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241.
        199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riation of the microstructur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with varying vacuum hot pressing temperature and pressure was investigated in PyM processed 20 vol%) SiCw/ 2124Al composites. As increasing the vacuum hot pressing temperature, the aspect ratio of whiskers and density of composites increased due to the softening of 2124Al matrix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liquid phase. The tensile strength of composite increased with increasing vacuum hot pressing temperature up to and became saturated above , To attain the high densification of composites above 99%, the vacuum hot pressing pressure was needed to be above 70 MPa. However, the higher vacuum hot pressing pressure above 70 MPa was not effective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due to the reduced aspect ratio of SiC whiskers from damage of whiskers during vacuum hot pressing. A phenomenological equation to predict the tensile strength of /2124AI composite was proposed as a function including two microstructural parameters, i.e. density of composites and aspect ratio of whiskers. The tensile strength of /2124AI were found more sensitive to the porosity than other P/M materials due to the higher stress concentration and reduced load transfer efficiency by the pores locating at whisker/matrix interfaces.
        4,000원
        242.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압을 받는 섬유강화 복합적층 파이프 구조를 해석하기 우해 감절점 원통형 쉘 유한요소를 이용하였다. 이요소는 lockintg현상을 제거하고, 수렴성을 개선하기 위해 감차적분기법, 변위형의 추가, 가정된 전단 변형 도장을 사용한 9절점의 3차원 쉘 유한요소이다. 이 유한요소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예제를 해석하고, 결과를 이론식 및 다른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유한요소의 수렴도 양호하였고, 섬유강과 복합적층 파이프 구조의 섬유 배향 각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파이프의 처짐은 감소하면서 파이프의 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는 또한 90.deg.적층 각도가 내압을 받는 파이프 구조의 hoop tension을 유효하게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244.
        199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소/페놀릭 복합재의 삭마 미세구조와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삭마현상은 추진제와 산화제 사이의 반응에 의한 수증기와 탄산가스의 몰분율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나, 이 연구논문은 삭마현상이 탄소섬유의 직조형태, 직조밀도, tow크기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음을 주사전자현미경, 밀도, 열전도도. 삭마표면등을 통해 설명했다. 3가지의 직조형태중, 3K8HS 직조구조가 3K twill구조나 12K8HS구조보다 우수한 내삭마성을 보임을 설명했다.
        4,000원
        245.
        1992.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D-woven fabric에 결합재로 페놀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한 CFRP의 탄화거동을 관찰하였다. TMA분석 결과 적층 두께방향에서는 365-370˚C 법선방향에서는 118-128˚C 에서 치수변화가 일어났다. 각 온도 구간별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FRP제조시 형성된 크랙이나 기공은 열처리온도에 따라 성장하였으며, 400-500˚C 부근에서 새로운 많은 크랙이 형성되었다. 기공률과 밀도가 400-500˚C 에서 급격히 변화한 것을 볼 때 이 구간에서 복합재 내부에서 크랙이 형성 및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CFRP를 탄화할 때 승온속도를 구간별로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4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구조물의 체계신뢰도 평가는 매우 어려워지며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특히 작용하중들이 시간적 변화특성을 가지거나 구조물의 파괴모드가 여러가지인 경우는 더욱 복잡하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들은 그 발생강도 뿐만 아니라 발생시기, 발생빈도 등이 무작위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시간적 변화특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확률변수 모형보다는 확률과정을 이용한 모형화가 바람직하다. 구조물 체계신뢰도의 근사해법으로 3계구간식 상한치를 이용한 점추정식 근사해가 제안되어졌다. 이 3계 점추정식 근사해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다른 근사해들과 비교할 때 적은 계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정확도가 상당히 높으며 체계파괴확률 함수의 연속성이 보장된다. 상시하중과 함께 여러 일시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 조합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기존의 하중합치법을 보완하여 넓은 한계수준에서 정확도를 높였다.
        4,000원
        24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pecimens beam by changing the depth and width of the U-shaped composite beam. To this end, experimental specimens by changing depth and width as compared with a reference specimen were prepared and tes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wth of the depth has great effect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a width increas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beam.
        24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many climatic conditions, there is UV ray, which is called ultraviolet rays,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 on sealing materials. Because UV has high energy, it changes the internal structure of polymer and causes quality deterioration. In addi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rainfall, snowfall, and atmospheric pollutants are also factors to be avoided in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sealant. In this study, we tried to obtain reproducibility by using a composite deterioration test device which can describe the environment of the outside air as a part of the research project to investigate the weather change in the prototype of the structural sealant. The outdoor exposure test result and the composite deterioration test device Correlation analysi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ructural sealant by applying the composite deterioration test equipment and outdoor exposure test data.
