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5

        26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역경, 갈등, 실패, 책임감 증대, 혹은 긍정적인 사건들로부터 평정심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되는 회복탄력성이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하나로서 최근 들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군 조직에 적용하여, 병사들의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군 복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 있어 개인적 능력에 대한 믿음의 정도라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전방 지역에서 근무하는 1,034명의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변수로는 조직행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태도 변수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뿐만 아니라 행동 변수인 조직시민행동과 지각된 성과를 추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론모형과 대안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모형을 도출한 후에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원들의 회복탄력성은 그들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Sobel 검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과 군 복무 태도(조직몰입, 직무만족), 그리고 회복탄력성과 군 복무 행동(조직시민행동, 지각된 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5,800원
        26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지식공유 및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있어 팀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광주·전남 지역의 17개 조직 79개 팀 229명의 종업원과 그들의 직속상사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팀 내 지식공유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조직 차원에서 팀 내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해 임파워링 리더십 개발에 힘써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팀 지식공유는 팀 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 내 지식공유는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효능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팀 지식공유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100원
        263.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800원
        264.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MP-2 is a well-known TGF-beta related growth factor, having a significant role in bone and cartilage formation. It has been employed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some clinical trials, and to differentiate mesenchymal stem cells into osteoblas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is protein in its soluble and active form. hBMP-2 is expressed as an inclusion body in the bacterial system. To continuously supply hBMP-2 for research, we optimized the refolding of recombinant hBMP-2 expressed in E. coli, and established an efficient method by using detergent and alkali. Using a heparin column, the recombinant hBMP-2 was purified with the correct refolding. Although combinatorial refolding remarkably enhanced the solubility of the inclusion body, a higher yield of active dimer form of hBMP-2 was obtained from one-step refolding with detergent. The refolded recombinant hBMP-2 induc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mouse myoblasts, at ED50 of 300-480ng/ml. Furthermore, the expressions of osteogenic markers were upregulated in hPDLSCs and hDPSCs. Therefore, using the process described in this study, the refolded hBMP-2 might be cost-effectively useful for various differentiation experiments in a laboratory.
        4,000원
        26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백제로 개발된 레조시놀다이펜틸에터[1,3-di(pentyloxyl)benzene]를 함유 하여 조성 상전이 방법(Phase Inversion Composition, PIC)방법으로 제조된 RS-Nanoemulsion의 경피 흡수 및 피부 미백 효능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지표성분인 1,3-di(pentyloxyl)benzene를 mineral oil 에 용해한 대조시료와 일반 O/W유화법으로 제조된 RS-emulsion시료를 비교 대상으로 인체 피부에 대 한 경피 흡수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RS-Nanoemulsion 시료는 지표성분인 1,3-di(pentyloxyl) benzene를 mineral oil에 용해한 대조시료와 RS-emulsion 시료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지표 성분 경피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RS-Nanoemulsion을 O/W크림에 함유하여 만든 크림 제형의 피부임 상시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시험결과 시험제품과 대조제품 모두 8주간의 시험기간에 특별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제품으로 확인되었고, 사용 8주 후 평가에서 대조 제품 사용에 비해 시험제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피부미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200원
        26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using video debriefing on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o teams of 13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was run, and then the team was debriefed through the video recorded video in the debriefing ro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oral debrief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5 to December 10, 2015,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received the video debriefing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who received the oral debrief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debriefing using video in the simul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bility to perfor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so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also helps strengthen nursing capacity.
        4,000원
        26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sistance of maize weevil(Sitophilus zeamais), an important agricultural pest of stored grain, on aluminium phosphide fumigant(PH3) has been reported recently in Korea. Many researchers reported that ethyl formate(EF), a potential methyl bromide alternative fumigant, showed good efficacy on several grain pests. In this trial, based on CTP (concentration × time products), we evaluated efficacy of EF on phosphine resistant and susceptible maize weevil. Each of insect strains were collected in grain storehouses and examined the PH3 resistance according to FAO method (Busvine, 1980). L(Ct)90 of PH3 resistant and susceptible strain was 48.3 and 0.3 g h m-3,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EF, L(Ct)90 of PH3 resistant and susceptible strain was 90.0 and 110.9 g h m-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F,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esistant and sucsecptible strain compare with PH3.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EF is a potential alternative for aluminium phosphide resistance management in grain storehouses.
