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9

        24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stocking rate of earthworm populations grown under different stocking rates. The stocking rate in terms of ratio of biomass of earthworms to biomass of feeds(organic resources) is an important factors for biomass productivity of earthworms and vermicast production. The different stocking rates were 1:16(S-1), 1:32(S-2), 1:48(S-3) and 1:64(S-4), as the ratios of biomass of earthworm to biomass of organic dairy cow manure, respectively. The stocking rate of 1:32(S-2) and 1:46(S-3) were obtained a higher values on increasing rates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earthworm biomass than other stocking rates. Thus, a stocking rates of 1:32 and 1:46 estimated an optimal stocking rates for maximum biomass productivity of earthworms. A stocking rate of 1:16(S-1) showed a significantly highest values of vermicast production and ratios of vermicasts during the rearing periods.(P≦0.05) A stocking rate of 1:48(S-3) showed a highest values of the number of cocoons and vermicasts production per earthworm biomass among the treatment (P≦0.05) The contents of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able cations of vermicasts tended to increase with stocking rate and rearing progressed. Vermicasts have a great deal of potential for crop production and protection in sustainable organic cropping systems.
        242.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돔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고급 해양 어류로서 각광받고 있는 어종이다. 일본은 참돔 양식의 역사가 길고 고품질 상품어 생산 기술이 앞서 있어 매년 많은 양이 우리나라에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Greglutz, 2001). 우리나라에서는 수입되는 일본산 참돔 중 일부를 친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생산된 종묘를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사육하고 있다. 그러나 참돔은 온수성 어종으로서 해수온이 10℃이하로 낮아지는 겨울철 저수온기에는 성장이 극히 저하되고 대량 폐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참돔의 저수온기의 사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참돔 네 계통은 일본 양식산 계통(JPN)과 한국산 선발계통(KORDI, Noh et al., 2003)을 친어로 사용하여 교배를 통하여 생산하였다. 저수온기 후 생존율 조사는 2년에 걸쳐 0세어와 1세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산된 종묘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통영 MRC 해상가두리(6m×12m×6m)에 각 계통의 전체 마리수를 계수한 후 혼합 입식하였으며,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수온기가 끝나는 다음해 5월에 생존 마리수를 계수하였다. 그리고 해상 사육 중인 계통별 건강도는 11월, 4월, 6월 그리고 9월에 KK, JJ 그리고 JK 계통을 대상으로 혈액학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어가 0세어인 첫 번째 저수온기의 최저 수온은 7.2℃, 두 번째 저수온기(1세어)의 최저 수온은 7.5℃였다. 첫 번째 저수온기가 끝난 후 KK 계통을 기준(=1)으로 구한 상대 생존율 값은 KJ 계통 1.10(86.4%), JK 계통 1.20(94.3%) 그리고 JJ 계통 0.22(17.2%)였다. 두 번째 저수온기가 끝난 후 상대 생존율 값은 KJ 계통 1.03(88.5%), JK 계통 0.97(83.8%) 그리고 JJ 계통 0.96(83.2%)이었다. 건강도를 판정하기 위한 혈액학적 분석 결과, KK 계통은 저수온기를 지나 수온이 상승하는 시기에 다른 계통에 비해 조혈 기능이 유의하게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JK 계통은 수온 변동에 따라 조혈 기능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에너지원 이용률, 체내 지방 및 단백질 찌꺼기 제거 능력에 있어서는 KK 계통이 모든 수온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JJ 계통은 저수온기에 신장 기능의 활성도가 매우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중 수온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일본에서 도입된 참돔 계통의 건강도는 양호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저수온기에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243.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줄가자미 Clidoderma asperrimum는 가자미과에 속하는 어류로 육질이 담백하고 탄력이 있어 고급횟감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어획되는 것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이 어종의 양식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줄가자미의 생리․생태에 관한 기초 생물학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생식소발달 및 생식주기 등 번식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사육한 줄가자미를 대상으로 생식소발달 및 생식주기 등을 조사하여 이 어종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암컷과 수컷 줄가자미의 평균전장은 각각 33.6±0.4, 29.6±0.2 cm, 평균체중 551.5±23.6, 345.5±7.4 g으로 12월부터 익년 8월까지 매월 암수 각각 12마리씩 채집하였다. 줄가자미의 생체지수는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비만도(condition factor: CF)로 나타냈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난소 및 정소의 일부를 Bouin 용액에 고정하여 조직표본을 제작, 고정된 조직 시료를 파라핀상법에 의해 처리 후 H-E 이중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암수 각각의 개체로부터 채혈한 혈액은 원심분리하여 혈중 testosterone(T), 17,20-dihydroxy-4-pregnen-3-one(17α-OHP), estradiol-17β(E2) 및 11-ketotestosterone(11-KT)를 측정하였다. 줄가자미 암컷의 GSI는 5월에 6.91±4.0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컷은 8월에 0.16±0.0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HSI는 암컷과 수컷 모두 7월에 각각 0.75±0.06, 1.34±0.48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CF 역시 암수 모두 7월에 각각 10.14±0.42, 11.54±0.26으로 가장 낮았다. 줄가자미의 생식주기는 암수 모두 12~2월 성장기, 3~4월 성숙기, 5~6월 완숙 및 산란(방정)기 그리고 7월 이후 회복 및 휴지기로 나타났다. 