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0

        26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ltimate strength of carbon steel (SS400) fillet-welded connections with weld metal fracture through monotonic tensile test. Specimens of CTFW series (transverse fillet weld against loading direction), CLFW series (longitudinal fillet weld against loading direction) and CFW series (a combination of transverse weld and longitudinal weld) failed by tensile fracture, shear fracture and block shear fracture, respectively. Test strengths were compared according to welding direction and weld length
        26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환경에서 증가된 콘텐츠 소비 성향에 맞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으로 나타난 브랜디드 콘텐 츠(branded contents)와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소비자 공감, 브랜드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가 브랜디드 콘텐츠에 얼마나 몰입, 관여, 집중하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정성적 지표인 인게이지먼트 속성을 핵심변수로 상정하였으며, 이러한 인게이지먼트 속성이 소비자 공감과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와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 미디어 인게 이지먼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브랜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공감의 경우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의 완전매개를 통 해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스토리텔링에 몰입되어 동일시되면서 브랜드에 자신을 거울처럼 비추는 반응을 통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스토리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통해 자기 실재감을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브랜디드 콘텐츠를 기획, 제작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임을 시사한다.
        264.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중학교 교사 23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학교조직문화요인들 중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적합한 모형이었다. 그러나 수직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만 다문화교수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문화간감수성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중학교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반영한 수평적인 개인주의 또는 집단주의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대해 논의하였다.
        26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 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601교 중 102교, 6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6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는 학교조직 몰입에 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율성은 학교조직문화를 경유하여 학교조직몰입에 정적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었고, 또한 직무수행 준비도, 직무자 율성,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하는 학교조직 환경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수과정 제공, 컨설팅 지원, 교사 공동체 학습 문화 형성, 교사 리더십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사는 학교조직문화에 영향만 받는 수동적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교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능동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66.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설해체공사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원전 제염해체공사에서 구조적 리스크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DOE). 하지만 제염해체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재난재해 및 위험요소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재난 및 재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리스크 역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재난 및 재해 그리고 리스크 분류체계는 작업의 특성(작업프로세스, 활용장비, 작업 위치 등)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실제 해체공사를 위한 매뉴얼로 활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의 건설해체공사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작업의 특성별로 분류한 리스크를 도출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 해체공사 리스크 관리에 필수적으로 판단한다.
        26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 조사 3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감독, 교사-학생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 성취동기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정의 경제자본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교사-학생관계 만족도, 성취동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모감독과 교사-학생관계 만족도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아존중감도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동기는 학업성취에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26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 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 으로서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은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다양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 적합한 진정성 리더십 척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양적연구 이외에 질적연구 및 종단연구 등을 통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진정성 리 더십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 및 확산될 수 있도록 이와 관련한 집합 및 원격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실행되어야 한다.
        26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와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 및 다문화 태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의 구조적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둘째,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와 관련 변인의 영향 관계를 밝히며, 셋째,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의 구 조모형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자기효능감 및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A, B, C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재학생인 청소년 총 840명으로 유의표집을 통해 표집 되었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유효한 733부가 최종 분 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청소년 다문화 행동의도의 구조모형은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을 제외한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다문화 태도 는 다문화 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과적 구 조모형 내에서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다문화 태도를 매개로 다문화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다문화 자기효능감은 다문화 태도를 거쳐 다문화 행동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와 관련 변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함의 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27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lexural test of concrete member damaged due to Calcium leaching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behavior. From the results, yield load, maximum load and flexural rigidity of RC member damaged by calcium leaching were decreased and the depth of the neutral axis was increased.
