane, Diazinon의 단일회 수도근부처리로서 수도 전생육기간에 걸친 이화멸충, 멸구, 매미충류 및 Virus 병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포장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화명충은 발생이 적었기 때문에 약제간에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약제처리후 50일에서 이화명충 1화기 심고경율 Cartap 0, Carbofuran 0.1, Chlorphenamidine 0.4, Cytrolane 0.5, BPMC 1.8, Diazinon 2.2이었으며 2화기 백수율은 BPMC에서 이었을 뿐 그밖에 약제처리구에서는 백수가 없었다. (2) 끝동매미충과 애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Diazinon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은 밀도를 보였다. 벼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Carbofuran에서 서식밀도가 현저히 낮아 그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Cartap, Chlorphenamidine, Cytrolane 및 Diazinon의 효과는 거의 기대할 수 없었다. (3) 오갈병의 발병주율은 Carbofuran이 , Cytrolane , Chlorphenamidine , Diazinon BPMC, Cartap , Diazinon 입제수면 시용 , 무처리 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오갈병의 발병율이 가장 낮았다.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전혀 없었는데 그 원인은 통일벼는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
        4,000원
        229.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유기인계 살충제인 Terracur P입제 및 Lebaycid 입제와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상감마입제를 수면시용 하였을때 수도요해충인 이화명충, 끝 동매미충, 애멸구 및 흰둥멸구에 대한 동시방제가능성과 방제적기를 구명하고 약제간의 방제효과를 비교코저 실시하였다.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후 부화직후 이화명충 접종 시험에 있어서 상감마와 Terracur P는 높은 살충율을 보였으나 Lebaycid의 살충율은 낮았다. 約 살충력 잔효일수에 있어서 상감마는 8-14日이었고 Terracur P는 6일간이었다. 2) 당초 계획된 방제적기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었다. 즉 주어진 일간격이 좁아 유의한 차를 얻을 수 없었다. 3) 1,2화기 이화명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Terracur P=상감마>Lebaycid의 순이었다. 4) Terracur P와 Lebaycid 입제의 처리는 끝동매미충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상감마의 방제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Terracur P와 Lebaycid입제의 잔효력은 30일 이상이었다. 5) 애멸구와 흰등별구에 대한 시험은 충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약제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6) 공시약제중 Terracur P와 Lebaycidd입제는 이화명충과 끌동매미충의 동시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4,000원
        230.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rk on the 'Studies of radiosensitivity' in Korea has been initiated since 1959 by the author at various institutions in home and foreign countries, and more than 20000 of plant materials in 73 varieties and 41 kinds are treated under varied conditions for the studies of radiosensitivity in plants. However, a study of the susceptibility to radiation in insect pests as well as their biological effects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is country. During the year of 1964 and 1965, near 50000 of insects at the stages of adult, egg, larva and pupa in 14 different kinds are irradiated under acute X and gamma ray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growth and lethality after irradiation, and thrir general tolerances to radiations are compared by the kind of insects, stage of growth, radiation sources and exposured dosages. Through the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lethality in most of insects are high as several kilo roentgens above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pupation. emergence, and oviposition in the treated generation at the dose of 3 Kr. below, but in the following generation , the rice stem borer for instance, no oviposition or decreased laying is observed from the dosages at 3 Kr. to 1 Kr., and the hatching was possible from 1.5 Kr. below of irradiated larvae although laying and hatching are seemed in normal. In general, the lethal dose of tested infect materials at the larval stage can he classified some what 60-80 Kr. for Pine caterpillar, Fall webworm, Camphor silk moth and their relatives, at 40-60 Kr. for Gypsy moth, Monley prominent and some relatives and at 20-30 Kr. for House fly, Rice weevil, Pine sawfly etc. Plant parasitic nematodes such as Hirschmannia and Paratylenchus shown very high resistance to radiation and the LD-50 is observed from 100 Kr. or above. A concept to evaluate the radiosensitivity in insects by taxological family line as a practical measure is not answerable yet, but it ran he solved within the near future through the continuing experiments.