암컷 줄가자미의 혈중 T 농도는 5월에 259.38±76.82 pg/mL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17α-OHP 농도는 4월에 244.17±42.47 pg/mL로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E2 농도는 5월에 633.26±182.48 pg/mL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수컷의 혈중 T 농도는 2월과 4월에 각각 255.92±57.16, 254.72±44.75 pg/mL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7월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231.0±45.97 pg/mL의 높은 값을 보였다. 11-KT 농도는 4월에 273.92±54.50 pg/mL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여 6월에 108.64±42.28 pg/mL로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7월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여 8월에 246.33±73.80 pg/mL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혈중 T 농도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17α-OHP의 농도는 실험기간동안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4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in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and thigh muscle of old laying hens as transferred from cage to backyard rais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sing old laying hens to producer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s. Overall, percentages of un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breast and thigh muscle with cage and backyard raising system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 For breast muscle,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between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in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PUFA:SF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mparison with cage rearing systems (P<0.05). No differences (P>0.05) were detected between both rearing systems for MUFA, PUFA, and PUFA:SFA ratios with thigh muscles. SFA in thigh muscl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ge rearing systems compared with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nclusion, using breast and thigh muscle meats from old laying hens as functional foods or investigating impact assessment on the improvement of farm management system may serve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to encourage producers.
        245.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growth of rye, triticale with legume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order to select the appropriate forage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he results, Rye+Red clover showed 5.2ton/ha of dry matter yie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Red clover and Rye in upland field. In paddy field, Rye+Hairy vetch showed 5.2ton/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Hairy vetch and Rye. Mixture effects with Rye, Triticale and Red clover, Hairy vetch by relative yield were more than 1.00 compared to monoculture, and their mixture effect was recognized in upland and paddy field. Relative feed value was highest in the applications of Triticale mixture in upland and paddy field. The average value of KCP and KTDN showed the highest one as 2.75head/ha/yr in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2.84head/ha/yr in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winter forage crops for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erms of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246.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growth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by use of various organic fertilizer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the results,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poultry manure showed 93.6ton/ha, 19.6ton/ha, 1.12ton/ha, 11.31ton/ha of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CP)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application of poultry by-product compost (poultry manure with sawdust) and swine by-product compost (swine manure with sawdust). And the average value of Kcp and Ktdn showed the highest one as 9.45head/ha/yr in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poultry manure. However, organic matter content of fermented poultry manure to the lower portion of 32.1% compared to other organic fertilizers could imagine that mineralization of fermented poultry manure was fairly advanced and plant used most of nitrogen in fermented poultry manure, so productivity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was shown more than other organic fertilizers. If other organic fertilizers use continuous, this difference can be considered to be reduced further. As a result, fermented poultry manure is better than other organic fertilizers in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due to the higher content of mineralizable matters. In addition, mixing poultry manure with cow and swine manure is better choice because cow and swine manure will meet a low organic matter in poultry manure.
