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

        281.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와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도시락 생산업체 16개사를 선정하여 방문 조사한 기기류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조리기기는 주로 레인지, 튀김기, 국솥, 밥솥을 사용하고 있었다. 2. 전처리기기는 푸드 캇타, 푸드 슬라이서와 야채 탈피기, 야채 캇타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3. 냉동 냉장고는 16개사에서 모두 보유하고 있었으나 냉장고의 용량을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살균기로 자외선 살균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살균시의 능력이 부족하고 살균기의 용량이 처리량에 비해 적었다. 5. 싱크 작업대는 16개사에서 모두 보유하고 있었으나, 싱크 작업대를 품목별로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6. 식품을 보온하거나 가온하는 기기류는 보유율이 대체로 낮았다. 7. 스팀발생용 에너지는 가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8. 운반기는 평운반기, 키친 웨건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9. 포장기는 ???N 포장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자동포장기, 집진기, 에어커텐 등의 기기류는 보완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282.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284.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1953~1954년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와 그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관한 사 건별 사실관계를 보다 명확히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 시기 일본의 독도 도발 동향과 한국의 독도 이용 관리 현황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한일 양국의 자료 에 따르면 사건별 사실관계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그래서 한일 양측의 1, 2차 자료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해보고자 한다. 일본 측의 독도 침범행위는 1953년 5월 독도가 폭격연습지에서 해제가 공시된 후 본격화 되었다. 그후 1953~1954년간에 있었던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는 26~37건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 중 1953년에 있은 17건, 1954년에 있은 9건에 대해 살펴보았 다. 이 기간 일본의 침범행위는 고등학교 실습선에 의한 1건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침범행위 가 일본 순시선이나 관공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편 독도를 영유하고 있던 한국 측에서는 정 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를 차단하였다.
        285.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 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28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는 미곡 생산량 기준 전국 약 374만 여 톤 중 60만 톤을 생산하며 전국 3위에 속해 있으며 전국 대비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전라북도는 쌀을 포함한 식량작물을 가공하여 상품화하기 위해 전라북도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판매 및 마케팅을 위한 포장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경영인 38명을 모집하여 포장 디자인 의식을 조사 분석하고 식량작물 상품 135개(한과63개, 누룽지72개) 샘플을 추출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인 의식 결과 상품 개발 시 상품 및 목표 고객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포장 디자인의 필요성이 92.1%로 높았다. 최근 포장 디자인 제작은 자비 비율이 68.2%였으며, 현재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5점)는 3.32점으로 낮았고 만족하는 비율이 38.4% 수준이었다. 포장 디자인 특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차이가 5점 기준으로 1점 이상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보아 중요성은 충분히 감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현황 분석 결과 한과 샘플은 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누룽지 샘플은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종합적으로 농업인의 포장 디자인 중요성 및 관심도는 높으나 전문가 부족, 비용 부담 등으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고 포장 디자인 현황은 대부분 종이류 및 플라스틱 비닐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관성 없는 컬러로 상품 차별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원스톱 교육, 수준별 교육, 현장 교육 확대, 전문 멘토제, 그룹 스토리 미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여 농업인 역량을 강화하여 의식 수준을 높이고 경쟁력 있는 식량작물 상품화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287.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ogging operation system and to suggest an effective policy plan to secure important raw materials for the use of forest biomass. The dissemination of forestry mecha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ogging operation are important tasks to establish a system and reduce costs of timber production by increasing the use of forest biomass; this includes increasing the supply of timber for domestic produc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wood chips and wood pellets.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of steep-slopes catenary system machinery for yarding such as tower-yarder and swing-yarder should be urgently supplied to cope with forest production and supply of forest biomass energy resour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high-performance forestry machinery as is being done in Japan. At the same time, instead of distributing or retaining the spread of forestry machinery to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imber production work centered on forest cooperatives or private timber producers to be carried out by wood producers, forest cooperatives and individuals.
        288.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미술영재교육 실태 파악 등을 통해서 미래 미술영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미술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기초 연구의 현장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 2) 기존 연구 주제들을 심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 미술영재교육 기관 유형의 명확한 분류와 종류별 세분화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4) 미술영재에 대한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미술영재교육 현황 분석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미술영재 선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미술영재학급 운영 방침 및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서 개별화되고 세분화된 프로그램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사회적 배려대상 영재 선발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선발 및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점검해야 한다. 4) 미술영재교육기관의 분류 기준을 명료화하여 영재교육체계를 갖추어 나가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28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경우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안전점검과 진단은 2-6년 주기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16년 이후의 안전점검 및 진단 용역의 적법 수행여부에 대한 정부합동점검결과, 공동주택의 부실수행 비율이 매우 높다. 이는 공동주택의 경우 법정 대가기준 대비 평균 1-10% 수준에서 용역이 낙찰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안전전검 및 진단에 대한 결과조사를 바탕으로 업체형태, 협약방식 별로 협약대가, 조사 및 시험의 충실성 등 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년도, 규모, 지역 등 다양한 변수 분포를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부실 현황을 분석하였다.
        29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소년 모험활동시설은 그동안 청소년활동의 기반으로서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적인 요구와 미래의 트랜드에 부합하는 환경을 올바로 제공하여 정상적인 수련활동을 충족시키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여 왔다. 그럼에도 기존의 청소년 모험시설은 사회적 환경변화와 더불어 학교단체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다양한 청소년 활동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와 참여도가 높은 군집 형태의 청소년 모험시설을 대상으로 전체 현황을 조사하고, 안전성에 따라 주요 결함을 분석하고자 한다.
