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7

        321.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最近)까지 필자(筆者)박(朴)등(等)에 의하여 보고(報告)된 우리나라의 굴나방과(科) 및 가는나방과(科)의 종수(種數)는 각각(各各) 8종(種), 30종(種)이었으나 금번 조사결과(調査結果) 아래의 7종(種)(굴나방과(科) 1종(種)과 가는나방과(科) 6종(種)이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분류동정(分類同定)되었다. 새로 보고(報告)되는 종(種)들은 가는나방과(科)의 물푸레가는나방(Gracillaria ussuriella), 잡싸리가는나방(Liocrobyla kumatai), 신갈가는나방(Phyllonorycter leucocorona), 꼬마신갈가는나방(P. pygmaea), 오리엔트가는나방(P. orientalis), 쑥잎가는나방(Leucospilapteryx omissella)과 굴나방과(科)의 노박덩굴굴나방(Proleucoptera celastrella)으로 각각(各各) 우리말 이름을 명명(命名)하였다. 또한 현재(現在)까지 알려진 기주식물(寄主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기주식물(寄主植物) 7종(種)을 처음 밝혀 냄과 아울러 28종(種)을 우리나라에서 재확인하여 전체종(全體種)에 대(對)한 기주식물목록(寄主植物目錄)을 작성(作成)하였다.
        4,000원
        322.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지역(全南地域) 대나무 집단재배지(集團栽培地)에 피해(被害)가 확대(擴大)되고 있는 잎말이나방류(類)의 발생(發生), 기주식물(寄主植物), 생태(生態) 및 피해(被害)에 관(關)해서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전남지역(全南地域)에서 대나무엽(葉)에 피해(被害)를 주는 명나방류(類)에는 줄노랑명나방(Microstega jessica (B.))과 줄허리들명나방(Sinibotys evenoralis (W.) 2종(種)이었고 담양(潭陽)에서 발생비율(發生比率)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이 96.5%, 줄허리들명나방이 3.5%이었으나 나주(羅州), 화순(和順)에서는 줄허리들명나방만이 발생(發生)되었다. 2. 기주식물(寄主植物) 조사(調査)에서 줄노랑명나방은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죽순대(P. pubescens Mazel), 솜대 (P. nigra var. henonis Stapf), 오죽(P. nigra Munro), 줄허리들명나방은 왕대, 솜대, 오죽으로 밝혀졌는데, 본조사(本調査)에서는 줄노랑명나방의 솜대와 오죽 2종(種)과 줄허리들명나방의 솜대 1종(種)이 새로운 기주(寄主)로서 확인(確認)되었다. 3. 줄노랑명나방은 담양지역(潭陽地域)에서 연(年) 1회(回) 발생(發生)하며 그 최성기(最盛期)는 5월(月)하순(下旬)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나주지역(羅州地域)에서 연(年) 2회(回) 발생(發生)으로 그 최성기(最盛期)는 6월(月)상순(上旬)과 7월(月)중순(中旬) 경(頃)이었다. 4. 각(各) 태별(態別) 평균기간(平均期間)을 보면 줄노랑명나방은 난(卵)이 8일(日), 유충이 293일(日), 용(踊)이 16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2일(日), 웅충이 9일(日)이었고, 줄허리들명나방은 1화기(化期)는 난(卵)이 11일(日), 유충이 28일(日), 용(踊)이 12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8일(日), 웅충이 15일(日)이었으며 2화기(化期)는 난(卵)이 7일(日), 유충이 261일(日) 용(踊)이 20일(日), 성충수명은 자충이 11일(日) 웅충이 10일(日)이었다. 5. 1일중(日中) 줄노랑명나방의 성충우화시간을 보면 저녁 6시(時)부터 새벽 4시(時)까지였고 그 Peak는 밤 시(時)였다. 6. 월동태(越冬態) 및 월동장소(越冬場所)는 줄노랑명나방은 6령충(齡蟲)으로 땅에 떨어진 죽순껍질과 새로 나온 대나무 밑부분에 붙어있는 죽순껍질에서 줄허리들명나방은 령충으로 수상(樹上) 대나무엽(葉)에서 월동(越冬)하였다. 7. 줄노랑명나방의 수고별(樹高別) 피해엽율(被害葉率)에 있어서는 주(主)로 상부(上部)에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하부(下部)로 내려갈수록 피해(被害)가 적었다. 종류별(種類別)로는 솜대, 왕대 죽순대 순(順)으로 피해(被害)가 많았으며 수령(樹齡)과 피해율(被害率)과의 관계(關係)는 1년생(年生), 2년생(年生), 3년생(年生), 4년생(年生), 5년생(年生) 순(順)으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4,000원
