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6

        241.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노화의 정도는 기기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해 8000 PPM의 레스베라트릴 트라이아세테이트(RTA)를 함유한 크림의 피부 노화 완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여성 피험자 20명에게 시험 제품을 얼굴에 매일 2회 8주 동안 바르고, 4주마다 기기 분석을 통해 주름, 처짐, 탄력, 진피치밀도, 수분 및 밝기 등을 측정하였다. 시험 제품을 4 주 및 8 주 동안 사용한 결과 총 주름 면적이 감소하고(5.12%, 4.86%), 총 주름 용적이 감소하고(10.53%, 8.41%), 탄력성이 증가하고(2.84%, 3.98%), 진피치밀도가 증가하고(15.65%, 20.80%), 수분이 증가하고(5.83%, 7.37%), 밝기(L* 값)가 증가하 고(0.79%, 1.07%), 피부색(individual typology angle, ITAo)이 밝아졌으며(5.43%, 4.95%), 이들 변화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시험 기간 동안 모든 참가자에게서 부정적인 피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시험 제품의 피부 노화 완화 효과를 뒷받침한다.
        24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신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 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UVB에 의해 증가된 R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sweroside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o develop a new functional agent for cosmetics
        24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root (R. roo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and is important resource for natural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In Korea, various varieties of Rehmannia glutinosa have been developed, and these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variety.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R. root extracts with various varieties (Jihwang 1ho, Goryeo, Daegyeong, Gogang, Togang, Dagang, Wongang, Yeongang, Hwanggang, and Segang). Methods and Results : R. roots were extracted by reflux extraction method with 70% ethanol-water solution at 40℃, and their extracts were used for total phenolic contents,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The total phenolic content,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st in Yeongang, and these values were 11.50 ㎎/g, 9.37 ㎍/g TEAC, and 7.13 ㎍/g TEAC, respectively. However, the anti-aging activity o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treated with doxorubicin was higher in Segang, Dagang, and Goryeo than other varieties, and their senescence ratios were measured at 50.66, 57.16, and 61.36% when treated at 200 ㎍/㎖,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ti-aging activ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R. root extracts were differed according to variety of Rehmannia glutinosa,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activity was not shown.
        24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root (R. roo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and is important resource for natural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However, R. root have catalpol which have bitterness, and undigested sugars, including stachyose, raffinose, and verbascose as main compounds, and these compounds can cause diarrhea and abdominal pain.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reducing sugar producted from undigested sugars and catalpol contents as a bitter taste compound in R. root with aging treatment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 R. root was treated at 10 - 70℃ for 0 - 48 h, and extracted with 50% ethanol solution. Their catalpol content was analyzed using HPLC-UVD, reducing sugar content generated from undigested sugars was measured by the Nelson-Somogyi methods, and these reaction rates were calculated from their variation according to aging time and temperature. During aging treatment,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and catalpol content decreased. Their formation and degradation rates were highest at 50℃ and 30 - 40℃, and their rates were 1.89 ㎎/g·h and 23.09 - 23.33%/h,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ging treatment can positively affect the sweetness and digestibility of R. root slurry. Therefore, aging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he sensory qualities and digestibility of R. root.
        24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 process to predict the maintenance cost for the aging urban infrastructure and to manage the facilities reasonably by establishing the budget execution plan based on prediction. It is anticipated that preemptive maintenance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and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average performance grade of the facility will be improved and the management cost will be reduced through longevity improvement.
        24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atural aggregate exhaustion, several types of industrial waste have been studied for recycling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general, steel slag has been used as aggregate in concrete, however, steel slag has a problem of causing volume expansion by F-CaO.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ansion properties are compared with aging perio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eel slag expansio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expansion of the steel slag decreas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steel slag during aging period. And, the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EAF) had the better reduction in expanding than the Converter Slag(CS).
