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2

        32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위관을 한 뇌졸중환자의 연하장애 치료에 대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비위관을 통하여 영양섭취를 하고 있는 뇌졸중환자 중 연하장애가 있는 3명의 환자였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방법 중 대상자 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치료는 혀 운동, 삼키기 법, 머리 및 목 자세 프로그램, 감각 자극, 음식물 조절을 포함하는 30분간의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치료와 VitalStim을 이용한 30분간의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이 었으며, 이를 무작위 순서로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하루에 각 1회씩 기초선을 포함하여 총 14 회기 시행하였다. 각 치료 회기마다 Mann연하기능척도를 사용하여 각 대상자의 연하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치료 기간 전후에 비디오 투시검사와 연하장애 결과 및 중증도 평가척도를 통해 연하기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MASA의 평균 점수는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방법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경우에서 모두 기초선 과정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치료 방법 간에 차이는 없었다. DOSS 점수는 치료 기간 전에 비해 치료 기간 후에 더 증가되었다. 결론 : 비위관을 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치료에 있어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는 연하 능력과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치료 방법 간의 효과 차이는 결론내릴 수 없었다. 향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22.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 group self exercise program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regarding depression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of chronic stroke survivors, as well as the motor functions such as the 3 meter round walk,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tatic balance. The subjects were 12 post-stroke ambulatory community center participants.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one 90 minute session per week for 7 weeks and received a home exercise program in every session. They had to record and submit an exercise check list.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wi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8-Item Short-Form (SF-8). Motor functions were measured with the manual function test (MF'T), the kinesthetic ability trainer (KAT 3000),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The level of depression decreased somewha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intervention. However, quality of life related health (SF-8) improved significant1y.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ime for the 3 meter round walk, the functions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ies, and static balance and ADL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group self exercise program can improve quality of life related health and motor functions in stroke survivors.
        4,000원
        323.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stroke patients. Thi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of 60 patients who had survived one year or more after a stroke in commun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lM)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 Impact Scale (SIS). The association between FIM and SIS was examined using Pearson' s correlation. The FIM score was higher than the SIS score. Most domains of FIM exhibited a high rate (45-85%) of ceiling effects. However, only the communication and memory domain of SIS exhibited of ceiling effec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835 (p<.01) for FIM-motor vs. SIS-ADL, .257 (p<,05) for FIM-motor vs. SIS-communication, .596 (p<.01) for FIM-motor vs. SIS-social participation, .635 (p<.01) for FIM-cognition vs. SIS-memory, .369 (p<.01) for FIM-cognition vs. SIS-ADL, and .289 (p<.05) for FlM-cognition vs. SIS-social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FIM-motor and SIS-social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lM-cognition and SIS-social participation. The domains of emotion and hand function of SIS showed no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FIM-total.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ambulatory stroke patients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use both the FIM and SIS.
        4,000원
        32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시각적 주의력에 대한 Dynavision의 훈련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편측무시 증상을 나타내는 좌측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 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에서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를 하지 않고 시각적 주의력을 대변하는 Dynavision 불빛에 대한 반응 시간과 반응횟수를 4회기 동안 측정하였다. 치료 기간에는 Dynavision을 이용한 치료 후 반응시간과 반응횟수를 측정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은 visual tracking, self-paced, digital flash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3주 동안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 편측무시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선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기초선 기간보다 치료 기간 동안에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횟수가 증가되었고 반응시간은 감소되었다. 또한 Dynavision 치료 후에 선나누기 검사의 오류 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 Dynavision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증상과 이와 관련된 시각적 주의력을 향상 시키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이다.