        323.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지방(全南地方)의 주요(主要) 과수(果樹) 수종(樹種)인 배, 자두, 복숭아, 사과, 포도의 성숙기(成熟期)에 피해(被害)가 큰 과실(果實)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분류(分類), 유충(幼蟲)의 기주범위(寄主範圍) 및 피해(被害)에 관(關)하여 1982년(年)부터 1983년(年) 2개년(個年)에 걸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조사(調査)에서 분류(分類)된 흡수(吸收)나방류(類)는 총(總) 31종(種)이었으며 이 중(中) 회색붉은뒷날개나방, 우단태극나방, 왕흰줄태극나방, 스투포사밤나방, 박각시나방, 세줄박각시나방, 분홍등줄박각시나방(복숭아박각시나방), 무늬뾰쪽날개나방, 흰제 비불나방, 곧은띠수염나방 등(等) 10종(種)이 새로이 밝혀졌다. 2. 과수원(果樹園) 주위(周圍)에 분포(分布)된 흡수(吸收)나방류(類) 유충(幼蟲)의 주요(主要)한 기주식물(寄主植物)로는 청미래덩굴, 자귀나무, 댕댕이덩굴, 꿩의다리, 검양옻나무, 개굴피나무, 가래나무, 나무딸기, 가지, 배추 등(等)이었다. 3. 주요(主要) 과수(果樹)의 품종별(品種別) 피해(被害)를 보면 자두는 Santa Rosa>Beauty>Soldam, 복숭아에서는 조생백도(早生白桃)황도(黃桃)>백도(白桃), 사과는 축(祝)>홍옥(紅玉), 포도는 Campbell Early>Neo Muscat>Golden Queen 순(順)으로 피해(被害)가 컸다. 4.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발생량(發生量)과 주요(主要) 과수(果樹)의 숙기(熟期)와의 관계(關係)를 보면 자두와 복숭아 숙기(熟期)인 7월(月) 초순(初旬)하순경(下旬頃)과 사과 및 포도의 숙기(熟期)인 8월(月) 하순(下旬)9월(月) 중순경(中旬頃)에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5. 주요(主要) 과수별(果樹別) 가장 피해(被害)를 많이 주고 있는 흡수(吸收)나방류(類)는 자두의 경우 무궁화밤나방, 으름밤나방, 복숭아에서 태극나방, 작은갈고리밤나방, 포도에 작은갈고리밤나방, 태극나방, 그리고 사과에서는 태극나방이었다. 6.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비래시간(飛來時間)은 일몰후(日沒後) 6시(時)부터 시작(始作)되어 새벽 2시(時)까지였으며 그 Peak 는 밤 1012시(時)였다.
        4,000원
        324.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기록종(*) 12종을 포함 95종의 한국산 긴나무좀과와 나무좀과 해충 및 그 기주식물 62종 14아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중 새로 추가된 기주식물(#)은 10종이다.
        4,000원
        325.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남콩 렉틴과 근류균(R. phaseoli)의 결합에 관한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강남콩종자의 자엽에서 가장 많은 렉틴은 성장에 따라 뿌리로 이동하였는데 발아후 약 5일경에, 뿌리의 길이가 인 것이 가장 렉틴의 함량이 많았다. 2. 근류균의 배양시기에 따가 강남콩렉틴과의 응집력을 측정 한 결과 배양초기 가 후기보다 응집력이 높았다. 3. 강낭콩종자에 존재하는 렉틴을 추출 정제하여서 6종 근류균과의 응집력을 측정한 결과 R. phaseoli와의 응집이 가장 강했고 이는 렉틴에 대한 특이적 결합, 즉 숙주특이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4. 단당류에 의한 응집반응의 경쟁적 저해를 시도함으로써 강남콩렉틴의 근류균에 대한 결합부위가 mannose와 galactose를 포함한 oligosaccharides가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이들의 저해효과에 필요한 당의 최소농도는 6.25mM로서 측정되었다. 5. R. phaseoli와 강낭콩 렉틴을 강낭콩 뿌리에 인공감염시켜본 결과 렉틴의 경쟁적 저해가 확인되었으므로 뿌리혹형성에 렉틴의 가교가 관여한다는 가설을 입증할 수 있었다. 6. Immunodiffusion에 의한 R. phaseoli의 항원 결정기는 R. japonicum과 일부 관련성이 있을뿐 다른 Rhizobium spp.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26.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3,000원
        327.
