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7

        30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bemore sensitive to the languages used in clinical setting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atients and to generate better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roduce discourse analysis as a way of understanding languages related with health and illness. Methods: This was a review of studies done bymultiple scholars dealt with discour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basic assumptions of discourse analysis. Several key concepts were demonstrated compared with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methods. Those were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evaluation criteria of discourse analysis was provided with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the study. Lastly, exemplary texts on discourse analysis in healthcare area were presented to promote understanding. Conclusion: Discourse analysis can help healthcare professional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by gaining insight and sensitivity on languages related with health and illness that are habitually used in healthcare settings.
        4,000원
        30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숲 공간의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는 반면 시간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하다. 공간과 시간은 동시적으로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간요인에 의한 영향들은 시간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숲에서 보낸 시간의 4가지 요인들(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인식)에 대한 영향에 초점을 두었으며,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체험 (LE), 몰입(FL), 건강지각(HP)과 심리내적인식(IPP)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충청남도 이북지역에서 살고 있으며 생태 숲해설 과정이나 생태교육과정에 있는 사람들로 40-70세였다. 이들은 또한 1년에서 20년에 이르는 숲관련 경력을 가지거나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과같은 요인들은 숲에서 보낸 시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숲에서 보낸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산림치유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할 것이다. 숲에서 보낸 시간이 체험, 몰입, 건강지각과 심리내적 인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점을 산림치유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한다.
        4,000원
        30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of the college students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Republic of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360 college students (183 males and 177 females) regardi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cognition, knowledge, considerations, purchases and consumption of HFF. Most male and female students (68.9% and 61.6%, respectively) were unaware of the HFF certification mark, however, more females(58.8%) were aware of the legal HFF definition compared to males (36.6%). The HFF advertising routes for males and females were ‘TV radio’ (43.2% and 43.5%, respectively) and ‘internet smart phones’ (19.7% and 27.1%, respectively). The main factor considered for selection and the most serious problem concerning HFF by males and females were ‘effectiveness’ (36.1% and 43.6%, respectively) and ‘hype (exaggerated advertisement)’ (35.0% and 55.9%, respectively). The main purchase route by males and females was ‘pharmacy’ (35.2% and 27.8%,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HFF product purchase by males and females was ‘health promotion’ (38.8% and 29.4%, respectively) and the main reason for not purchasing an HFF product was ‘no health problem’(34.8% and 36.7%,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HFF consumption was 46.0% in males and 69.8% in females. The main HFF product consumed by males and females was ‘vitamin mineral’ (36.9% and 43.5%,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HFF consumption by males was ‘health promotion’ (31.0%) and females was ‘recovery from fatigue’ (21.8%). The main reason for not consuming HFF by males and females was ‘no health problem’ (38.4% and 41.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concerning HFF to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regarding factors affecting purchas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college student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FF in the Northern Gyeonggi-do area.