        24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dge inspection 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its several advantages such as reliability and safety as well as saving time and cost. An unmanned inspection equipment for bridge inspection is composed of UAV and imaging devices such as RGB cameras and infrared cameras. However, many challenging issues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apply this technology to the field. In this paper, an UAV based crack detection method is investigated. To detect the cracks,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s with deep learning algorithm are used. To build the spatial information of aging bridge, 3D point cloud based background model is generated.
        24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마스크 장미 내 고분자 당단백을 bioconversion 기술을 이용하여 저분자화한 다마스크 장미추출물(Rosa damascena extract containing low molecular glycoprotein, RELG)의 항노화 효능을 측 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RELG의 항산화능 평가(IC50)는 22.6 μ g/mL으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21.1 μ g/mL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피부세포실험에서는 15 μ g/mL 에서 자외선과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28% 억제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효소(MMP-1)의 생성을 48% 억제하고 10 μ g/mL에서 대조군 대비 보습인자인 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44%, 중성지질 생합성을 10% 촉진하여 항주름 효능과 더불어 보습효능까지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두피 모유두세포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을 15 μ g/mL에서 10% 억제하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90%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 RELG는 효과적인 항노화 화장품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249.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Zingiber officinale Roscoe, commonly known as ginger, has long been used as a powerful health-promoting antioxidant that supports cellular health of the human bo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samples with aging and fermenta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compared us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also examined using the paper disc method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cidity of the fermented ginger (FG) with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ginger (GG). The content of 6-gingerol, a bioactive component in ginger, decreased in all fermented gingers but 6-shogaol which is also one of the main valuable ingredients showed the increased content at ginger fermented with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acidphilus. Flavonoid contents of the FG and G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0-30% increased in the samples with fermentation (p<0.05), respectively. The samples of the disc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growth of gram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Zinger with fermentation showed highe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us, we conclude that aging and fermentation can be a helpful process to increase the functional effects of ginger.
        250.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ringe tree, Chionanthus retusus (Oleaceae) has been used as a natural remedy that helps a paralytic stroke, dementia, phlegm and mala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by reflux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 80℃, and pressure heating extraction at 110℃, for an increment of their practical use.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was 67.94% extract by pressure heating extraction at 110℃.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compounds was the highest by 72.71 mg/g in 80℃ extract by reflux extraction.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lavonoid compounds was 7.60 mg/g at 110℃ extract. The results of soluble protein and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4.93 mg/g and 46.77 mg/g in 110℃ extract,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l extracts showed an excellent effect of 92% in 1.0 mg/mL concentration. The highest effect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8.67% at 110℃ extraction in 1.0 mg/mL concentrati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as 66.16% at 110℃ extract at pH 1.2 and 1.0 mg/mL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effect of 14.95% and 59.45% at 110℃ extract in 1.0 mg/mL, respectivel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for whitening effect was the highest of 35.31% at 85℃ in 1.0 mg/mL. In the analysis of anti-aging effect,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showed the highest effects of 37.78% at 110℃ and 20.39% at 80℃, respectively. All result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increased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s extracted from the flesh of C. retusus at 80℃ and 110℃ have a large amount of useful ingredients, an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like a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aging effects to develop functional products than those of 25℃.