        4,000원
        32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레넬 프리즘 (Fresnel Prism)을 제공하여 편측무시 현상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한 명의 대상에 대해 반전연구(ABAB) 설계를 사용하여 2007년 4월 2일부터 동년 4월 27일까지 4주간 주 5회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편측무시 현상은 MVPT,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 ‘X' 지우기 검사를 사용하여 결과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MVPT 수행 시 치료 전 원점수 24점, 좌측반응점수 16점에서 치료 후 원점수 32점, 좌측반응점수 19점으로 증가하였다. 2. 선 나누기 검사 수행 시 평균오차범위가 기초선І에서 33.75%, 실험처치І에서 12.88%, 기초선Ⅱ에서 22.67%, 실험처치Ⅱ에서 13.40%로 점차 감소하였다. 3. 알버트 검사 수행 시 평균오류수가 기초선І에서 14.5개, 실험처치І에서 0.63개, 기초선Ⅱ에서 6.33개, 실험처치Ⅱ에서 0.2개로 점차 감소하였다. 4. ‘X'지우기검사 수행 시 평균오류수가 기초선І에서 11.75개, 실험처치І에서 2개, 기초선Ⅱ에서 7.67개, 실험처치Ⅱ에서 0.4개로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프레넬 프리즘의 사용이 편측무시 현상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프레넬 프리즘의 착용으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면 환자의 일상생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2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성인 인지손상 환자에 대한 과제 지향적 활동과 전통적 인지 재활의 중재 결과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7월 2일부터 7월 28일까지 광주광역시 K병원과 C병원의 재활의학과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작업치료실에 의뢰된 성인 뇌졸중 환자 60명을 무작위로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훈련 받은 4명의 작업치료사가 4주 동안 주 5회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LOTCA와 FIM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과제 지향적 활동군과 전통적 인지 재활군의 인지기능은 중재 전보다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인지기능 중, 지남력(시간), 시지각(겹쳐진 그림, 물체 향상성), 운동실행(물체 사용, 상징적 활동), 시운동 조직력(이차원 구성, 페그보드 구성, 색깔 블록 디자인), 사고 조직력(조각 비구성, 그림 순서), 주의력과 집중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중재 후,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은 두 군 모두 중재 전 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일상생활동작 중, 자조활동(상의 옷 입고 벗기, 하위 옷 입고 벗기, 용변 처리하기), 배변 조절(대변 조절하기), 이동(욕조로 이동하기), 의사소통(표현력), 사회적 인지(사회적 관계능력) 영역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전통적 인지 재활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전통적 인지 재활보다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500원
        327.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with upper extremity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performance in people who have had a stroke. Eighteen candidates who have all experienced a stroke, were living in Dong-Gu, Ulsan and were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have been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weekly, 1 hour per session, for 7 consecutive weeks. Subjects were tested with 7 m and 100 m Timed Gait Test (sec), Timed Get Up and Go Test (sec), Functional Reach Test (cm) and 5 items of Berg's Balance Test at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Total balance index and balance ratios were measured by K.A.T. 3000. The balance training program performed by sitting on a chair and gymnastic ball and stand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during upper extremity exercises such a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upper extremity pattern, picking a ball up from floor, throwing and catching it. After seven weekends of balance training,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test results. The exceptions were three items of Berg's Balance Test (p<.05). Balance index score and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balance ratio had a larger improvement than pre-training (p<.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rvention of this balance train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balance performance in people who have had a stroke.
        4,000원
        328.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s i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tibialis anterior contraction through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alysis in adults with hemiplegia and healthy subjects and clinical assessment of lower-limb mobility. EMG activity of 6 long-term survivors of stroke and 5 healthy subjects was recorded during maximal isometric ankle dorsiflexion in 3 seconds beeper signals. It must be done as fast and forcefully as possible. Lower limb mobility was assessed with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mEFAP). Delay i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prolonged in the affected lower limb relative to the unaffected limb.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in the hemiplegic lower limb was significantly delayed than the initiation on the affected sides. Delay i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 few range of mEFAP. Abnormally delayed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may contribute to hemiparetic lower limb mobility in hemiparetic patient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at abnormal delay of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may contribute to hemiparetic lower limb mobility in adults with hemiplegi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a treatment effect.