        247.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핵산 관련 물질 및 유리아미노산 측정을 통한 품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AMP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공급한 사료에 따라서 HxR의 성분에는 유의적인 차이(p
        24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51~5%) 및 지질(9~15%)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EP)와 생사료(MP)를 공급하면서 사육한 양식넙치의 육질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사육실험은평균체 중 106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40마리씩 실험구별로 2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서로 다른 실험 배합사료(EP1, EP2, EP3)와 수입산 상품 배합사료(EP4) 및 MP를 16주간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사료(M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
        24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 proper forage crop, and to estimate the proper level of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livestock per unit area. Corns and forage sorghum hybrids were cultivated with different types of livestock manures and different amount of them to produce organic forage. For both corns and forage sorghum hybrids, no fertilizer plot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annual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than those of other plots, whereas the N-P-K(nitrogen-phosphorous-kalium) plots ranked the highest yields, followed by 150% cattle manure plots and 100% cattle manure plots. DM, CP and TDN yields of in cattle manure plo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no fertilizer and P-K (phosphorous-kalium) plots. The yields of in cattle slurry plots tend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in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Assuming that corn and forage sorghum hybrids produced from this trial were fed at 70% level to 450kg of Hanwoo heifer for 400g of average daily gain, the carrying capacity (head/year/ha) of livestock ranked the highest in 150% cattle slurry plots (mean 6.0 heads), followed by 100% cattle slurry plots (mean 5.3 heads), 15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4.7 heads), 10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4.4 heads), and no fertilizer plots (mean 2.8 heads) in corns (or the cultivation of corns). Meanwhile, in the case of forage sorghum hybrids, 150% cattle slurry plots (mean 6.4 heads) ranked the highest carrying capacity, followed by 15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4.8 heads), 100% cattle slurry plots (mean 4.4 heads), 100% composted cattle manure plots (mean 4.1 heads), and no fertilizer plots (mean 2.8 hea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to cultivated soil could enhance not only DM and TDN yields, but also the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livestock as compared with the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s. In conclusion, the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with reutilized livestock manure will facilitate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p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resource circulating system.
        250.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such as hairy vetch or forage pea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winter forage crops, and to obtain organic forages together with higher soil fertility.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7 treatments, which were non-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containing phosphate and potassium: P+K), chemical fertilizer (containing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N+P+K), organic fertilizer, cattle slurry,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ture with hairy vetch),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ture with forage pea) plots. Each treatment was triplicates, and seven treatments were alloca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For whole crop barley or its mixture crops, annual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of N+P+K plo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ther plots except for cattle slurry plots. The CP content of barley or its mixture crop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N+P+K plot (9.8%) and mixture plots with legumes (8.6~9.7%)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As 450 ㎏ Hanwoo heifers were fed diets included 70% whole crop barley or 70% mixture crops with legumes, mixture plots are capable of raising average 1.7 to 1.8 heads/ha a year. For rye or its mixture crops, annual DM, CP, and TDN yields represented 6.9∼7.1, 0.5~0.6 and 4.3~4.4 ton/ha, respectively. The N+P+K plot contained 10.8% CP, which was higher (P<0.05) than all other treatments. In case of 450 ㎏ Hanwoo heifers fed diets included 70% rye or 70% mixture crops with legumes, mixture plots can rear average 1.9 heads/ha a year. When it was considered based on crop yield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applying cattle slurry to whole crop barley or rye had the comparable yields and feed values to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Moreover, whole crop barley and rye within cattle slurry plots had a greater combination with hairy vetch and forage pea, respectively, and their mixture crops with legumes had high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within cattle slurry plots. In conclusion, it would be expected that mixed sowing with legumes in the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to grass crops could be substituted for imported organic grains as dietary protein sources in feeding organic livestock.