        251.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252.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통계포털의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 인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가 넘는 고령 인구가 고령사회의 기준인 14%를 넘어 14.3%가 되고 그 비율이 2025년에는 20%, 2031년에는 25.3%된다. 이는 4명 중 1명이 고령자인 현재 일본의 수준이 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독거노인의 비율 7.4%이고, 전라남도의 경우 16.8%에 이르고 있어 고령화 사회의 폐기물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우리보다 앞서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일본이 겪고 있는 고령화 사회의 폐기물 문제는 유품정리 폐기물의 적정처리, 집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의 안전처리, 고령자로 구성된 세대의 쓰레기 배출 서비스 제공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는 독거하던 고령자가 사망할 경우 유품을 후손이 직접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유품정리업체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재도구 등 생활용품을 모두 일괄 수탁 받아 유가물은 선별하여 팔고 잔재물은 쓰레기로 처리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처리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로 일본에서는 집에서 치료를 받거나 인슐린 자가 주사에 사용된 주사바늘이 가정쓰레기와 함께 섞여 배출되어 수집 작업원이 주사바늘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경도는 자체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주사바늘을 약국을 통하여 수집하여 처리하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셋째, 일본에서는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쓰레기를 배출할 수 없는 고령자만 있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중 23%가 이런 세대를 위한 폐기물배출 지원 서비스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고독사 대책과 연계하여 여러 날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 수집 작업원이 안부를 묻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폐기물배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자체 중 73%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우리나라가 앞으로 발생할 위의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는 지에 대하여 검토하여 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253.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modern trends with postponing child-bearing and getting worse living environment in women, an ovarian aging increased pregnancy failure and other complications with menopause or premature ovarian failure. Although several theories have been suggested such as mitochondrial malfunction, DNA damage/repair/methylation, caloric restriction, studies regarding ovarian aging-related molecular mechanisms for development of therapeutic methods are insufficient so far. Our objective is to determine molecular pathways of ovarian aging that result in pregnancy failure and other complications in women health to develop treatment strategies. This study is consisted of two parts: in Phase I stage, we analyzed distinct gene expression profile between young and aged mouse ovaries, and in Phase II stage several pre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both ova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and involved molecular networks related to ovarian aging for development of diagnostic markers and therapeutic methods. Ovaries from 10 week and 11 month-old FVB/NJ female mice with synchronized estrus cycle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A half of each ovary was used for RNA preparation and the other half for histological analysis. Using the Illumina HiSeq 2000 System, pre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identified. Functional annotation database-based gene-set enrichment analyses and Pathway Studio® were employed to evaluate aging-related molecular networks. These findings were confirmed through q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To validate RNA-Seq data, we examined expression patterns of marker genes (Amh, Bmp15 and Nobox) that were wellknown to be decreased in ovarian aging process. In young or aged ovary, preferentially expressed 876 genes were identified and extracellular matrix (ECM; p<0.001) and chromatin/nucleosome-related (p<0.001) protein-coded genes have the majority in these genes by GOTERM analysis. Amongthem, we selected several candidate genes and confirmed their expression profiles by q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followed by molecular network analysis. Regarding molecular interactions in these genes, PathwayStudio® was employed to predict aging-involved molecular networks in mouse ovary. Here we report a couple of candidate molecular networks and medicines (chemicals) for targeting these preferentially expressed genes/proteins. Further analyses are scheduled to produce transgenic animal models and with human ovarian tissues/cell lines.
        25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노화와 과제의 정확성 제약이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계획과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건강한 노인 11명을 노인집단으로 그리고 성인 11명은 성인집단으로 구분하여 3가지의 정확성 제약(난이도)을 지닌 Fitts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Fitts 과제는 낮은 정확성 제약, 높은 정확성 제약 그리고 결합된 정확성 제약을 지닌 과제이며, 이 과제는 가상현실을 통해 컴퓨터로 구현되어 물체의 조작이나 외부적인 마찰 없이 움직임 제스처에 의해서 동작을 수행한다. 노화와 과제의 정확성 제약에 따른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계획과 실행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과제 수행에 대한 움직임 시간과 체류 시간을 운동학적 자료로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정확성 제약이 높은 과제를 수행할 때, 노인들의 움직임 시간은 성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류시간에 있어서도 노인들은 정확성 제약이 높은 과제를 수행할 때, 목표 표적에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드러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정확성 제약이 낮은 과제에서는 노인과 성인간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수행 시 노화는 감각정보의 지각 및 통합에서의 지연을 유발하여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수행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5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년층의 신체활동 수준, 노화불안, 노화태도, 우울의 관계를 검증하고, 신체활동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노화불안과 노화태도에 의해서 매개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 1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 관계 확인을 위하여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정한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경로분석으로 가정한 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신체활동 수준과 우울의 관계에서의 노화불안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가정한 연구모형은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체활동을 많이 할수록 노화불안은 낮았고, 노화불안을 매개로 노화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화불안이 높고, 노화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우울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활동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노화불안과 노화태도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장년기 신체활동 수준, 노화불안, 노화태도, 우울의 관계를 규명하고, 장년기의 신체활동 수준과 우울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노화불안과 노화태도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256.