        4,300원
        30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 생물자원의 핵심지역인 국립공원의 통합적 공원관 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서 현재 국립공원의 자연환경 보전과 이용관리의 문제점을 종합하여 건강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과학적 평가방안이 필요하다. 체계적이고 과학적 평가 결과는 공원정책방향 확립 및 국민과의 공감 기회 확 대를 도모할 수 있다. 미국 공원청의 Vital signs, 캐나다 국립공원의 Ecological Integrity 등 선진국에서는 현장관리 와 연계성이 높은 자원 모니터링 지표를 선정하여 국립공원 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를 위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평가 지표를 적용하여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하였다.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고도화를 위해서 연구 방향성 설정 은 5가지를 선정하여 접근하였다. 첫째, 지표 설정 인자는 자연성, 다양성, 희귀성, 풍부성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둘째, 지표 설정원칙은 편의성, 스트레스 민감성, 반응성, 예측성, 통합성, 저가변성을 고려하였다. 모니터링에 있어 지표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정원칙은 가 장 중요한 방향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지수 고도화는 생태계 건강성평가에 대해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 국립공원은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는 지역이므로 보전과 이용에 대한 이해력이 증진되어야 하나 아직까지는 부족한 상황이다. 넷째, 모델선정은 공원의 특 성과 건강성을 반영 할 수 있는 개념적 모델 선정 및 Framework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환류방안은 평가결 과에 따른 공원별, 지표별 보전, 복원, 환류방안수립에 적용 될 수 있어야 한다. 국립공원 생태계는 일반생태계에 비해 보전성과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는 지역이나, 탐방객이나 외 부 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되기 때문 에 관리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들을 선정되어 야 한다. 생태계 유형범주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대부분을 구성하 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로 유형 범주를 구분하였으며, 생 태계 구성 요소 및 기능적 범주는 종 다양성, 생태계구조 및 기능, 스트레스로 구분하였다. 특히, 국립공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지표가 필수적이며, 스트레스 지표를 기본체계로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 하여 보전, 복원, 관리 행위가 실시되어야 한다. 건강성평가 지표의 고도화를 위해 육상생태계에서 26개 예비평가 지표와, 수생태계에서 10개의 예비평가 지표를 추 출하였으며, 평가 지표에 대해 델파이 방법을 통해 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AHP)을 실시하여 공통 지표, 선택 지표, 기후대응 지표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범주는 생태계유형, 기능 및 세부분류유형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 여 선정하였다. 공통 지표는 저서무척추동물(BMI지수), 양서류 종 다양 도, 외래종지수, 지표성곤충(습성별 밀도 및 비율), 훼손지 평가(훼손지, 독립훼손지), 경관지수(파편화, 면적, 평균파 편화형태지수) 등 6개를 선정하였고, 선택 지표는 특정동물 평가지수(개체수, 분포수, 분포면적, 번식쌍 등), 수질지수 (DO, T-N), 외래생물관리 지수, 위해생물관리 지수 등 4개, 기후대응 지표는 건조지수(연 건조일), 폭설빈도(연 폭설빈 도), 강수빈도(일강수량 30mm이상 강수일) 등 3개를 선정 하였다. 기후변화 지표는 직접적인 관리활동으로 생태계건 강성을 증진할 수는 없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변화 예측 및 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에 대한 건강성 평가를 위해서 는 기존 모니터링 사업의 체계적 방안을 수정 보완하고, 모 니터링사업의 재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 건강성평가 결과와 공원의 상태를 쉽게 이해 시킬 수 있도록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미국 공원 청 Vital Sign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캐나다 온전성 평가에 서도 적용하고 있다. 공원의 현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녹색은 매우 건강, 연두는 건강, 노랑은 양호, 주황은 관리 필요, 빨강은 관리 시급으로 5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과거 평가 결과와 비교를 위해 상승, 변동 없음, 하락 등으로 구분하여 총 15개 유형의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고도화 결과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서는 첫째, 공원 모니터링 사업을 종합 분석하여 모니터링 을 재확립, 둘째,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작, 셋째, 모니터링 조사자의 전문화, 넷째, 평가시스템 구축의 절차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평가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립 공원을 체계적·과학적 관리에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국립 공원 정책 및 대 국민 홍보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30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wareness about health is still in short supply, sufficient research and investment is falling mothayeo made, the development of image and health technology for health compared to productivity enhancement technology behind the relative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 of special measures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untry catering to propose measures and methods for this. Current analyzed and summarized to find a speci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relevant provisions appear in the national legisl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o leverage to workers unearthed an in-depth awareness and issues for the institutions and laws. Survey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documents and government publications and research through an Internet search. Survey Research conducted a self - survey on new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concessionaires to sanitation target, the attitude of the sanitary administration, attitudes to hygiene education and hygiene practice Conditions received health education carried out by catering Federation regularly. Health education is a systematic settlement system for the external real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Health and health administrators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tructure strengthening phase. Employers and health care workers are raising awareness. Employers have a responsibility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Consequently, special health education targeted construction workers changed to fit the content-driven information on the species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ime "based health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4,300원