        25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Alpha PlusⓇ (AP)+Dried Foxglove Powder (DFP))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broiler chicken raised under low or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s. A total of 240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composed of ten birds in low density stocking groups and thirty birds in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The four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C1 (low density without AP and DFP); T1 (low density with AP 0.2% and DFP 0.03%); C2 (high density without AP and DFP); T2 (high density with AP 0.2% and DFP 0.03%). The feed intake of the high density stock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ow density stocking groups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p<0.05). The body weight of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was lower than that of low density stocking groups (p<0.05). The decrease of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in growing stage (7~25day) under the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 seems to be recovered in final stage (26~34day). Meanwhile dietary supplementation of AP+DFP in low and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tended to have higher daily body weight gain than control groups.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treat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oriental herb extracts (AP+DFP)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eed additive resources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activity in broiler chickens.
        252.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강도다리의 우수한 삼투압조절 능력을 이용하여, 염분변화시 강도다리의 생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Kim et al., 2008)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하해수를 이용한 양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지하 해수 사용이 가능한 제주도를 제외한 동해안과 남해안 지역에서는 발전소 및 조선소 등의 온배수에 의해 급격한 수온상승이 일어나거나, 냉수대로 인해 수시로 수온 급강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담수역에 가까운 곳일 경우, 담수의 유입이나 장마철 폭우로 인해 염분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수온변화와 염분변화는 사육중인 강도다리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어체의 성장, 번식, 대사, 삼투압조절 등 어류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시켜 양식 생산성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담수와 해수에서 적응시킨 강도다리를 사용하여 급격한 수온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220ℓ의 지수식 원형 사육수조에서 해수(34 psu)로 사육 중인 강도다리 치어(평균체장: 15.4±1.2 ㎝, 체중: 76.9±18.2 g) 112마리 중 55마리는 담수순화시켜 담수에 수용하고 나머지 57마리는 해수에 두었다. 담수와 해수에서 사육한 강도다리를 자동수온조절시스템(JS-WBP-170RP, Johnsam Co., Korea)이 부착된 40ℓ사각수조에 각각 50마리씩 수용하였으며, 24시간 안정시켰다. 이후 수온을 1℃/day로 30℃까지 수온을 상승시키고, 10℃까지 수온을 하강시켰다. 실험어로부터 heparin sodium 처리 주사기(1 ㎖)를 사용하여 마취없이 미부혈관에서 30초 이내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실험어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기 이전에 공급한 먹이가 어체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채혈 24시간전부터 절식시켰다. 혈액은 수온상승시 20, 25, 30℃에서, 수온하강시 20, 15, 10℃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원심분리(5,600×g, 5분)하여 얻은 혈장은 분석전까지 -72℃에 보관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Donaldson (1981)의 방사면역측정법(RIA)에 따라 cortisol RIA kit (DSL, USA)로 항원과 표지항원이 항체에 경쟁적으로 반응하도록 유도한 다음, Hewlett Packard Gamma Counter (Cobra Ⅱ 5010, Packard Co., USA)로 측정하였다. 혈장 글루코스, Na+, K+, Cl- 농도분석을 위하여 생화학자동분석기 (Advid 1650, JEOL Co., Japan)를 사용하였다. 