        26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 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is a severe pest of berry fruits like strawberry, blueberry, sweet cherry and grape in terms of quarantine. For the disinfestation of SWD, methyl bromide (MeBr) is the only option in quarantine practice. However, MeBr's current use will be phased out due to chronic inhalation toxicity to fumigators and related worker as well as ozone depletion properties. To replace MeBr,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ethyl formate (EF) and phosphine gas (PH3) to all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SWD at practical fumigation condition (>25 ℃). To achieve complete control of all stages of SWD, PH3 required > 6 hr exposure when applied at > 1.0 g m-3. In case of 4hr EF fumigation, the LCt99 (LCt99, 99% lethal concentration × time) of EF to egg, larvae and pupae of SWD was 198.09, 77.42 and 115.55 g·h m-3, respectively.
        26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ight individual and blended chemical disinfectants were screened for preliminary evaluation of efficacy against duct organisms. Viable counts of surviving bacteria were determined after 30 min contact with each disinfectant. The single and blended disinfectants with high microcidal activity included glutaraldehyde/formaldehyde-based, glutaraldehyde/formaldehyde-based, cresol-based, organic acid-based and potassium peroxymonosulphate-based products. Iodophors of disinfectants showed an inconsistent and low anti-microbial effect.
        27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 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 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을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 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 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원 직무복귀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4,500원
        27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etary self-efficacy for sodium intake reduction and dietary behaviors by eating areas. Subjects (797 males and 767 fema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erceived dietary habit levels related to sodium intake (lowest: ≤10 (n=434), low: 11~≤13 (n=471), high: 14~≤15 (n=360), highest: 16≤ (n=299)) using an online survey with a sample that was geographically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The highest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and had a higher student proportion than the lowest group. Dining contexts regarding home led to a significantly higher sodium intake in the highest group, but it was eating out for the lowest group. The highest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ention to reduce sodium intake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In the home cooked meals, the highest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ly lower cooking frequency, less effort with respect to a low sodium diet and cooking habits related to sodium intake as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Also, regarding eating out and food service, the highes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efforts and dietary behaviors to reduce sodium intake than the lowest group. The dietary score for sodium reduction behavior in the highes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for home cooked meals, eating out, as well as food service. Thus, dietary guidelin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eating area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4,000원
        27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모넬라증은 가축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질병으로, 축산업과 식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 인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 소독제의 Salmonella Typhimuriums에 대한 살균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희석법을 이용한 살균효력시험은 4℃에서 30분 동안 시험 세균을 희석 소독제에 노출시켜 소독제의 가장 효과적인 낮은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시험이다. 본 분말 소독제와 시험 세균을 처리조건에 따라 경수와 유기물로 희석하여 반응을 시켰다. 유기물 조건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소독제의 살균력은 경수조건에서의 살균력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들에 의한 소독제의 살균 유효성분에 대한 저해작용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분말 소독제는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체에 대해 살균효과를 가지므로, 살모넬라증과 같은 세균성 질병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7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infectant-filled footbaths are the most commonly used infection control measures on livestock fa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ix commercial disinfectants, as used in footbaths on farms, for reducing Salmonella Typhimurium contamination of footwear. When used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s, most disinfectants showed over 91% reduction efficacy in absence of organic matter. The greatest reductions were seen with oxidizing agents including potassium peroxymonosulfate-based products a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infectant footbaths could be useful for reducing bacteria; however, footbaths should not be relied upon as the only method of controlling infectious pathogens. General good hygiene practice, for example cleanliness of boots, should be emphasized.