        308.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메르스’에 대한 재난 뉴스 이용매체와 뉴스 이용정도 및 뉴스의 신뢰여부가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 효능감 및 대처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을 매개로 하여 최종적으로 개인과 공중의 건강 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SNS와 인터넷뉴스가 TV보다 메르스의 심각성을 지각하게 했지만 메르스에 대한 대처역량을 키우거나 하지는 않았다.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메르스에 대한 뉴스 이용정도는 메르스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뿐 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대처비용의 대처평가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메르스 뉴스 이용정도가 메르스 사태의 본질을 인지하게 하였다. 그리고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개인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고 지각된 심각성, 자기효능감, 대처비용에 의해 공중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다. 뉴스신뢰도는 자기효능감에만 영향을 미쳐 실제로 메르스 사태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진 못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개인보호행위의도를 증진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6,400원
        30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 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4,800원
        3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법무부는 정신장애자 범죄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들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 정신질환 수용자들을 위한 정신보건센터를 2012년 이후 4개의 지방교정청관할하에 개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수용자들이 정신보건센터에서 치료관련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훈련프로그램 등 각종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정신관련 치료와 사회적응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기 위해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센터의 운영방식과 교도소 내의 정신보건센터와 지역보건센터와의 연계방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정신질환자를 위한 보건센터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주요국의 정신질환수형자에 대한 교정처우는 어떠한지를 살펴본 후 우리의 수형자를 위한 정신보건센터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8,100원
        31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an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for desirable lifestyle and dietary habits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for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health-related lifestyle,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intake of the elderly. The subjects included 58 elderly men and 146 elderly women. 35.8% had no more than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ost subjects (54.4%) were widows/widowers. Most subjects (71.0%) made over 150,000 won. 52.5% of subjects lived in houses. Smoking, drinking, exercise, the average sleeping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p<0.05). In terms of dietary habits, our results showed that 80.9% of respondent eat regularly meals, including breakfast (83.5%). Both sexes prefer soft and salty food. Women enjoys more spicy and salty food compared with men and then shows meaningful difference (p<0.05). Their favorite meals are soup, stew, salad and boiled vegetables. Compared to women, men have a higher rate of correct answers about questions related to nutrition knowledge as showing significantly difference (p<0.05). In a study of dietary habits, they take in carbohydrate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and following by vegetables and fruits. The amount of meat, first and egg they eat is more than the previously. Eating meat is higher men a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summary, nutritional status for the elderly shows healthy lifestyle and diet about half of those and most them try to live healthy life in future. It is hope that the elderly may need to learn proper nutrition knowledge for healthy lifestyle and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building up healthy lifestyle and desirable dietary habi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art work to establish a baseline nutritious evaluation for the elderly and at a time to study the development of standard eating tool proven reliability and validity, consequently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4,000원
        3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study for finding a solu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identify problems such as discharge through a survey of speci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by identifying the status and problems, such as speci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the measures taken.