혈장 삼투질농도는 micro-osmometer (3MO plus, Advanced Instruments Inc.,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기간중 담수와 해수에서 혈장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인 20℃에서 12.0±3.1 ㎍/㎖와 12.5±1.8 ㎍/㎖였다. 20℃에서 10℃까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30℃에서 담수와 해수강도다리 모두 93.6±4.4 ㎍/㎖와 87.0±2.8 ㎍/㎖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해수에 비해 담수강도다리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글루코스 농도는 실험개시시 담수와 해수강도다리에서 각각 33.2±3.8 ㎎/㎗와 35.1±3.8 ㎎/㎗였다. 20℃에서 10℃의 경우, 담수에 비해 해수강도다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20℃에서 30℃까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담수강도다리의 글루코스 농도는 cortisol과 같이 30℃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해수강도다리의 글루코스 농도는 20℃에서 10℃로 수온이 낮아 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고 30℃로 증가할 때는 cortisol과 같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혈장 Na+ 농도는 실험개시시 담수강도다리 97.1±2.5 mEq/ℓ, 해수강도다리 122.6±10.3 mEq/ℓ로 실험기간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담수에 비해 해수강도다리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혈장 K+ 농도는 담수강도다리에서 3.0±0.1 mEq/ℓ, 해수강도다리에서 3.2±0.2 mEq/ℓ였으며, 실험기간 중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Cl- 농도는 담수강도다리에서 99.9±4.7 mEq/ℓ, 해수강도다리에서 106.7±4.3 mEq/ℓ였으며 Na+와 K+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담수와 해수강도다리 삼투 질농도는 담수강도다리에서 280.8±8.3~286.2±11.2 mmol/㎏으로 337.3±6.3~350.4±5.2 mmol/㎏의 해수강도다리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온별 삼투질농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53.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n et al.(2005)의 연구에서 담수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장과 생존율이 해수사육 감성돔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병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볼 때, 담수환경은 감성돔의 생리상태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논의된 바 있다. 강도다리의 경우, 저염분 순화시 생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Kim et al., 2009)가 이루어져 저염분 사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현재 제주도에서 지하해수를 이용하여 양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강도다리의 염분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만 단기간 조사한 연구결과를 양식현장의 사육관리 기술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수어류인 강도다리의 성공적인 저염분 양식기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4개 염분조건에서 장기간 사육하면서 스트레스 반응, 생존율 및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300ℓ의 유수식 원형사육수조에 0, 10, 20 및 35 psu로 염분을 맞추어 각각 20마리씩의 강도다리를 수용하여 90일간 3반복으로 사육하였다. 각 염분에 있어서 실험어의 체중±표준편차는 266.6±0.4, 267.1±0.4, 266.6±0.2 및 266.8±0.5 g이었다. 수온은 15∼16℃를 유지하였으며, 사육수는 1일 20회 환수되도록 유수하였다. 사료는 1일 어체중의 2%를 3회로 나누어 공급하였다. 혈액은 실험개시시, 30, 60 및 90일째에 채취하였다. 채혈은 heparin sodium을 처리한 주사기(3 ㎖)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수조에서 5마리 씩 30초 이내에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5,600×g, 5분)하여 얻은 혈장은 분석전까지 초저온 냉동고(-72℃)에 보관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Donaldson (1981)의 방사면역측정법(RIA)에 따라 cortisol RIA kit (DSL, USA)로 항원과 표지항원이 항체에 경쟁적으로 반응하도록 유도한 다음, Hewlett Packard Gamma Counter (Cobra Ⅱ 5010, Packard Co., USA)로 측정하였다. 혈장 글루코스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생화학 자동분석기(Advid 1650, JEOL Co., Japan)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구의 강도 다리 성장도는 3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으며, 전장은 버니어켈리퍼스를, 체중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1/10 g까지 습중량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기간중 각 실험구에서 매일 폐사개체를 파악하여 폐사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생존율을 역산하였다. 실험개시시 혈장 cortisol 농도는 0 psu 6.2±2.0 ㎍/㎖, 10 psu 9.2±3.5 ㎍/㎖, 20 psu 7.7±1.4 ㎍/㎖, 35 psu 10.4 ±1.7 ㎍/㎖였다. 10, 20, 35 psu에서는 실험종료시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0 psu에서는 실험개시후 30일째에 116.5±19.2 ㎍/㎖, 60일째에 168.4±15.6 ㎍/㎖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90일째에 67.4±11.8 ㎍/㎖로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0 psu에서 사육한 강도다리가 비록 실험종료시에 cortisol 농도가 다소 낮아지는 경향은 나타내긴 하였지만, 90일간 연속적인 염분스트레스를 받아 이온평형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글루코스는 실험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각의 염분에서 사육한 강도다리의 체장은 실험개시시 21.1±0.7 ㎝, 21.2±0.5 ㎝, 21.2±0.9 ㎝ 및 21.3±0.5 ㎝에서 실험종료시 21.8±0.1 ㎝, 22.8±0.4 ㎝, 23.1±0.3 ㎝ 및 22.7±0.4 ㎝로 성장하였다. 체중은 실험개시시 266.6±0.4 g, 267.1±0.4 g, 266.6±0.2 g 및 266.8±0.5 g에서 실험종료시 257.1±8.3 g, 328.6±14.3 g, 353.1±2.2 g 및 367.9±9.8 g으로 자라남으로써, 0 psu에서 사육한 강도다리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구 모두에서 실험개시시보다 체중이 증가하였다. 실험종료시 모든 실험구에서 생존율은 100%로 폐사한 개체는 없었다.