        4,000원
        32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중심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실습교육으로서 학생들의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여 지역사회중심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대상은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와 프로그램의 운영에 참여한 작업치료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1) 클라이언트는 2006년 4월-11월 동안 2차로 나누어 초기평가-10주 중재-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6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 작업치료과 학생들은 평가, 중재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실행, 재평가에 참여하였으며, 그중 설문에 응답한 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목과 연결된 임상실습교육으로서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클라이언트의 전·후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쌍대비교(Wilcoxon matched-paired sign-ranks test), 학생들의 만족도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1)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에서는 전반적으로 호전되었으며, 특히 균형능력과 감각 중 통증과 심부압박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5).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좋아졌으며, 특히 일반적 건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4.32/5점 척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향상의 만족도가 4.46±0.61(M±SD)로 가장 높았다. 결론:지역사회중심 뇌졸중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실습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만족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양한 지역사회중심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개발·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학생들에게는 학교 졸업 후 임상에서 초임 작업치료사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임상실습교육이 필요하다.
        4,200원
        330.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은 감각, 지각 및 운동 기능의 손상과 같은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지만, 대체적인 환자들의 경우에서 앉기, 서기, 보행과 같은 자세 조절에서 좋은 균형능력을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과는 달리, 손상되지 않은 상지 또는 하지를 사용하여 정상측에서 마비측 방향으로 환자 스스로 강하게 밀거나, 이러한 자세를 바로 잡는 외부적 힘에 대해서도 강하게 대항하는 왜곡된 자세를 보이는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데, 이를 밀기증후군이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원인으로 추정되는 여러 임상적 양상과 뇌손상 크기 및 부위가 밀기증후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밀기증후 척도를 이용하여 앉기 및 서기 자세에서 밀기증후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양상의 평가는 Motricity Index(MI), 감각 검사, 뇌손상의 크기 및 부위가 측정되었다. 특히, 뇌손상의 크기는 의료영상저장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뇌손상 부위는 MRI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대상자의 손상 부위를 하나의 표준화된 뇌 영상 위에 합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편측 무시 증상의 유무와 좌우측 뇌반구 손상에 따른 밀기 증후의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MI, 뇌손상 크기, 나이 및 감각의 각각의 여러 임상적 지표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밀기증후의 정도는 감각의 손상 정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각 대상자의 뇌손상 부위를 합산한 영상에서 손상된 부위가 가장 많이 중첩되어지는 위치는 속섬유관, 방사관, 궁상 섬유속로 나타났다. 결론 : 밀기증후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에서 증상의 정도는 하지의 근력, 편측 무시, 뇌손상의 크기, 좌우측 뇌반구의 차이와 관련성이 없으나, 감각의 소실 정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속섬유막, 방사관, 궁상 섬유속의 손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밀기증후의 증상은 감각을 비롯하여, 감각과 운동의 통합과 관련된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331.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HMBT)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3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s(HMBT)가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준관련 타당도 분석을 이용하여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Modified Barthel Index: MBI), 기능적 독립 수준(Modified Rankin Scale: MRS)과 상지기능 수행 평가 도구인 Brunnstrom Stage Scale(BSS), Hand Movement Scale(HMS), 자세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MP/CP), 체간 조절(Trunk Control Test: TCT)과의 피어슨(Pearson correlation)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HMBT의 측정자내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와 측정자간 신뢰도(Intra-rater reliability)를 알아보기 위하여 Kappa계수와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를 구하였으며, HMBT항목들의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HMBT의 U/E, H/F에 대한 측정자내 신뢰도는 각각 Kappa=.960~.950, ICC=.995~.994이었으며, 측정자간 신뢰도는 Kappa=.959~.918, ICC=.990~.986으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931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HMBT는 MBI(r=.64~.66), MRS(r=-.63~.71), HMS(r=.82), BSS-Arm/Hand(r=.81~.82)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PASS-MP/CP(r=.42~.52), TCT(r=.55~.64)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HMBT는 MBI, HMS, BSS, PASS-MP/CP, TCT, MRS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 및 내적 일치도를 보여 뇌졸중 환자의 실제적인 임상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200원
        332.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현재 환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하여 향후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사회적 비용과 편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우선 작업치료 관련 이해 당사자를 환자, 의료기관, 작업치료기관, 정부(보험자)로 구분하였다. 이후 비용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환자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외 분석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비용은 실제 비용자료를 분석하여 적용하는 방법과 지불용의접근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가정작업치료 방식으로 전환하였을 때, 비용과 편익 비율은 비용자료분석 방법에서는 1.29, 지불용의접근 방법에서는 1.18이었다. 의료기관 수익률과 작업치료운영기관의 기타비용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하였을 때, 비용자료분석 방법 적용에서는 편익증가는 20,830원/건-34,530원/건이었으며, 지불용의접근 방법 적용에서는 13,550원/건-18,790원/건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적어도 20%가 가정작업치료의 대상자라고 가정할 경우 사회적 순편익은 비용자료분석 방법 적용에서는 940,645천원/월, 지불용의접근 방법 적용에서는 583,864천원/월로 분석되었다. 결론 : 현재 환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하여 가정 방문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사회적 순편익이 증가한다.