        4,300원
        31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많은 흡연 연구는 담배 소비 경험을 흡연자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흡연자는 담배 소비를 통해서 쾌락적 동기나 사회적 동기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자의 담배소비 행동이 흡연자의 이상적 자기개념이나 사회적 자기개념이라 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죄책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담배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는 담배 소비가 제공하는 쾌락적 혜택보다 신체적 피해를 더 크게 지각할수록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은 금연 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흡연자 자신에 대한 죄책감(예. 담배가격 인상)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예. 간접흡연이 가족의 건강에 미치는 피해를 보여주는 금연 광고)을 유발하는 금연 캠페인이 흡연자의 금연 의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4,000원
        31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industrial accident that occurred in the recent contract type of business or establishment (including subcontractor) employers and contractors who demand among employers, would be liable to have a proper discussion on how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To resolve this issue, it introduced the discussion with the Japanese legal system, which has a system similar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seeks to help us in our country's futu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4,000원
        317.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소비자들은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 힐링과 웰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와인, 먹는 샘물, 티를 마시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와인, 먹는 샘물, 보이차는 음식과 관계는 물론 질병, 건강, 이⋅미용에 접목되고 있다. 음료의 공통적인 관계는 첫째, 건강부문은 단순히 생리적 기능을 넘어 건강과 힐링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음식부문은 공통적으로 신토불이 원칙이 적용되며, 각각의 함유량 유무 등으로 조화가 달라진다. 향후 와인, 먹는 샘물, 보이차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음료시장의 확대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은 지식수준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끝으로 음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좋은 품질을 구매하는 지침서를 마련하고, 용도에 맞은 와인, 보이차, 먹는 샘물을 추천해주는데 있다.
        318.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rice consumption and dietary intak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based on 1st (1998), 4th (2007~2009), 6th (2013) KNHANES. This study included 25,799 subjects who were age 10 or over. Three groups(low, medium, high) were divided according to white rice consumption (per day). In the low group, the meat and oil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high group. In the 1st survey year, the BMI, waist circumstances, hypertriglyceridemia and fasting blood glucose in the high group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4th and 6th survey year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1st survey year the risk of waist circumstances was higher in the high white rice consumption group and also had high risk with hypertriglyceridemia. Since the lower white rice consumption in 4th than 1st survey year we found no significant results. But in the 6th survey year with the lowest white rice consumption the risk of high diastolic pressure was reduced in high group. Because continuously reduced white rice consumption meantime showed more intake of meat and oil, it can be concluded that defensive effects with the Korean health.
        4,500원
        31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rophic sate of agricultural reservoirs within the four major watersheds and evaluate the ecosystem health using the multi- metric fish modeling approach of Len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LEHAs).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Trophic State Index (TSI) ranged from mesotrophic to hypertrophic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Asian monsoon. Regression analysis of N:P ratios showed a negative linear function (R2 = 0.698, p < 0.0001) with TP values, but not with TN (p = 0.939). The plots of "TSI (CHL) - TSI (TP)" and "TSI (CHL) - TSI (SD)" suggest that other factors other than phosphorus limited algal biomass (CHL - TP < 0), and that non-algal particles dominated light attenuation (CHL - SD < 0). Regression model of fish trophic component against TP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omnivore (OM) and insectivore fish (IS) had a positive (R2 = 0.679, p < 0.01) and negative linear function (R2 = 0.403, p < 0.05) with TP, respectively. Values of multi-metric LEHAs model averaged 26 6.5, indicating a "Fair" conditions. Overall, the ecosystem health was directly influenced by organic matter pollution and high algal production.
        32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for national-level monitoring of watersheds as an ecosystem health assessment methodology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 10-metric IBI model (IBIKW) was developed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then applied to 76 streams in four major watersheds in Korea. The model assessments showed that 32.9% of all streams were judged to be in ‘excellent-good’ condition, whereas 67.1% were in ‘fair-poor’ condition, indicating severely impaired ecological health. Nutrient analyses of stream water revealed a two- to fivefold increase in nutrient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levels in urban- and cropland-dominant streams compared to forest- dominant streams. The guild structure within the watersheds indicated that tolerant species were predominant in severely degraded regions (BOD>6 mg/L), and sensitive species were distributed in regions with BOD<2 mg/L. Factors affecting ecosystem health (IBIKW scores) included chemical water quality parameters, physical habitat parameters and land use around the stream. In particular, land use was one of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ecosystem health, as indicated by the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ntages of urban and forest streams and the IBIKW scores. The integrated ecosystem health assessment technique developed here can be applied for both regular bioassessments and post-restoration assess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