        27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사회의 인간은 사회화 과정으로 소외를 겪고 있다. 개인의 소외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은 가능할 것인가. ‘인간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근본적인 접근으로 개인의 존엄과 가치관에 주목하였다. 21세기의 디자인은 변화하는 개인의 다양한 가치에 기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나의 방법은 개인의 성장기에 형성되었던 가치관에 관한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다. 또한, 개인의 독창적인 가치를 검증하여 사회화할 필요가 있다. 개인은 사회화를 통하여 자아실현을 이루고, 소외의 문 제도 해결될 것이다. 그리고 관련된 전문가의 융합이 필요하다. 브랜드, 마케팅, 소비자, 기술, 디자인 분야의 조언을 통하 여 가치 모델을 만든다. 개인의 가치 모델을 타인의 공감을 통하여 사회화되도록 디자인을 한다. 그리하여 사회는 더욱 건 전하게 변화할 것이다. 사전 연구를 보강하여 공감디자인 과정 5단계를 세부 25 과정(Process)과 개인의 가치 발견과 독창 성 검증을 위한 2단계 평가 방법(Tool), 관련 전문가들의 융합을 통한 모델(Model), 타인의 공감을 만드는 디자인 체계 (System), 이중 구조적 가치 체계(System)를 제시한다. 연구를 구체화하기 위한 사례로서 7가지의 실험적인 가치를 제시하 였다. 1단계 평가를 기준으로 ‘계단은 만남의 장소가 될 수 있다.’로 사례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나에게 어린 시절 친구들과 함께하던 동네의 계단은 만남과 소통의 장소였다.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과 만남이 절실한 현대인을 위하여 만남의 계단 을 제안하였다. 국가가 공동주택의 공동체 커뮤니티 회복과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순기능을 고려하였다. 노인과 아이가 많은 입주 동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독창적 가치가 있는 마을 공동체 스토리 과정을 제시 하였다. 또한, 개인의 가치를 사회가 수용함으로서 자아실현이 가능하고 사회적으로 다양한 가치가 순환되는 ‘이중 구조적 디자인’을 제시하였 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에서 개인의 독창적 가치에 공감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가치에 대한 공감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고, 같은 가치에 대한 공감의 수단도 다르다. 이번 연구 체계 논문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차 평가의 전체 평점은 3.1이었으나, 2차 평가의 전체 평점은 4.1로 공감을 위한 디자인 접근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 되었다. 앞으로 후속 연구로 많은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인간의 삶에 문제를 이해하면서, 인간 과 사회의 가치 공유를 위한 기초 연구를 하고자 한다.
        272.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심리적 분위기가 스포츠인성에 주는 영향을 규명 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330명(남자=235명, 여자=95명)의 대학생들이며, 측정도구로는 케어링 질문지, 동기분위기 질문지, 그리고 스포츠인성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각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기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다섯 개 하위 요인들(공감성, 공정성, 스포츠퍼슨십, 반사회적 태도, 그리고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구체적으로, 숙달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네 개의 하위 요인들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행 분위기는 반사회적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포츠인성의 다른 하위 요인들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케어링 분위기는 스포츠인성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스포츠퍼슨십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적합도 지수 결과, 본 연구 모형은 좋은 모델 적합도를 나타냈다(χ2/df=2.163, TLI=.930, CFI=.943, SRMR=.048, RMSEA=.060). 결론: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분위기의 개념 소개 및 스포츠인성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증명함은 물론 운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심리적 분위기와 스포츠인성과 의 인과 모형 관계를 적절하게 제시했다.
        27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elevated railway station on which track is connected with superstructure of station, structural vibration level and structure-borne-noise level has exceeded the reference level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ich transmits vibration directly. Therefore, existing elevated railway station is in need of economical and effective vibration reduction method which enable trai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In this study, structural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which is applied to vibroisolating material for column member is developed to reduce vibration. That system is cut covering material of the column section using water-jet method and is installed with vibroisolating material on cut section. To verify vibration reduction effect and structural performance for structural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impact hammer test and cyclic lateral load test are performed for 1/4 scale test specimens. It is observed that natural period which means vibra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is shifted , and damping ratio is increased about 15~30% which means that system is effective to reduce structural vibration through vibration test. Also load-displacement relation and stiffness change rate of the columns are examined, and it is shown that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is increased. From test results, it is found that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which is applied to column member enable to maintains structural function.
        27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pplicability of the steel grid composite deck to temporary or building structure is reviewed. structural performance such as flexural strength, and serviceability is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isting deck structures. the result shows that the steel grid composite deck is applicable to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of temporary of building structure.
        27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신을 교과전문가로 인식하는 중학교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3주기 중학 교 데이터(2010년)의 교사 6,357명 자료를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매개효 과 분석,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상대적으로 수업지 도성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학교 풍토 조성’과 교직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덜 긍정 적이었다. 둘째,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 고, 교사의 교수효능감 역시 교직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의 교수효능감은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의 교직만족 제고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위시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27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concerns a measurement of porosity at the nano-fibre interface in concrete. Concrete cast with a centrally located nano-fibre (Ø0.39 × 15.0 mm) was segmented for microscopic observation at a bascattered electron (BSE) im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re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nano-fibre ranged from 5.40 to 11.45%, equivalent to 0.51 - 1.08% of air void in a bulk concrete.
        27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stenitic stainless steels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durability, aesthetic appeal, fire resistance etc. compared with ferritic stainless steels and so especially 304 stainless steels have been utilized widely in the exterior member of building structure. In this paper, ultimate behaviors such as ultimate strength and fracture mechanism of fillet-welded connections with TIG(tungsten inert gas) welding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test results. Main variables of specimens are weld length and welding direction against loading and ultimate strength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27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 남부에 위치한 F 대학교 예비교사 40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 교사헌신 척도, 전문성 지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적합도 지수인 χ2/df=3.07, CFI=.98, RMSEA=.07, SRMR=.03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최종모형에서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전문성 지향성과 교사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전문성 지향성의 중요성을 통한 교사헌신을 교사 양성 과정에서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