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

        281.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gjin2”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with short culm and lodging resistance and F1 plant of Iksan438, HR14018-B-1-1 and Iksan435 with high palatability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3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illed kernels of “ongjin2”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3%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ampyeongbyeo” This cultivar shows high resistance reaction to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e race from K1 to K3, blast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insect pests. “ongjin2”yields about 5.71 and 5.74 MT/ha under the wet direct seeding and the transplanting at standard fertilizer level. “ongjin2”would be adaptable for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28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파종기에 따른 녹두 생육과 수량 변이 및 vitexin과 isovitexin 함량 변화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을수록 개화일수, 성숙까지 일수와 재배기간이 짧았다. 반면에1차 성숙 후1차 수확까지(소요)일수, 각 수확기 간 소요일수는 길었다. 2. 수량은 1차 수확기 개체당 협수가 15.3개로 많은 6월 하순 파종이 가장 많았고, 표준 파종기 6월 상순보다 14%가 많았다. 반면에1차 수확기 협당 립수와 천립중은 7월 중순 파종이 가장 높았다. 3. 녹두 파종기별 수확횟수는 6월 하순과 7월 중순 파종이 2회로 가장 적었다. 4. 녹두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평균 함량은 7월 중순, 6월 하순, 5월 중순 파종 순으로 많았고, 특히 2차 수확 종실에서 이들 함량이 가장 높았다. 5. 이상의 재배기간, 수량, 수확횟수 및 vitexin, isovitexin 함량 등을 감안할 때 남부지역 녹두 파종적기는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으로 보아진다.
        28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an1"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of mid-late maturing, tolerance to lodging and adaptable to direct seeding which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05. This variety i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lpumbyeo, a variety of good-eating quality and high yield, and SR18392-HB683-104. The Juanl has heading date of August 19 at ordinary planting in the middle plain. It has semi-erect plant type with culm length of about 80cm and tolerance to lodging. This variety shows susceptible to blast,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s and brown planthopper. The milled rice kernels of Juanl are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clear in chalkiness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also low amylose content of 18.8%, low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good palatability. The average milled rice yield of this variety was 5.68 MT/ha at ordinary planting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from 2003 to 2005. Juan! would be highly adaptable to middle plain and mid-ea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28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 한계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1998~1999 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조생종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 중생종 금오벼 1호, 주안벼를 공시하여 6월 5일, 6월 10일, 6월 15일, 6월 20일에 10 a당 7 kg씩 담수표면산파하여 생육 및 쌀 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68~81% 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입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도복은 오봉벼, 주안벼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삼천벼, 상미벼, 금호벼 1호는 도복발생이 심했다. 3. 안전출수기로 본 파종한계기는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의 경우 6월 20일까지, 금오벼 1호와 주안벼는 6월 15일까지였다. 4. 쌀 수량은 6월 5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은 파종기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6월 15일 이후 파종에서는 수량감소가 컸다. 5.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출수기, 수량 등을 고려한 파종한계기는 6월 10일이었다.
        28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토양 염농도 별 파종전 후 합리적인 물관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2004~2005 년에 걸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인 세사양토(문포통)에서 남평벼를 공시하여 로타리 후 환수횟수와 파종 후 물관리 방법을 각기 달리하여 입모 및 쌀 수량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염토양에서는 로타리 후 1회 환수, 파종 후에는 낙수 관리해 주어야 입모가 양호하고 쌀 수량이 감소되지 않았다. 2. 중염토양에서는 로타리 후 3회 환수, 파종 후에는 담수관리 하되 2일 간격으로 환수를 실시해 주어야 입모가 양호하고 쌀 수량감소가 적었다. 3. 따라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입모 및 쌀 수량 등을 고려할 때 저염답에서는 로타리 후 1회 환수, 파종 후에는 낙수관리, 중염답에서는 로타리 후 3회 환수, 파종 후에는 담수관리하되 2일 간격으로 환수하는 것이 유리하다.
        28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에서 월동 1년생 두과 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를 이용한 유기재배를 확대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헤어리벳치-옥수수 작부체계의 후작물로서 가을무를 헤어리벳치와 혼파시기를 달리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섭식성 해충에 의한 무의 생육저해가 증대하였다. 2.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여름형 잡초의 종류와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3. 헤어리벳치는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 전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4. 가을무도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생육량 및 최종 수량이 증대하였다. 따라서 헤어리벳치와 가을무를 혼파 할 경우 혼파 시기는 관행의 파종적기인 8월 중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8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suitable plant-type and cultivars for producing fresh pod peanut from late seeding as succeeding crop, compared with early seeding as proceeding crop or single cropping. 12 cultivars according to grain weight and plant types, 6 virginia typed cultivars(ssp. hypogaea) and 6 shinpung typed cultivars(ssp. fastigiata), were used for early and late seedings. The plant growth and yield potential in early seeding were better than those in late seeding. But the ratios of dry/fresh pod and of mature pod in late seed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early seeding. The yield of fresh pod by cultivars in two seeding tim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d scale such as fresh pod weight, 100-grain weight, and dry seed yield positively, but pod number negatively in early seeding only. Yield of fresh peanut between Virginia and Shinpung type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ly seeding, but showed in late seeding. Average yield of Virginia typed cultiva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hinpung typed ones. This yield gap between two plant types was the same tendency on extending seedings to July 20.