        197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5년 6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남 곡성 서계리에서 개간 재배되고 있는 과수지대를 중심으로 그 주위의 호수나방유예의 식초 분포조사와 발생소장 및 당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흡수나방 유충의 중요한 식초는 청미래덩굴, 자귀나무, 댕댕이덩, 정의다리, 개굴피나무이며 개굴피나무는 표고 500m 이상 고산지역에 분포되어있는 반면 다른 기주들은 표고 100-300m의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있다. 2. 발생소장을 보면 6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4일까지 출현하였는데 10월 4일까지 출현하는 자두와 복숭아에서의 나방방 최성기는 7月 13日경이며, 포도에서는 8月 310경이였다. 3. 6년 25일-10월 4일 사이에 13종의 흡수나방을 채집하였는데 가장 많이 채집된 것은 무궁화밤나방, 애우묵밤나방, 우묵밤나방, 으름나방으로 전체의 을 차지하였다. 4. 복숭아와 자두의 당도를 보면 당도가 높을 수록 흡수나방의 피해는 컷으나 산도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28.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4,000원
        329.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의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피해, 기생범위, 전염 및 방제에 관하여 1965년부터, 1974년까지 실시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1. 발생 못자리에서 줄무늬잎마름병의 피해는 였고 포장에서는 입도중의 발병주율보다 재생도에서의 발생율이 높았으며 보통기재배보다도 조기재배에서 발병이 많았다. 또 포장에서 발병주의 분포는 대체로 휴반가까이에 많은 경향이었다. 벼 엽기별 피해에서 라병성인 일본계 벼의 경우 못자리 때인 3엽기에서 7엽기까지는 감염되면 고사하였으며 9엽기에서는 , 11엽기는 , 13엽기 이후에는 고사주를 볼 수 없었다. 참복기간은 3-7엽기에서는 7-15일이었고 9-15엽기에서는 15-30일이었다. 저항성인 통일벼의 경우 1.5-5엽기 접종구는 비교적 발병이 많았으나 9엽기 이후부터는 현저히 떨어져 15엽기 이후는 발병을 거의 볼 수 없었다. 그리고 감염된 것은 초장이 짧고 등숙율과 임실비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2. 기주범위 기주범위를 구명하기 위하여 작물과 목초 및 잡초 36종을 공시하여 아래와 같이 21종의 기주를 밝혀 내었다. 작물: 벼, 보리, 밀 , 귀리, 라이맥, 조, 옥수수, 기장, 참피 목초: 티모시, 빗살대, 이타리안라이그라스, 패래니 알라이그라스, 죤슨그라스, 슈단그라스 잡초 : 들피, 겨피, 방울피, 잠자리피, 개미피, 바랭이, 민바랭이, 좀바랭이, 방동사니대가리, 강아지풀, 비노리, 참새, 포아풀, 독새풀, 우산대바랭이, 개보리, 겨풀, 쇠풀, 조개풀, 넓은 잎 개수염은 새로운 기주로 밝혀졌다. 3. 충매전염 우리나라의 애멸구화기는 5회였으며 수원에서의 제2회성충 최성기는 6월 20일 경이고 제3회성충 최성기는 7월 30일 경이었다. 진주는 수원보다 제2회성충 최성기가 5-7일 빨랐고 진주에서는 제3회성충 최성기의 발생량이 많은 것이 달랐다. 애멸구 세대별 보독충율은 월동약충이 였고 제1세대유충은 , 제2회성충은 , 제2세대유충은 , 나머지 화기에서는 약 였는데 보독충율은 남부지방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1966년부터 1970년생 사이의 애멸구 보독충율은 해에 따라 다소 차가 있었으며 화기별로는 제2회성충과 제3회성충의 보독충율이 높았다. 분리한 애멸구보독충을 재분리하여 이를 교배하였더니 차대에서는 보독충율이 인 애멸구를 얻을 수 있었으며 애멸구충령별로는 3, 4, 5령충의 감염능력이 높았고 애멸구 무독충의 바이러스 재획득율은 평균였고 여기에서 얻어진 친화성계통이라 할지라고 3회접종시험결과 계속하여 3회까지 벼에 바이러스를 매개하지 않았다. 또 애멸구보독충의 감염최적온도는 였으며, 이하에는 감염이 일어나지 않을때도 있었다. 그리고 애멸구기생봉의 기생율은 6월부터 8월말까지 였으며 7월 10일경이 로서 가장 높았다.