        3,000원
        27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onavirus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infects the cells lining the small intestine of a pig and, causes porcine epidemic diarrhea (PED). Owing to its highly infectious nature, PEDV has a substantial economic burden, which results in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in piglets. In this study, the virucidal efficacy of a powder disinfectant containing a phosphate compound against PEDV was investigated. Virucidal efficacy was assessed as the infectivity of PEDV toward Vero cells after exposure of the virus to the disinfectant. PEDV was exposed to the disinfectant in the presence of either hard water (HW) or an organic matter suspension (OM). In the HW condition, PEDV was inactivated by 4-fold dilution of the disinfectant. In the presence of OM, the disinfectant showed virucidal activity with a 2-fold dilution. As the disinfectant possessed virucidal activity against PEDV, it should be an effective reagent for limiting the spread of animal viral diseases.
        4,000원
        27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internet game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internet game addiction to confirm whether the acquired preparedness model which has been verified in substance addiction field could be applied to internet game addiction field, then tested wether the effect is moderated by game refusal self-efficacy. 349 gamers aged 13 above participated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oosted the positive game expectancy and then increased the risk of internet game addiction, but the effect was buffered by game refusal self-efficacy. Focused on the results, therapeutic suggestions about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4,000원
        27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icient and customized tools for delivering the benefit of health functional foods (HFFs). Delivery tools which could influence the impact of advertising were images, explanations of ingredients, diagrams of health benefit, patents, and comments from authority. Six advertisements were developed using these tools: “A”: 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s + scientific diagram of efficacy; “B”: 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s; “C”: relevant image; “D”: irrelevant image; “E”: ir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 + patent; “F”: irrelevant image + explanation of ingredient + comments from authority. To analyze the consumer perceptions on HFFs and advertisement effects, 300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mprising of the following questions: 5 questions of attitudes (necessity of HFFs, trust in HFFs, gathering information, watching advertisements and trust in advertisement claims) and 6 questions on the 6 developed advertisements (attention, understanding, sufficiency of information, sympathy, trust, and purchase). Scoring was done as per the 5 Likert scale. There was a higher proportion of females and the elderly, as compared to males and youngsters. The overall consumer attitudes were positive. Explanation of ingredients, scientific diagram of health benefit, patents and expert comments were helpful factors in increasing the advertisement evaluation by consumer, but the images were not. Advertisement evaluation of consumer did not differ with gender and age. However,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ome of the consumer attitudes (necessity of HFFs, trust in HFFs, gathering information and trust in advertisements claim) and advertisement evaluations (attention, understanding, sympathy and purch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for consumers utilizing the HFFs, advertisements with concrete tools such as diagrams, patent, and expert comments are more helpful. However, for consumers who do not have interest in HFFs, the scientific information was irrelevant. We believe that to maximize the effect of health information in advertisements, consumers should be segmented, and customized tools for each segment needs to be developed.
        4,600원
        27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을 이용한 반복적인 움직임 과제 훈련이 지역사 회 거주 노인의 균형기능과 낙상효능감,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명에게 회당 31분씩 11회기 동안 IM훈련을 적용하여 균형 기능, 낙상효능감, 주의력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단일대상연구로, 평가도구로는 IM Short Form Test (IM SFT), 4분면 구획스텝검사(Four Step Square Test (FSST)), Fullerton Advanced Balance (FAB) Scale, 한국어판 낙상효능감 척도, 한국어판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와 100에서 연속으로 다섯 번 7 빼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결과 : 3명의 대상자 모두 초기기초선 기간에 비해 중재 기간의 IM SFT SRO% 평균값이 증가하였고, 중 재 전에 비해 중재 후의 균형기능 평가 점수가 향상되었다. 3명의 대상자 모두 초기기초선 기간에 비하 여 중재 기간 동안 주의력 평가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IM을 이용한 훈련이 노인의 균형기능과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 였다.
        4,600원
        278.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친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는 숲에서의 오감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효 능감과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숲특별 반을 주2회 참여하는 실험군과 통제군은 숲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으며 남자아이는 11명, 여자아이는 9명씩이었다. 실험기간은 2016년 8월08일부터 2016년 9월20일까지 매주 2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였다. 오감체험활동은 숲에서 유아들이 오감을 깨우 고, 오감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알고, 자신의 자아를 확립하고 자연과 친해지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아효능감 검사와 생명존중인식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생각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존중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오감체험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온몸으로 자유롭게 자연을 마음껏 느낄 수 있었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비해 자아효능감이나 생명존중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