        254.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용 양식품종인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은 돌조개 목 (Order Arcoida) 돌조개 과 (Family Arcidae)에 속하는 종으로써, 같은 과에 속하는 꼬막, Tegillarca granosa과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중간크기이다 (Kwon et al., 2001). 새꼬막이 국내 연 총생산량은 많게는 3,000 톤 가까이 되지만, 종패의 수급에 있어 주로 자연채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양호한 채묘율을 기대할 수 있다. 새꼬막에 관련된 연구는 수온과 염분 등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Nakamura, 2005; Shi et al., 2007; Fang et al., 2008), 생식주기 (Kim et al., 2008), 유생분포 (Kim et al., 2006), 채묘와 성장 (Lim and Hur, 2010) 등 그 보고되고 있지만, 꼬막에 비해 많지 않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인공성숙 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꼬막의 성패를 이용하여 성 성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수온 상승만으로도 생식소의 발달 및 정상적인 난 발생이 진행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새꼬막의 크기는 각장 31.81±2.21 ㎜, 전중 9.87±1.94 g이었으며, 전라남도 고흥군의 여자만에서 채집하였다. 사육기간은 28일 간이었으며, 대조구는 일반수온으로 설정하였고, 가온구는 매일 0.5℃씩 수온을 상승시킨 후 20℃가 되는 시점에서 일주일간 수온을 유지하였다. 먹이는 Isochrysis galbana, Chactoceros calcitrans, Tetraselmis tetrathele 3종의 미세조류를 혼합하여 1 ton 수조에 3시간마다 200ℓ (5,000~6,000 cells/㎖)씩 자동급이장치에 의해 공급하였다. 매일 사망개체를 파악하여 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7일 간격으로 채집하여 성비, 생식소발달 및 생식소지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온성숙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간출자극에 의한 산란유발을 실시한 후 정상적인 난발생이 이루어지는지 관찰하였다. 연구 종료 후 관찰된 새꼬막의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성비는 암:수의 비가 대조구는 1:0.97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가온구는 1:0.62로 암컷이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대조구와 가온구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수온 17℃ 이상부터 증가폭이 높게 나타났다. 생식소발달빈도는 암․수 모두 대조구의 경우 발달이 느렸으며, 가온구는 수온 20℃인 사육 21일부터 28일 사이에 성숙기에 도달한 개체들이 80% 이상 관찰되었다. 생식소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 26℃ (32‰)에서 새꼬막의 수정란 크기는 직경 63.17±1.22 ㎛였으며, 수정률은 82.17±3.55%였다. 부화율은 63.57±2.36%였다. D형 유생의 발생소요시간은 수정 후 약 15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크기는 각장 82.85±0.87 ㎛, 각고 72.65±1.07 ㎛였다.