        6,100원
        330.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벼줄무늬 잎마름병에 의한 기주범위를 알기위하여 화곡류 사료작물, 잡초등을 대상으로 온실에서 보독충을 접종한 결과 30종의 공시식물중 9종이 발병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21종은 발병되었다. 2. 발병된 식물중 화본과에 속하지 않으나 논과 들에 자생하고 있는 방동사니대가리와 넓은 잎개수염 방동사니 등은 새로운 기주이다. 특히 방동사니대가리는 습기있는 포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발병율이 높았다. 3. 각종작물에 있어서 애멸구의 서식충수는 대체로 24시간후보다 48시간후에 적은 편이었다.
        4,000원
        331.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흔히 흰불나방의 피해를 입는 7개의 기주식물에서 채집된 흰불나방의 기주식물별 용의 크기와 포란수 및 그들간의 상관을 실내사육하여 보고된 결과와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의 체중은 기주식물의 종류와 자웅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웅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이태리푸라, 가래나무, 버즘나무, 네군도 단풍나무, 낙우송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고 웅용에 있어서 평균용중의 순위는 낙우송, 버즘나무, 가래나무, 네군도단풍나무, 이태리 포푸라, 수양버들 및 벗나무이었다. (2) 포란수는 기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의 평균치의 순위는 이태리포푸라, 가래나무, 낙우송, 네군도단풍나무, 버즘나무, 수양버들 및 벗나무 이었다. (3) 기주식물별 흰불나방의 용중과 포란수는 실내사육에 의하여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야외집단의 경우가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4) 공시기주식물은 모다 용의 크기와 포란수간에 고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332.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5개 기주식물(뽕나무버즘나무미류나무네군도나무 및 사과나무)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m 및 Sugar함량이 흰불나방의(Hyphantria cunea DRURY) 유충기간용기간용체중자아의 포난수 및 에 대한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기주식물엽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ln 및 Sugar함양은 기주의 종류와 화기(1화기와 2화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차가 있었다(표 1). (2) 1, 2화기 유충기간과 용기간은 비교적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짧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긴 경향이었으며, 1화기보다 2화기에서 더 짧아졌다. 이들은 기주의 N함량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1화기 유충기간은 제외),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P·K 및 Sugar에 비하여 크게 관여한 것 같았다. (3) 용체중과 포난수에 있어서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주의 종류, 자웅의 성 및 화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용체중은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역시 가장 높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자아당 평균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의 경향과 비슷하였다. 용체중이나 포난수의 경우나 영양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크게 관여한 것은 N의 함량으로 생각되었다. (4) 에 대한 천불나방유충의 내약력은 기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그 감응도는 네군도나무미류나무버즘나무사과나무뽕나무 순으로 강하였다(표 6). 역시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나 N·P 및 Sugar보다 K의 함량이 많은 기주 일수록 에 대한 유충의 내약력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33.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로 microtechnique를 이용하여 몇몇 아과에 속하는 진딧물 7종의 구기와 구침삽입방법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를 함으로써 식물 virus병의 매개충인 진딧물에 대한 기초적 연구자료를 얻고자 본실험을 하였다. (1) 일반적인 구기의 구조에는 각종간차이가 없었다. (2) Toxoptera citricidus와 Chaitophorus chinensis에서 특히 진딧물의 구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3) Toxoptera citricidus에서는 수액부선이 수액선보다 다소 컸다. (4) Lachnus tropicalis 에서는 표피와 피층에서 인포내를 더 많이 통했고 기타종(Chaitopherus chinensis Myzus persicae, Aphis craccivora, Toxoptera citricidus)에서는 주로 세포간을 통하여 올피부에 도달했다. (5) 삽입흔적은 Eriosoma clemalisLachnus tropicalisMyzus persicae에서 뚜렷했고, Chaitophorus chinensis, Aphir craccivora Toxoptera citricidus 서는 불명했교 황갈-적갈색으로 염색되었다. (6) 수액은 식물조직내에서 세포간격에 분필되어 수액내 물질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어 세포간격이 넓어진다. (7) 구침에 의한 기공에 의하여 기주식물의 생리현상이 저해되며, 2차적으로 식물병원균의 침투를 :용역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34.