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0

        247.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남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성암들은 태평양(Pacific)판의 섭입에 의해서 야기된 활발했던 백악기 화성활동의 산물이다.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성인과 지구조환경을 유추하여 보았다.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칼크-알칼리(calc-alkaline)계열로, 분화에 따른 주성분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분화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각 암체의 분화경향이나 화학조성을 살펴볼 때 각 암체의 마그마 근원물질은 서로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복내지역 동교리 부근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DGd)은 연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른 화강암류와 비교하여 Al2O3, MgO의 함량 및 분화에 따른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Ba, Sr, Pb, Ni, Cr, Y등 미량원소의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동교리 화강섬록암(DGd)의 지화학적 특징은 높은 Al2O3, Sr 함량과 높은 Sr/Y La/Yb 비를 가지며, 낮은 Y과 Yb함량과 같은 슬랩용융(slab-melting)으로 생성된 아다카이트에서 흔히 관찰되는 지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함량을 살펴보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은 아다카이트의 판별도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Sr/Y vs. Y 관계도에서 호상열도형ADR(Island Arc Andesite, Dacite, Rhyolite)영역에 도시되는 다른 백악기 화강암류들과 명확히 구분되어 아다카이트 영역에 잘 도시된다. ANK vs. A/CNK과 지구조판별도에서 화강암류의 모마그마는 I-type의 화산호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응력이 작용하는 대륙연변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종합하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의 아다카이틱한 특성은 섭입슬랩의 용융(해령 섭입에 의한 열로 생성)에 의하여 생성된 마그마와 맨틀 페리도 타이트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상승하는 동안 지각물질과의 동화작용 등 복합적인 과정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100원
        24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등균류 중 진균류(Eu m y c e t e s )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에 속한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 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 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의 효능 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 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다당류에 의한 항암효과 및 항바이러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물은 항 산화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세계 적으로 식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 자실체 추출물을 분석하 여, 성인병 예방 및 면역증강에 관련된 물질을 분석하였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 법을 통하여 진행되어 ‘가을 수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 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 식품에 존재하는 영양성분 중 의 하나인 페놀류(polyphenol)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를 Folin ciocalteu 방법을 통한 실험결과 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 는 β-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 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 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 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실험부분에서는 ACE 저해활성 측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고혈압의 치료제 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근경색의 발 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 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봄수확 동고갓’에서 비교적 높은 ACE 저해활성능 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 을 이용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봄수확 동고갓, 자루’에 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표고버섯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효과 및 면역력증강, 혈장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근거로 의약품 개발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응용을 한다면 그 부가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24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5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by Chinese people in Shandong Province was evaluated.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id in the introduction of Kimchi to China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local types designed to meet regional taste preference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298 Chinese (male 108, female 190) residents of Weihai, Yantai and Qingdao,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 subjects were provided with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m designed to evaluate their views on Korean Kimchi.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AS software pack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95.3%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Korean Kimchi. In addition, 100% of the respondents who had visited Korea and 98.1% of the respondents who had an interest in Korea were aware of Kimchi. With regard to the origins of their interest in Kimchi, 26.8% of the subjects answered 'through mass media', while 23.9% reported that they learned about Kimchi 'through friends'. Most subjects recognized Kimchi as a 'Korean traditional food' (92.6%), a 'delicious food' (53.2%), and a 'fermented food' (38.0%). Baechu Kimchi was found to be the most well-known Kimchi, followed by Kkakdugi, Oi Kimchi, Yoelmu Kimchi and Nabak Kimchi. Additionally, 69.1% of the subjects knew how it was prepared, most of whom reported that they learned how Kimchi was prepared through 'Korean movie and/or drama'. Moreover, 88.9% of the subjects had eaten Kimchi. Overall, 43.8%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ate Kimchi 1~2 times per month, while 32.1% reported that they ate Kimchi 1~2 time per year. The most common places that Kimchi was eaten were a 'Korean restaurant' (67.6%) or with a 'colleague' (32.8%). The primary reasons for not having eaten Kimchi were 'no knowledge or dislike of Kimchi by family' (30.3%), 'difficulty purchasing Kimchi' (21.2%), 'high priced Kimchi' (21.2%), and 'dislike the smell and shape of Kimchi' (12.1%).
        4,300원
        25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대표적인 장석광산인 제천장석 광산과 부여장석 광산 모암의 암석학적 특성을 통하여 국내 장석광의 성인 및 광산유형을 분류하였다. 제천장석 광산은 거정질의 K장석을 함유한 반상화강암이 풍화되어 잔류물로 나타나는 거정질 K장석이 채취대상이 되는 전형적인 풍화잔류 광산이고 반상화강암의 형성 온도-압력은 840˚C, 5Kb를 나타내며 거정질의 K-장석은 변성기원이 아닌 화성기원이다. 반면 부여장석 광산은 우백질 화강편마암이 주변의 흑운모화강암의 관입으로 열수용액에 의한 교대변질 광산으로 순수한 알바이트 장석과 부수광물로서 석류석, 견운모가 나타나며 치밀하게 재결정화된 광물조직이 특징이다.