        25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ttempt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forage legume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10 forage legume crops suitable for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the results, red clover showed fresh matter yield 38.6 ton/ha, dry matter yield 7.8 ton/ha, crude protein yield 1.0 ton/ha,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yield 4.6 ton/ha, its fresh matter yield,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yield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other species. The value o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acid detergent fiber(ADF) were getting higher by the late harvest time then galega and cicer milkvetch were the highest and yellow suckling clover was the lowest value. Relative feed value(RFV) showed good feed values above 100 except cicer milkvetch and galega. In terms of feed grading, yellow suckling clover, yellow blossom sweet clover, crimson clover, hairy vetch were classified into 1st grade, above 151%. The average stock carrying capacity was yet high Kcp(2.18 head/ ha/yr), KTDN(1.25 head/ha/yr) and K(0.04 head/ha/yr). Especially, red clover had the highest stock carrying capacity, Kcp 6.84 head/ha/yr, KTDN 3.64 head/ha/yr and K 0.05 head/ha/yr. According to results, red clover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rops for the central region, in terms of qual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256.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사육조건이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유도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봄철 salmon pituitary extracts(SPE)을 이용하여 성성숙 유도 예정인 양식산 암컷 뱀장어 친어를 8주의 겨울철 사육기간 동안, 4개의 사육환경(해수저온, ; 해수고온, ; 담수저온, ; 담수고온, )에 각각 순치하여 사육하였다. 그 후 각각의 실험구의 뱀장어를 해수 로 이동하여 SPE를 매주 1회 8주 동안
        25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forage crops proper application levels of livestock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for organic livestock, as influenced by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levels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 to corn and sorghum × sorghum hybrid, in order to produce organic forages by utilizing livestock manure. For both corns and sorghum × sorghum hybrids, no fertilizer plots had significantly (p
        258.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and three each treatment was 300. Eggs were collected at every weeks for measuring egg production and week 26, 27, 28 for chemical analyses. Chemical analyses were done for fatty acid profile of egg yolks, amino acid, antibiotics residue in eggs(collect eggs after supplying OTC 21ppm/bird/day to control for four day at 26, 27, 28) during the laying period(19~77 wk). On 0~4 week, T-3 showed higher feed intake than those fed the other diets and on 5~13 wee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 among treatments. After birds were moved (14~18 wk) CT-3 showed highest, but for overall rearing period,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mixed herbal medicine did not tended to influence palatability to rearing birds. Egg quality(egg yolk color, haugh unit, eggshell breaking strength) showed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mg/100g)/saturated fatty acid (mg/100 g) was no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but linolen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DHA)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treatments showed higher then control. The antibiotics residue of CT, T treatments egg was not detected and control was not detected or below allowance. In conclusion the mixed herbal medicine can be possible to feed laying hen without antibiotics.
        259.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chicks and there were three treatments of each 300 chicks. The 4 treatments were as follows: the mixed herbal medicine 0.1%(T-1), 0.3%(T-2) and 0.5%(T-3) after removed antibiotics on commercial feed and commercial feed(control) from 5th week to 13th week,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and from 14th week to 18th week. Each 100 hens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0.1%(CT-1), 0.3%(CT-2) and 0.5%(CT-3) were moved to cage. Body weight were measured on 4th, 8th, 13th week and feed intake, mortality were measured on every weeks. Body weight at fourth week, all treatm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and T-3 statistically was highest(p<0.01). On 8th week, also treatments statistically high and T-1 was highest(p<0.01). But 12th week,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hat the mixed herbal medicine substitute for antibiotics after vaccination.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overall rearing period. Early laying period(19~41w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107.1g) among treatments, later laying period(42~77wk), T-1 showed highest feed intake(134.3g) and was not any different among each treatments.
        260.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urve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tain and apply the basic information on levels of raising skill, recognition of mutual infection between animal and human field of skill training, registration of animal pedigree, mating places, difficulties of raising, channel of marketing, and prospects of raising by socio-ecological status. Data were randomly gathered from 713 peoples, who composed of 398 men and 315 women, from March to August, 2005. As the results,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at relatively 'the level of breeding skill is middle(43.9%)'. The average score for skill level is 1.81±0.79 when 4 points were used as a full mark. The recognition of mutual infec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is answered that 'many respondents don't know very well(62.6%)'. The questionnaire answered largely that 'the field of raising skill training is trimming and grooming(29.2%)'.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he pedigree registration of pet is not essential(52.7%)'. The pet breeders answered that 'the mating for reproduction was conducted mainly in pet shops(34.3%)'. The breeders indicated mostly that 'the difficulties of raising were technical skills of raising(53.5%)'.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deal of marketing of animal was mainly achieved through neighbors and close relatives(42.8%)'. The many questionnaires were recognized that 'breeders have a good prospect for the pet industry in the future(51.5%)'.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