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studied on the bionomics of Oriental moth. Cnidocampa flavescens WALKER, damaging to the persimmon tree n the southern part of Korea from 1964 to 1965.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mergence peak period of Oriental moth was mid-June in Taegu district and eggs are deposited on the opposite side of persimmon tree leaf. Specially most of eggs are deposited on the terminal part of opposite side and peak period s also mid-June. 2. Hatched Percentage of eggs was in 1964 while in 1965 at the rearing room. Mean egg Period was in 1964 while days in 1965. Thus during two years, the egg period was about 6 days. 3. In the growth ratio of Oriental moth fed on various host plants persimmon tree, Acer negund, Hazel-wood and Platanus, the best growth ratio was shown on the leaf of Hazel-wood from 1st till 3rd instar, but, on the contrary, persimmon tree was the best from 4th till the last instar. The growth ratio of head width was also the same tendency as the body length above mentioned. Individuals fed on the leaf of platanus were dead after 20 days. 4. Oriental moth has one generation a year and molts 6 times. The first molting occurred in 5 hours after hatched, and the other moltings were done at f days intervals. After 3 days since the last molting, larvae made the non for over-winter in it. 5. As the bristles on the process of larval body are different from each position and instar, judgement of instars are possible by the counting of bristles on the body according to the Table 8. Specially the bristle of L. 2., D. 2, 3 ,8. 10. and L. 1, 3, 4, 5, 6, 7, are perfectly different from each instar. From these bristles, instars can be recognized easily. 6. Pupation of larvae in the over-wintered cocoon on the stem of persimmon tree was done in mid-May and continued will early June when emergence will take place. 7. Mean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as
        3,000원
        335.
        196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시험은 1961과 1962년의 2개년에 걸쳐 대관령에서 미국, 일본, 독일계와 한국재래품종 53품종을 공시하여 감자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할 것이다. 2. 본시험은 자연발병하에서 조사하였으며 항저성의 차이를 다섯 계급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면역성품종...Kennebec, Isola, Cherokee, Merrimack, Yoraku, Lisili, Cosima. 고도저항성품종...Antze, Ragis Isola, Delus, Hessenkrone, Plymouth, Sebago, Pungo, Sieglinde, Anco, Essex. 저항성품종...Tawa, B-605-10, Sequoia, Grata, Concordia, Onaway, Noring 1, Nisego. 이병성품종...Nordak, Pontiac, Benimaru, Early gem, Chippewa, Chitose, Ohjiro, Red Bake, Norland, Katahdin. 고도이병성품종...Russet Burbunk, May Queen, Earlaine, Irish Cobbler, Feldeslohn, Red Warba, Chisago, Osseo, Paunee, Warba, Norgleam, Red Beauty, Red, Danshaku, Namchak(Native variety). 3. 만생종품종이 조생종보다 저항성이었다. 4. 일본계와 미국계도입품종보자 독일계도입품종이 저항성이 강한 편이었다.
        4,000원
        336.
        202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lanetary host halo star HD47536 via high-resolution spectral observations recorded using a 1.5 meter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CTIO) telescope (Chile). Furthermore, we determined the abundances of 38 chemical elements. Both light and heavy elements were overabundant compared to the iron group elements. The abundance pattern of HD47536 was similar to that of halo-type stars, with an enrichment of heavy element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ive abundances of chemical elements and their second ionization potentials and condensation temperatures. We demonstrated that the interplay of charge-exchange reactions owing to the accretion of interstellar matter and the gas-dust separation mechanism can influence the initial abundances and can be used to qualitatively explain the abundance patterns in the atmosphere of HD47536.