        4,300원
        33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the K-MBI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and subscales of K-MBI in predict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LOS) and the discharge destinations for stroke patien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97 stroke patients (57 men and 40 women) admitted to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t the Bundang Hospital.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by K-MBI at admission and discharge after rehabilitation therapy and the information available was investigated at admi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logistic regression. The median LOS was 30 days (mean, 32.8 days; range, 22 to 43 days). The K-MBI score at initi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p<.001), the type of stroke and living habits before a stroke were the main explanatory indicators for LOS (p<.05). Within the parameters of K-MBI measured at initiation for rehabilitation, feeding and chair/bed transfer were the explanatory factors for LOS prediction (p<.01). Confidence in the prediction of LOS was 20%. Significant predictors of discharge destination in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the discharge K-MBI score, sex and hemiplegic side. Dressing in items of discharge K-MBI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discharge destination. The K-MBI sco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edict LOS and discharge destination. Knowledge of these predictors can contribute to more appropriate treatment and discharge planning.
        4,000원
        33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BBS), Timed -UP & Go Test, Fugl Meyer-L/E, Balance, Sensory (FM-L/E, B, S), Motor Assessment Scale-Gait (MAS-G),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 MG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subjects were 40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Main outcome measures were Balance control (BBS, FM-B), Gait (TUG, C MGS, MAS-G), ADL (MBI)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ies (FM-L/E,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FM scales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Balance, Gait and ADL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cl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BS, FM-L/E, balance, sensory and MBI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 but TUG and C MG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sensory factor of the FM-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BBS. However the FM-balanc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TUG, MAS-G and C MGS.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atients.
        4,000원
        335.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환측 상지의 운동 형상학적 변화를 유발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8명의 편마비 환자들이 주 5회의 강제유도운동치료에 2주 동안 참여하였다. 훈련에 의한 상지의 운동 수행동안의 운동 형상학적 변수들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이 컵 옮기기와 연필 옮기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동작분석 시스템 (CMS-HS Zebris uMedizintechnik GmbH, Isny, Germany)을 이용하여 어깨, 팔굽, 손목 관절에서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운동 형상학적 변수들인 동작의 순발력과 부드러움, 그리고 이동거리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순발력은 컵(또는 연필)을 잡는 동작과 내려놓는 동작 두 구간에서 최대 속도 도달시간으로 측정하였고, 움직임의 부드러움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관절 움직임의 속도반전의 횟수로 움직임의 변동(fluctuation)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동거리의 효율성은 실제 관절별 움직임 궤도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관절별 최대 속도 도달시간은 컵 옮기기 과제 중 컵을 잡는 동작과 내려놓는 동작 두 구간에서 어깨 관절, 팔굽 관절, 손목 관절 모두 치료 전․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반면에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는 내려놓는 동작에서 어깨 관절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2) 속도반전 횟수는 컵 옮기기 과제에서 모든 측정 관절의 전후 방향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어깨 관절에서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역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05). 또한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 손목 관절의 전후, 수평 요인을 제외한 전 관절의 축 방향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3) 관절별 움직임 궤도의 변화량은 컵 옮기기 과제에서 어깨 관절과 팔굽 관절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연필 옮기기 과제에서는 전 관절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삼차원 동작분석 평가를 통하여 환측 상지의 다양한 관절에서 순발력과 부드러움, 효율성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마비 측 상지의 운동역학적 변수들의 향상을 객관적으로 보임으로서 상지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치료적 활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4,600원