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화장품 성분 탐색을 위해 항산화 활성 가이드라인에 따라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가장 효능이 좋은 식물을 발굴하고 이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Charmzone Extract (CZE)로 명명하였다. CZE는 하엽(Nelumbo nucifera leaves), 삼백초(Saururus chinensis) 및 와송(Orostachys japonica)으로 구성된 식물복합추출물로, 본 연구에서는 CZE의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CZE는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간 각질 형성세포주인 HaCaT 및 인간 섬유아세포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하였고,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자극에 의한 산화질소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또한, CZE는 HaCaT의 이동을 촉진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CZE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증 및 상처치유의 다효능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을 통해 피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러 므로 식물복합추출물 CZE는 피부 항노화용 화장품 성분으로 응용 가능하다.
        25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의학에서 승마(Cimicifuge dahurica, C. dahurica), 황련(Coptis chinensis, C. chinensis), 황백 (Phellodendri amurense, P. amurense) 추출물은 해독작용을 하며 후박(Magnol obovata, M. obovata) 추출 물은 항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평가와 DPPH와 ABTS를 이용한 항산 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일 추출물보다 추출혼합물이 더 안전함을 확인 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 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NO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섬유아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보호하면서 type 1 pro-collagen 합성량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 하였다. 또한 추출 혼합물은 melanin 합성과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합성 관련 인자 및 효소들(MITF,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 혼합물은 항노화 및 미백 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25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ing phenomenon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national policy. This aging phenomenon depends o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egions. Also aging phenomen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spatial dep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patial changes in aging population rate and to find local factors of regional aging phenomenon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For spatial analysis of ageing phenomenon, local Moran’s I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ere applied. As the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of aging phenomenon appeared between 2000 and 2005, and most of hot-spot regions (aged regions) were distributed in Jullanam-do and Jullabuk-do. The results of GWR (R-square: 0.681) shows that total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doctor per 1,000 people and forest area rate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ging population rate, but the number of private academy per 1,000 people has negative relation.
        25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선진외국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특성이기도 하다. 특히 1960년대 도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집중화 이래 도시 이주자의 대다수가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한 후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없이 도시에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도심거주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시설에 거주하는 것보다는 현재 의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aging in place에 대한 선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아파트에 도입 된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아파트 거주 노인들의 변화하는 요구인 aging in place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고령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서울 지역 내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 이후 입주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여 고령친화적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성 정 도가 가장 좋은 항목은 신체적 측면 중에서 건강증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구분 없이 비교적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건강관리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전무하였는데 향후 노인들의 도심 아파트 내 aging in place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가건강관리실과 같은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심리적 측면 중 자연접촉 과 심신휴식의 니즈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령친화성 정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시설이 대부분 외부에 위치 했는데 노인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므로 겨울 등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을 접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휴 게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는 전무했다. 특히 교양교육과 취미 여가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낮았다.
        26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탄력섬유의 손상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발현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가에 주름이 형성되기 전에 연령이 증가할수 록 피부 내부에서 피부 노화의 징후가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피부 내부에서 먼저 발생하는 노화의 징후가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의 효능으로 인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눈가에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21 ∼ 34세의 한국 여성 52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에게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외부의 노화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지만 피부 내부에서 노화의 징후가 시작되는 시점을 진피치밀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주름이 관찰되 지는 않았지만, 진피치밀도가 감소하는 연령대에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4주 및 8주 사용한 후에 진피치 밀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이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이 향후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