        337.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2003~2018년까지 16년간 중국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 직접 투자한 패널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것으로, IMF의 대표적 금융기관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FI (Financial Institution Index)와 금융시장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FM (Financial Markets Index)을 채택해 ASEAN의 금융 발전 수준을 가늠 하는 변수로 삼았다. 각국의 정치적 수준을 대변하는 WGI(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s)와 각국의 인간개발지수를 나타내는 HDI (Human Development Index)를 채택해 아세안 사회 환경을 가늠 하는 변수로 삼았다. 이를 조절변수로 삼아 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직접투자를 각각 상호작용을 하여 중국의 직접투자가 아세안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동남아국가연합(ASEAN)에 대한 직접투자가 유치국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아세안의 사회 환경과 금융 발전은 중국의 직접 투자에 대해 부정적인 조정 작용을 가져온다.
        338.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cognition of stakeholders on hosting a mega sports ev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ir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towards hosting a mega sports event, the study employed conflict theory. Furthermore, the study reviewed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mega sports ev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f homogeneous sampl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criterion-based selection approach were used to collect interview data from key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hosting a mega sports ev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were reviewed multiple tiems after transcription to extract concepts and meanings that were pertinenet to the experience involving hosting a mega sports event. Further member checks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results. Results –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stakeholders of Korea have a strong desire for positive economic effects of a mega sports event, compared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who are more concerned in enhancing the public interests and concerns. Second, in Korea, various socio-political issues emerged at the same time and conflicts among multiple stakeholders have aggravated the situations to coordinate the issues. This was because legal system supporting socio-trust has not been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major stakeholders of the United States consisted of community members who have socio-trust and networks. Thereby these social resources have been found playing a key role in building social capital that assists the stakeholders to coordinate the current issues and to solve them. Conclusions –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of stakehoders in a mega sports event. Social capital has beend found as a key catalyst to increase a network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In order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managing a mega sports event hosted in Korea, legal systems that establish network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stakeholder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systematic guideline needs to be developed, organizing the sub-committe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keholders and the categorized common needs.
        33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istletoe grown in eurasian continent range from England to northern Asia. It has abundant chlorophyll and phenolic compound in node and leaf which has anticancer ac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and composition of the amino acids and mineral along with increasing seed set rates and productivity of Viscum album on Prunus mume.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lant nutrients such as total nitrogen, Ca, Fe, K, Mg, Mn, Na, P and composition of amimo acids in leaves between Viscum album and its host tree, Prunus mume, which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in field and green house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fertilizer. Total nirogen content in leaves of mistletoe and its host tree, Prunus mume was 3.90% and 2.09% in the fields fertilized and non-fertilized, respectively. In a greenhouse fertilized, mistletoe leaves contained higher nitrogen (3.78%) compared to the host tree (3.06%). NO3-N content in leaves was also higher in mistletoe (37.5 ppm & 20 ppm) than in host tree (22.5 ppm & 12 ppm) in a field fertilized and non-fertilized. Ca content (1.18%) were same in leaves of mistletoe and host tree in the field fertilized. Contents of Fe, K, and Mn in leaves of mistletoe were 61.37 ㎎/㎏, 3.33%, and 127.59 ㎎/㎏, which were 16%, 13%, and 48% lower than host tre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ontents of Mg, N, and P were 0.22%, 127.95 ㎎/㎏, and 0.48%, which were 5%, 148%, and 92% higher than host tree, respectively. K contents were higher in host tree fertilized (3.33% in field & 2.55% in greenhouse) while higher K (4.07%) was contained in a field non-fertilized compare to host tree (3.96%). However, P content was higher in mistletoe grown in field (0.48%) and greenhouse (0.42%) fertilized. In non-fertilized field, mistletoe leaves contained higher P (0.65%) rather than in host tree (0.29%). Eigh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investigated in leaves of host plant by 20 - 87%.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nutrient management including fertilization is important to improve nutritional quality and productivity of mistletoe i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n Prunus mume.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