        28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분농도별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2003~2004 년에 걸쳐 호남 농업 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인 문포통(세사양토)의 저영답(토양 염농도 0.1%)과 중염답(토양 염농도 0.3%)에서 서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별 입모수, 생육, 수량 및 백미 외관 품위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는 중염답보다 저염답에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다. 2. 간장과 수장은 중염답이 저염답보다 파종량이 증가할 수록 짧았으며, 도복은 토양염농도에 상관없이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심했다. 3. 완전미 수량은 저염답에서는 파종량 5 kg/10a까지, 중염답에서는 파종량 7 kg/10a까지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파종량에 서는 수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4. 백미의 외관상 품위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저염답보다 중염답에서 완전미율이 낮았다. 5. 따라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입모, 벼 생육, 완전미 수량 및 백미의 외관상 품위 등을 고려할 때 적정 파종량은 저염답은 5~7kg/10a , 중염답은 7~9kg/10a 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29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elect the seeding machine for mechanizing cultivation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three different seeding machines, ridge rotary, power tiller ridge rotary, tractor ridge rotary were used for sowing one of the high yielding rapeseed cv. Hybrid with five different seeding methods. Seeding of ridge rotary was reduced the seeding effort with 45% and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branches and pods, pod length and seed setting rate were higher. The seeding of ridge rotary also was showed highest seed yield. On the basis of time requirement for seeding, vegetative and yield parameters ridge rotary seeding machine was a suitable seeding machine for rapeseed cultivation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29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ectral irradiance characteristics of blue, yellow, and blue-black colored polyethylene (PE) shading net and the effec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ginseng seedling. The spectral irradiance (μmol/m2/s/nm) showed the peak at 498 nm in both of blue and blue-black PE shading net, and 606 nm under yellow PE one. The intensity of blue light in blue shading was more strong than that of blue-black shading, control. Blue shading was increased by 17% and 23% in accumulated quantum for daytime, 0.5℃ and 0.2℃ in maximum temperature on June 2 than that of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respectively, but heat injury ratio of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Chlorophyll content and stem length in blue shading were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ose of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The specific leaf weight was higher under blue and yellow shading than that of blue-black shading. Ginseng seedling harvested in blue shading was increased by 13~17% in the number of root, and 17~20% in root weight per m 2 compared to yellow and blue-black shading owing to the increase of survived plant, and the decrease of specific leaf weight, heat injury ratio, and stem length.
        29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의 직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입모율이 높은 ASD1 품종과 비교적 낮은 IR72품종에 대한 종자의 발아기간 중 공기와 질소 충진상태에 따른 sugar와 starch 함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1. 공기 충진상태와 질소 충진상태에서 직파적응성이 높은 ASD1 품종은 비교적 낮은 IR72 품종보다 발아기간 중 starch 함량이 높았으며 두 품종간 starch 감소 패턴이 상이하였다. 2. 공기 충진상태와 질소 충진상태에서 직파적응성이 높은 ASD1 품종은 비교적 낮은 IR72 품종보다 발아기간 중 sugar 함량이 높았으며 두 품종간 sugar 증가 패턴은 같은 경향이었다. 3. ASD1 품종은 IR72 품종보다 공기와 질소를 계속 충진하거나 주기적으로 주입 또는 질소 충진후 공기를 보충하는 조건 등의 어떠한 충진조건에서도 발아경과에 따른 sugar 함량이 높았다.
        29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산 및 음성지역의 4년생 인삼재배 농가포장에서 직파재배 5개소와 이식재배 5개소를 임의로 선정하여 직파와 이식재배에 따른 생육특성 및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파재배는 4년근 생존율이 평균 48%로 이식재배의 86%보다 떨어지나 입모수가 평균 96주/3.3m2순로 이식재배의 57주보다 많고 엽면적지수가 커 수량성이 높은 반면, 주당근중은 작았다. 직파재배는 이식재배에 비해 동체의 신장이 양호하나 지근의 발달이 불량하여 동체중의 비율이 높고 지근중의 비율이 낮았으며, 직파재배는 적변 발생율이 적으나 동체와 지근부위의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이 낮았다.
        294.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elect suitable fertilizer level and sowing rate of Dangyo #8(hybrid) rapeseed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two varieties of Naehanyuchae (Normal) and Dangyo #8(hybrid) rapeseed currently grown for oil production by two fertilizer level with 10-8-8 kg/10a and 15-8-8 kg/10a and three sowing rate with 500 g/10a, 1,000g/10a and 1,500g/10a with relatively high yield was grown at the same conditi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Dangyo #8(hybrid) rapeseed was superior to oil-eed rapeseed for yield at the 15-8-8 kg/10a of fertilizer and 1,500 g/10a of sowing rate. Fertilizer level, N-P2O5-K2O = 15-8-8 kg/10a and sowing rate, 1,500 g/10a showed somewhat higher value in two varieties of Naehanyuchae(Normal) and Dangyo #8(hybrid).
        29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wintering capacity, closely related to winter hardiness, of Chinese milk vetch planted with different sowing times and sowing practic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incorporation into cropping system in Korea. The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was evaluated with LT50 using leaf disc leaching method. Dry weight of CMV was reduced remarkably with delayed planting from Sep. 5 to Oct. 20. The differences in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were not conspicuous among CMV genotype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genotype (collections at different regions) were due to the plant architecture, mainly to the leaf angle. The crouching genotype collected at centr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showed excellent freezing tolerant, has planophile leaves. The feature of internal constituents of CMV genotype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freezing tolerance which evaluated by leaf disc leaching experiment. To overcome the poor overwintering capacity, tolerant genotype should be developed by selection with considering the plant architecture. The reduction of CMV growth during overwintering period was ameliorated with furrow-sowing under late-sown condition, therefore, when the CMV is inevitably sown late after recommended time, the seeds should be sown on furrow to overcome the cold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