        25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arget in the design of base isolated structures is the selection of isolation system properties so that optimal performance is achieved among seismic levels and performance metrics. To withstand very rare ground motions, isolation system are frequently designed with significant strength or damping, and as a result such devices provide reduced isolation effect for more frequent seismic events. To investigate improvements to the design of isolated structures, a lot of research program is performe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re presented to characterize smart base isolation capable of progressively exhibiting different hysteretic properties at different stages of response. Shear tests are conducted along the ISO standard, including harmonic characterizations tests. These tests included various input intensities, multi-component excitation. Behavior of the new smart base isolation system is compared with that of linear isolation systems with both nonlinear viscous and bilinear hysteretic energy dissipation mechanisms.
        251.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튜브 구조시스템의 역학적 특징과 거동에 대한 이론과 모델 연구 등을 고찰하고, 단위 모듈 시스템의 적정성, 최적 위치. 최적 형태를 파악하고, 각 부재의 강성증감에 따른 부재 변수를 고려한 복합 튜브 구조시스템을 통계학적인 개념을 도입한 민감도 방법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에서 복합 튜브 구조시스템의 전단지연 현상과 횡적 거동에 대한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고, 또한 그 결 과 치를 이용하여 향후 있을 초고층 복합 구조시스템의 설계와 실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표를 두었다. 연구 결과로는 골조 튜브 구조시스템만으로는 초고층 건물의 횡적 거동에는 효과적으로 대치하지 못하므로, 복합 튜브 구조시스템을 구성하여 횡하중 저항요소로 구성부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검토한 결과, 각 부재 물량대비 가새 부재가 가장 큰 횡적 거동에 대한 영향 요소로 파악되었다. 골조 튜브구조 는 물량대비 보가 기둥보다 횡변위 영향에 미치는 민감도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고, 가새 튜브구조시스템의 경우는 가새가 물량대비 기둥 및 보와 비교하면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52.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거더 형식의 교량이나 슬래브 교량에서는 신축이음장치, 받침, 역T형 교대 및 별도의 접속슬래브 구조를 이루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신축이음부의 빈번한 파손으로 인한 비용증가, 모멘트 재분배가 낮은 구조로 인한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일체식 및 반일체식 복합 교량을 제안하고 구조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단면강성은 작 지만 접속슬래브와 본체 구조가 연속 강결된 다연속‧ 프레임 구조계 형성과 상부구조의 경간과 단면강성의 균형으로 인하여 모멘트재분배와 힘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기존교량에 비해 구조안전성 높은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253.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표적인 저강도 초음파 자극 기술인 음파영동은 초음파의 물리적 진동과 온열 효과를 이용하여 약물을 인체 표피 내부로 전달시키는 기법이다. 음파영동법은 치료 약물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인슐린이나 지질 등 분자 크기가 비교적 큰 약물의 전달에도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음파영동 치료를 위하여 대면적 단일 진동소자와 치료 부위에 약물 이송 기능을 갖는 복합 구조 초음파 변 환기 어셈블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치료 부위의 온도를 상승 및 유지시킬 수 있는 변환기 어셈블리 구조를 제안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환기 어셈블리는 지속적으로 정량의 약물을 제공하고, 가온을 통하여 약물 전달을 보조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음파영동 시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5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 new composite material has been developed and research on structures made of this material is needed recently. In this study, curved composite laminated frame structure with four ply is analyzed using shell elements. There are six angle change cases and maximum vertical displacement with case 2 and 6 which have ±45 degree is smaller than other cases’ displacements.
        25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half-precast composite concrete slab using a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has been tested. To compare with RC slabs, the developed slab can minimize longtitudinal reinforcements and improve crack control through strain-hardening behavior of fiber cementitious composite.
        25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conditional usage of multi-layered waterproofing membrane system is common in large scale spatial structures in the contemporary setting.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limitation of multi-layered waterproofing membrane system applied to the roofing system of large scale spatial structure and examine thoroughly whether such systems are suitable for steel plate concrete or not.
        25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simulate the complex behavior of structures and predict test results. For this, the leading nonlinear model ‘Bouc-wen model’ was used, and rubber bearing and MR-damper were investigated. While seismic load was being applied, complex behavior of continuous structures was simulated. To test simulation performances, in addition, a seismic response test of the model structure was conducted using shaking table. Then, each structure’s displacement data were compared to simulation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nonlinear model-based simulation results were mostly matched with test results, and they are applicable to the prediction of test results.
        25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C wall gird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s to enhance performance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strength, Load-displacement relation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under the monotonic load tests.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induced positive moment at connection was steel plate separation from concrete in SPC Wall.
        26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performances of adopted MR-damper to control the complex behavior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independent continuous structures. For this, MR-damper (30kN) was designed and fabricated, and the MR-damper model was investigated using the Nonlinear Bingham Plastic Damper (NBPD). To assess experimental performances, a control test on the model structure was performed while El-centro 150% of seismic load was being applied. Then, MR-damper was placed between two independent structures to have it control independent displacement and complex behavior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is study found that MR-damper is effective in controlling complex behavior of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