        4,000원
        253.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sport-club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re were two factors defining sport-club participation : the type of sports event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6,000원
        25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조사하고,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분석과 Scheffé검증을 하였으며,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사이의 성인여성 436명이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미디어접촉도는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입과 직업유무는 의복가치관의 어떠한 하위변인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의복가치관은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4,800원
        25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food involvement on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health, mood, sensory appeal and eight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vegetable consumption. Moreover,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and weight control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volvemen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food involvement, health, mood, convenience, sensory appeal, weight control and vegetable consum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vegetable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alidated in future research. Other variables, such a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may be incorporated to form vegetable consumption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25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eline data of nutritional management for women's bone health according to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bone mineral density(BMD) measurement by DEXA and dietary survey by 24hr recalls to 134 adult wome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young women group who aged 20-29(n=48), middle aged women group who aged over 30 and were pre-menopause(n=36), postmenopausal women group(n=48). The body fat percent of postmenopausal women group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BMD of lumbar spine(L1-L2) were 0.93 g/cm2 for young women, 0.97 g/cm2 for middle aged women, and 0.88 g/cm2 for postmenopausal women, respectively(p〈0.05). BMD of femoral neck(p〈0.05), trochanter(p〈0.05), and ward's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age increasement. Drinking alcohol and skipping me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however frequency of doing regular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young women groups. Young women group consumed the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ereals(p〈0.05), sugar and sweeteners(p〈0.001), meats(p〈0.01), eggs(p〈0.01), milks(p〈0.05) and oils(p〈0.001) than middle aged and postmenopausal women. Also, energy(p〈0.001), animal protein, (p〈0.01), plant oil(p〈0.001), animal fat(p〈0.001), retinol(p〈0.001), vitamin E(p〈0.01), and cholesterol(p〈0.001) intakes of young women wer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young women group consumed the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dietary fiber(p〈0.05), vitamin C(p〈0.01), folate(p〈0.05) and fruits(p〈0.01) than the other groups. To summarized the our results, young women who were in still undergoing bone formation activity to develope peak bone mass, had more dietary habit and lifestyle problems than middle aged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bone health should be emphasized in young women not only aged women.
        4,000원
        25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감각 처리 질문지인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ASP)을 사용하여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성인에서의 감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2세에서 38세의 건강한 성인 남(160명), 여(190명)를 대상으로 ASP 설문을 실시하였다. ASP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질문지를 완성한 후, 설문지를 대상자들에게 직접 나눠주고 수거하였다. 총 350부 배부하여 300부가 회수되었다(85%의 회수율). ASP 설문의 총 소요 시간은 15분 정도이고, 총 설문기간은 2007년 2월~3월이었다.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는 평균과 빈도 분석을,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평균 점수와 미국 표준치의 차이는 일 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4가지 영역 중 ‘낮은 감각 등록(Low Registration)’, ‘감각 민감성(Sensory Sensitivity)’, ‘감각 회피(Sensation Avoiding)’의 평균 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유사한 성향(Similar to Than Most People)을 나타낸다’에 해당되는 점수 분포였다. 반면 ‘감각 찾기(Sensation Seeking)’의 평균 점수는 평균보다 낮아 대부분의 사람들 보다 수동적인 행동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빈도 분석을 통해 감각처리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응답자의 약 57% 을 제외하고는 감각 처리에 부분적인 문제를 나타내었고, 한국성인의 평균값과 미국 표준치 비교에서도 유의한(p<.05)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기존의 작업 치료에서는 감각 통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아동에 국한되어 강조되어 왔으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일반 성인들에게서의 감각 처리 성향을 알 수 있었고, 한국 표준치 제시의 필요성도 인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한국의 표준치 제시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감각 처리에 문제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26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성인 인지손상 환자에 대한 과제 지향적 활동과 전통적 인지 재활의 중재 결과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7월 2일부터 7월 28일까지 광주광역시 K병원과 C병원의 재활의학과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작업치료실에 의뢰된 성인 뇌졸중 환자 60명을 무작위로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훈련 받은 4명의 작업치료사가 4주 동안 주 5회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LOTCA와 FIM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의 인지기능은 중재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인지기능 중, 지남력(시간), 시지각(겹쳐진 그림, 물체 향상성), 운동실행(물체 사용, 상징적 활동), 시운동 조직력(이차원 구성, 페그보드 구성, 색깔 블록 디자인), 사고 조직력(조각 비구성, 그림 순서), 주의력과 집중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중재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은 두 군 모두 중재 전 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일상생활동작 중, 자조활동(상의 옷 입고 벗기, 하위 옷 입고 벗기, 용변 처리하기), 배변 조절(대변 조절하기), 이동(욕조로 이동하기), 의사소통(표현력), 사회적 인지(사회적 관계능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전통적 인지 재활보다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