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73

        36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하였고 응답내용이 부 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18부를 제외하고 총 282부를 SPSS 19.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 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하위 요인인 건강관심요인, 현재건강요인과 미래 건강요인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65.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아우식증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던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들을 조사하였다. 감초, 고삼, 황련, 박하, 송절, 부평초 등의 추출물들이 S. sobrinus KCOM 1157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 중 송절, 고삼, 황련 등의 천연 물들은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송절, 고삼, 황련의 천연물들이 S. sobrinus 를 포함한 구강질환 세균들에 대한 항우식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4,000원
        366.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and DPPH, OH, H2O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Morinda citrifolia L.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noni 70% ethanol extract were 29.52 GAE/g and 12.48 CE/g, respectively. Also, the IC50 values of DPPH,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noni were 18.70 mg/mL, 26.45 mg/mL, and 35.67 mg/mL, respectively. Measurement of th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 from noni showed 45% inhibitory activity at 10 mg/mL.
        4,000원
        367.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acile one-pot wet chemical process to prepare pure anatase TiO2 hollow structures using ammonium hexafluorotitanate as a precursor is developed. By defining the formic acid ratio, we fabricate TiO2 hollow structures containing fluorine on the surface. The TiO2 hollow sphere is composed of an anatase phase containing fluorine by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A possible formation mechanism for the obtained hollow samples by self-transformation and Ostwald ripening is proposed. The TiO2 hollow structures containing fluorine exhibits 1.2 - 2.7 times higher performance than their counterparts in photocatalytic activity. The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of the TiO2 hollow structures is attributed to the combined effects of high crystallinity, specific surface area (62 m2g-1), and the advantage of surface fluorine ions (at 8%) having strong electron-withdrawing ability of the surface ≡ Ti-F groups reduces the recombination of photogenerated electrons and holes.
        4,000원
        368.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귀리의 겨, 겉껍질 및 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물을 유화형 돈육 소시지에 적용하였을 때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귀리의 잎 추출물(OLE)의 총 페놀함량(145.99ug CAE/m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35.07%) 및 FRAP 활성(32.77ug Fe2+/mg)은 다른 부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항균 활성 측정결과 모든 부위의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neumonia과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OLE 및 귀리 겨 추출물은 Klebsiella pneumonia에 대해서는 120μg/disk이상에서 활성을 보였으며, OLE가 귀리 겨 추출물보다 동일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OLE를 유화형 돈육 소시지에 첨가하였을 때, 0.025% 첨가구에서 pH,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저장 14일차에 모든 첨가구에서 지방산화(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총균수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본 실험결과 OLE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유화형 돈육 소시지 제품에 적용하였을 때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총균수의 저하를 가져왔기 때문에 천연 보존제로서 좋은 첨가제로 사료된다.
        4,000원
        36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t has been argued that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the upp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may or may not cause shoulder joint pain and dysfunction.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vibr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regarding scapular stabilization using a flexi-bar.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24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flexi-bar group with active vibration and general stick group with non-active vibration. Both groups performed the same four action programs for 6 weeks,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at a time. The upper trapezius muscle, middle trapezius muscle, lower trapezius muscle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of the dominant side was measured by electromyography before and after the 6 weeks of exercise. Th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upper trapezius muscle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after exercise (P<.05).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trapezius muscle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the flexi-bar group (P<.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ctive vibration exercise using a flexi-Bar contribute to reduce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promote th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4,000원
        370.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vergence of the QEEG and mood state changes in healthy females from late teens to twenties in relation to the inhalation of peppermint oil (peppermint) in different concentrations (0.1~100%). Brain activity upon stimulation by different concentrations was analyzed based on the RPVs and CVB (%), representing a rate of change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QEEG. Peppermint showed the effect of relaxation at low concentrations (0.1 and 1%) with increased θ and α waves and decreased β and γ waves. As the concentration of peppermint increases, the α wave decreases, and the θ, β and w waves increase, and there is an arousal effect. Peppermint was rated as having a refreshing, exhilarating, and intense smell. At a low concentration of 0.1%, peppermint chiefly produced a feeling of pleasantness, freshness and refreshment. However, the increase in peppermint concentration resulted in a masculine, exiting, and hard emotional response. As the concentration of peppermint increased, the odor intensity increased in a linearly. The amount of change (ΔSEF50 and ΔSEF90) in edge frequencies closely related to the activation and stress of the brai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dor intensity has a stronger association with ΔSEF90, a stress-related brain wave indicator than with ΔSEF50, a brain activation-related indicator. In addition, both ΔSEF50 and ΔSEF90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IGF (feelrefreshing average preference index)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PIAC (Active-Calm average preference) and APIAll (total average preference index).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1)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and stress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QEEG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brain wave study.