        29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점검은 그동안 안전취약계층이 사용하는 건축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한정된 자원조건에서 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시설물의 효율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안전점검 업무특성 중 하나는 해당범위 시설물에 대한 신속 정확한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안전점검 수행 이 외 우선순위선정, 선택과 집중의 상황판단이 동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범위가 넓은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 점검을 수행하면서 축척된 결과데이터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대응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29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의료기관 핵 의학과에서는 환자에게 방사성 의약품을 주입하기 위해 체내검사의 80% 이상이 99Mo/ 99mTc Generator에서 방사선 핵종인 99mTc 용출하여 사용한다. 사용이 종료된 Generator 중 외국으로 부터 수입한 국외용 Generator는 각 의료기관에서 자체 처분을 시행한다. 각 의료기관에서는 자체처분을 시행 할 때에는 방사성 폐기물이 자체처분 허용 농도 이하를 만족하여야 한다. 국내에 제시된 자체처분에 대한 지침은 방사선 감쇠 계산식으로 도출된 값으로 Generator 사용 후로부터 80일 이후 자체처분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침이 직접 Generator를 가지고 측정한 데이터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타당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1000 mCi 용량의 Generator 의 경우 Generator 구성 요소 중 반감기가 가장 길며, 방사능이 많은 99Mo(몰리브덴) column을 가지고 실험하였을 때, 방사성 폐기물로 차체 처분 허용농도 이하가 되는 일수는 99mTc을 용출하여 유도한 기간은 72일, 직접 칼럼을 측정하여 도출한 처분 일은 71일이였다. 직접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지침의 내용에서 제시한 자체처분 일수보다 8~9일 정도 보 관 일수 차이가 있으나, 국내 차체 처분 보관 일수의 범위 안에 속하므로 국내 자체처분에 대한 지침이 타 당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29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ffee grounds generated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contain several resources, but the technology for their recycling has not been commercialized yet, causi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coffee consumption worldwide, the amount of coffee grounds produce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reaching more than 750 million tons. In Korea, about 120,000 tons of coffee waste are annually generated; however, most of them are landfilled or incinerated. Although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coffee waste recycling technologies compared to the amount of coffee grounds produced, various recycling approaches are being actuat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of coffee grounds at home and abroad, the status of coffee grounds recycling, and the associated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were investigated. The coffee grounds recycling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energy, adsorbent, construction, agriculture, and bio-foods. Research is most active in the energy and biotechnology areas; in particular, since the oil in the coffee grounds is valuable as a feedstock for biomass energy, the technology related to energy recovery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worldwide. Removed because confusing and unnecessary.
        29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military and civil area a long-span temporary bridge for rapid construction is recently in deman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and market is investigated as part of the planning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the existing temporary bridges consist mainly of about 20m long span, and it takes 6 to 8 week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For an emergency restoration project in a short period a long-span temporary bridge for rapid construction requires the high-performance materials and the latest construction technology
        296.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발주처의 저가발주로 인해 안전진단전문기관은 부실화 되고 부실 점검 및 진단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자들의 인식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실행대가 현황을 고찰하 였으며, 그 결과 정밀안전점검은 대가기준 조정보다는 대가기준의 효율성 증대 및 강제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밀안전진단은 연면적 10,000㎡미만 시설물에 대한 대가기준 설계금액을 현재 기준에서 80%로 하향조정하고, 그 이상의 시설물에 대해서는 현행 대가기준을 적용하되, 대가기준의 강제성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9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housing type of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securing the safety of North Korean standard houses with relatively low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ed to South Korea. In addition, we will use this data as basic data for planning a low-cost emergency reinforcement method to prepare against the natural disasters that are taking place frequently.
        29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nterest i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s is growing. However, due to the low-cost order placed by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safety diagnosis specialized institution becomes insolvent and many problems have arisen due to insufficient inspection and diagnosi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bid cost was examined through the survey of the practitioners and case analysis. As a result,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e criteria cost for structures with a floor area of less than 10,000 ㎡ is lowered to 80 % from the current standard. For structures larger than that, the current criteria cost are applied, but it is deemed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igidity of the criteria cost.
        299.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ses the use of agri-environment concept in South Korean laws and trie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The agri-environment has been used in the EU agricultural policy since the mid 1980s, and now became the most important policy in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It has been regarded as a concept explaining the various factors for agricultural production. However, the EU defines it as resul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which includes not only environmental and natural features but also social and historical resources in rural areas. This definition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2013 reform of the CAP. Because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implementing the agri-environmental policy, South Korea needs to introduce it soon. In doing so,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current South Korean laws are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e and environment. It reviews 34 laws in total and finds out neither act applying the concept of agri-environment, nor recognizing the rol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Nevertheless, this research identifies that some acts could be a basis for introducing agri-environmental policy in South Korea if they may complemen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servation of rural resources.
        300.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ste lead-acid batteries accounted for 83% (470,000 tons) of the licensed waste imported into the country in 2015, which was the largest percentage of imported waste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the problem of negligent management or waste circul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recycling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waste batterie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of waste lead-acid batteries, which is the largest component of imported waste,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mport/export regulations, inadequate management or distribution of waste related to international treaties such as the Basel Convention 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regulations, and the problem of appropriate treatment management, especially considering waste lead-acid batteries. We studied the prop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waste lead-acid batteries treatment in Korea, and investigated and compared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treatment guidelines for domestic waste, including those for imported and exported waste. We established a safe resource waste-recycling management system to help the utilization of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waste management law and business support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trea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