        4,000원
        23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농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 8품종(얼룩찰1호, 흑점2호, 일미찰, 흑진주찰, 찰옥4호, 미백2호, 대학찰)과 수수 7품종(황금찰, 앉은뱅이수수, 목탁수수, 소담찰, DS202, 남풍찰, 동안메)에서 나방류 발생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명나방 성충은 년 3회 최성기를 보였고 담배나방류 성충들은 3-4회 최성기를 보였다. 또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및 수수의 잎과 줄기 피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수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8월 중순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흑찰, 얼룩찰1호, 일미찰, 흑점2호, 미백2호 등 옥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윤환밭과 연속 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DS202 품종(83%와 89%)을 제외한 나머지 6종 수수 품종들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연속밭에서 높거나 비슷하였다(50-92%). 옥수수의 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은 5%(찰옥4호)에서 38%(흑진주찰)였는데, 대학찰 품종은 답전윤환밭(33%)에서 연속밭(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해를 입었다. 답전윤환 수수 포장에서 소담찰(94%)과 DS202(82%)가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연속밭에서는 7개 수수 품종 모두 78% 이상의 피해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와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평균 피해율과 평균 침입공수 간에는 각 정의 상관관계(옥수수 r=0.69윤환밭, 0.95연속밭; 수수 r=0.93윤환밭, 0.97연속밭)를 보였다. 또한 수확 후, 유기농 윤환밭 및 연속밭 포장에서 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8품종들과 수수 7품종들의 평균 피해율과 이삭무게 또는 천립중(g) 간에 부의 상관관계(옥수수 r=-0.38윤환밭, -0.49연속밭; 수수 r=-0.70윤환밭, -0.57연속밭)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농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나방류의 관리가 수량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23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병 들 중 의 하나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충북 음성에서 소과종 수박에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 결과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목화진딧 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일반수박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 는 대부분의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흰가루병은 6월 중순에 품종 별로 27~99.3%의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에 품종별로 엽당 마릿수가 79.9~111마리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과 상순에 황색과 청색 평판점착트랩 각각에 트랩당 407마리와 774마리로 높은 유살수를 나타냈다. 포장에서 마 요네즈와 올레산 그리고 현재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3종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 마요네즈 그리고 대황추출 물 1%가 함유된 자재가 60% 이상까지 효과적으로 병 발생을 감소시켰으며, 이중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가 83%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소 과종에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정보와 sodium bicarbonate 80% 함유 자재가 흰가루병 방제 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3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growth of the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the unripened (10 days) and ripened (25 days) fruits after flowering were harves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urational stages of the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investigated. Total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was 4.00-7.56% in the unripened fruits and 3.78-5.57% in the ripened fruits, respectively. Furthermore, total amounts of organic acids such as malic, citric, succinic, and oxalic acids were 16.40 mg/ 100 g in the unripened fruits and 28.82 mg/100 g in the ripened fruits, respectively. In organic acids of the unripened and the ripened fruits, citric acid (8.76-15.47 mg/100 g) was the highest amount among other organic acids. Soluble suga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1.07 to 21.54% in the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Therefore, ripened fruits had the high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organic acids and soluble sugars. For the biological studies of R. coreanus, methanol extracts of R. coreanus leaves, fruits, and stems were evaluat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Plutella xylostella (Lepioptera: Plutellidae) and Spodoptera litura (Lepioptera: Noctuidae) by leaf dipping method. From these results, the extract of R. coreanus leaves revealed poten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However, the methanol extracts of R. coreanus fruits and stems had no any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 persicae, P. xylostella and S. litura. The R. coreanus leaves have promising potential as new insecticidal agent against P. xylostella.
        23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3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2005~2009, current status on the occurrence and the management of the major disease, insect and mite pests were investigated in the non-chemical or organic cultured apple orchards in Korea. Numbers of certified organic or non-chemical apple orchards increased from 14 in 2005 to 78 in 2008. Severe damages on leaves and fruits were caused by the several diseases such as marssonina blotch, bitter rot, white rot, sooty blotch and flyspeck, and the several insect pests such as apple leaf-curling aphid, woolly apple aphid, oriental fruit moth and peach fruit moth on the almost certified organic or non-chemical pest control orchards. About 10 and 18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were used to control diseases and insect or mite pests, respectively. But, lime sulfur and bordeaux mixture to diseases and machine oil, plant oil mixed with egg yolk, and pheromone mating disruptions to insect pests were effective under the adequate conditions.
        239.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통 중인 한약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관리시설이 빈약하여 해충들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총 67과 134속 158종의 저장 한약재들을 대상으로 이들에서 발생하고 있는 저장물해충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assia 속의 육계, Juniperus 속의 자단향 그리고 Artemisia 속 애엽을 비롯한 44종의 한약재들에서는 곤충의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약재들에서 나타난 해충들의 발생빈도는 쌀머리대장 (A. advena) 12.3%, 권연벌레 (L. serricorne) 11.5%,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 (O. surinamensis) 10.3%, 거짓쌀도둑거저리 (T. castaneum) 9.4%, 인삼벌레 (S. paniceum) 8.4% 그리고 화랑곡나방 (P. interpunctella) 7.9% 순이었다. 또한 이들 곤충들은 저장 중인 한약재들 중에서도 뿌리 또는 뿌리줄기 형태의 한약재들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보였다. 이 연구는 천연물 연구자들에게 곤충들이 발생하지 않았던 한약재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향후 이들이 살충활성 또는 훈증활성물질을 탐색하는데 있어 이들 한약재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4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경남 산청군의 농업기술센터 약초전시포에서 32목 50과 121속 132종의 약용식물을 가해하는 절지동물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목 44과 86속 98종의 해충류가 채집되었는데, 대부분의 약용식물에서 5종 이하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그러나 부용 (Hibiscus mutabilis),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독활 (Aralia cordata),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등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절지동물 중 98.5%가 약용식물의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시기별로는 5월이 6목 20과 32속 36종으로 가장 많았다. 해충들은 대부분 5종 이하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지만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와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는 각각 42종, 22종, 20종, 15종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섬서구메뚜기와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범위가 넓었으며 발생량도 많아 가장 문제되는 해충들이었다. 5월에는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이 우점 해충이었으며 6월에는 알락수염노린재, 8월과 9월은 섬서구메뚜기, 10월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해충이었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