        336.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인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LOTCA)를 실시하고 수행 점수 간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MSE-K, LOTCA, ACLS 평가하였다. 결과 : ACLS와 MMSE-K, LOTCA는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CLS는 일상생활의 도움 유무와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MSE-K와 LOTCA는 연령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ACLS 수행점수는 MMSE-K와 .605, LOTCA와 .678의 높은 상관관계를, MMSE-K와 LOTCA는 .73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CLS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인지검사로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337.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에서 전기자극 치료가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5일 동안 1일 40분씩 두채널용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연하치료를 실시하였다. 1번 채널의 전극은 악이복근과 설골사이, 설골과 갑상 윤골 사이에 각각 부착시키고, 2번 채널은 갑상연골과 윤상연골 사이, 윤상연골 하방에 각각 부착 하였다. 반고형 식이를 이용하여 비디오투시검사를 치료전후에 두 번 시행하여 연하기능점수를 측정하였고 임상적으로 식이단계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과 : 임상적으로 식이단계의 수준 평가상 전기치료 후 타액조절단계에서 영양죽 섭취수준으로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비디오 투시검사상 인두기 삼킴단계의 후두거상과 후두개 폐쇄, 후두계곡과 양배꼴동의 잔여정도, 후두통과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결론 : 전기자극 치료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갖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 치료의 명확한 역할을 규명하기위해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성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338.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라쉬모형을 적용하여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외래환자로 169명이었다. 조사방법은 사전연구에서 항목의 중요도로 수집된 23개의 일상생활수행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자료는 전국 18개 재활기관에서 작업치료사가 평가한 결과를 수집하여 Winsteps 프로그램으로 라쉬분석을 하였다. 결과 : 7개 항목이 부적합한 항목으로 판정되었으며, 16개 항목이 적절한 항목으로 채택되었다.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32~6.23 로짓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준화점수로 표시하기 위한 변환식은 "점수=(로짓점수+6.32)/(6.32+6.23)100" 이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기위한 항목을 난이도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가장 어려운 항목은 보행영역의 '계단 오르내리기' 항목이었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 식사하기 영역의 '음료 마시기’항목이었다. 결론 : 라쉬분석을 이용하여 개발된 뇌졸중 외래환자의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객관적인 도구이다.
        4,200원
        339.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udio-visual modeling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ve program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observing these various models on the capacity of stroke patients to perform upper limb activities. Twenty-on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sk modeling, sport modeling, or control group. During 2 weeks of intervention, subjects in all groups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practice of experimental tasks. These tasks comprised of a Nine Hole Peg Test,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s, and locomotion. These tasks were performed 5 days a week, 30 min per day. In addition to the physical practice, the task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experimental tasks and locomotive activities for 20 min, while the sport modeling group observed a model performing various sport activities for 20 min. Subjects' ability to perform the experimental tasks was measured 3 time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week after the intervention. Analyses of the capacity to perform upper extremity activities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pre-test to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in all groups. However, the amount of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task modeling group. The task model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of all experimental tasks, whereas the sport modeling group did not displa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dio-visual model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gnitive intervention for facilitating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and its rehabilitativ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 program is comprised of performance scenes directly related to the target task.
        4,000원
        340.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hospital-bas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on Modified Barthel Index (MBI) score in stroke inpatients at least 3 months after stroke, to predict MBI score at discharge from subscales of MBI,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roke at admission. Forty-five stroke inpatients participated and receiv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two months.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BI at admission and discharg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pendency level (MBI≤74 and MBI≥75) at admi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BI score at dischar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MBI score at admission in the group with more than moderate dependency level (MBI≤74). In particular, personal hygiene, dress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 were improved. But only ambul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a less than mild dependency level (MBI≥75). The chair/bed transfer, dressing, ambulation, and Mini-Mental State Exam-Korea score at admission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MBI score at discharge. Eighty-six percent of the variation in MBI score function at discharge can be explain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ospital-bas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subacute stroke improve independent living status,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a more than moderate dependency leve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