        4,000원
        37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체활동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함에 있어 공원환경인식이 공원 이용횟수 및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공원 이용자의 연령을 청년이용자, 중년이용자, 노년이용자로 구분하여 연령대별 이용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함지공원, 화랑공원, 지산공원, 용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6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원환경인식 평가에서는 산책로의 경사가 가장 높게 평가된 반면, 주차장과 수공 간에 관한 항목들은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22개의 공원환경인식 항목을 요인으로 유형화 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동 적합성, 경관 쾌적성, 이용 안락성, 활동 다양성, 활동 편의성, 시설 편의성 등 6개의 환경인식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연령대별 공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식 요인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년이용자는 이용 안락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으며, 중년이용자는 이동 적합성, 활동 편의성, 이용 안락성, 경관 쾌적성이 노년이용자는 이동 적합성, 활동 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연령대별 이용특성을 고려한 활동친화적 공원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7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계종버섯은 중국에서 맛과 향에서 최고의 버섯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본초강목에 그 효능이 기록되어 전해지고 있으나 효능과 물질연구 및 인공재배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물질의 확보와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제조 하고, 활성이 높은 분획물을 얻고자 하였다. CH2Cl2와 MeOH 혼합용매로 추출한 다음 비극성용매와 극성용매로서 용해성에 따라 분획하고, 열수 추출로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분획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조사에서 는 열수 추출물(TA4)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IC50값이 1.5 mg/mL로 나타났고, MeOH 분획물(TA2)에서는 IC50값이 1.93 mg/mL로 높게 나타났다. NO생성 억제율로 조사한 항염증 활성은 EtOAc 분획물(TA1)은 조추출물이지만 100 μg/mL 처리농도에서는 79% NO생성이 억제되고, 200 μg/mL 농도에서는 NO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TA1 물질을 2차례 TLC로 분리한 TA1-5-6물 질은 15 μg/mL 처리농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NO생성이 86% 억제되었고, 30 μg/mL 농도에서는 NO 생성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50 μg/mL 농도에서도 전혀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MeOH 분획물 (TA2) 유래의 TA2-1-5물질은 30 μg/mL 처리농도에서 75% 이상 NO생성이 억제되었으며, 세포 독성은 50 μg/mL에서도 아주 낮게 나타났다. 선택적 용매의 선별과 추출 방법의 개발을 통하여 세포 독성이 없고, 생리활성이 뛰어난 계종버섯 분획물 확보가 가능하였고, 기능성식품 및 건강 기능성소재로서의 충분한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7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루궁뎅이균사로 발효한 율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NO 생성저해, tyrosinase 합성 억제, melanin 생성 저해 및 유용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ergosterol 함량은 740.2 mg%으로 나타났으며, 원료로 사용한 율무 열수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β-glucan 함 량은 245.3 ± 5.1 mg%으로 나타났다. 노루궁뎅이균사발 효율무 열수추출물은 100%, 104.1%, 107.2%, 105.3%, 102.1%, 101.3%, 100.4%의 세포생존율이 측정되어,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 500 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 은 8.9 μM의 NO 생성율을 보여, 율무 추출물(10.6 uM) 의 NO생성율 보다 낮은 NO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10, 30, 50, 100, 200, 300 및 500 mg/mL 모든 농도에서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이 유의적으로 tyrosinase 및 melanin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에 따른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결과 노루궁뎅이 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이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은 기능성식품 원료와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7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붉나무 열매 Ethanol extract(ET)과 Ethyl acetate fraction(EA) 및 Butanol fraction(BT)을 천연보존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E. coli), Pseudomonas aeruginosa(P. aeruginosa), Candida Albicans(Candida. A)에 대하여 Paper disc법으로 생육 저해환과 최소저해농도(MIC)를 평가하였다.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ET, EA, BT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균주에서 생육저해환이 관찰되었고 BT에서는 Candida. A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환이 추가로 관찰 되었다. MIC 측정결과 EA 시료가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대하여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붉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양한 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에서 천연보존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4,000원
        375.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자카니(Quercus infectoria Olivier)의 항염증과 같은 생리활성에 대해 실험하였다. 만자카니는 열수(MDE)와 80% 에탄올(MEE)로 추출하였으며,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항 염증 활성을 위하여 nitric oxide (NO), prostaglandon E2 (PGE2) 및 leukotrien B4 (LTB4)의 생성을 측정 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및 tumor necrosis factor (TNF-α)) 생성 및 전사인자의 발현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 농도범위인 1, 5, 10 ㎍/㎖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각 시료의 10 ㎍/㎖ 농도에서 NO의 경우 MDE 37.2%, MEE 43.7%, PGE2의 경우 MDE 30.9%, MEE 43.7%, LTB4의 경우 MDE 37.1%, MEE 43.7%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경우 각 시료의 10 ㎍/㎖ 농도에서 IL-1β는 MDE 38.8%로 MEE 50.8%, IL-6는 MDE 35.0%, MEE 44.2%, TNF-α는 MDE31.9%, MEE 36.6% 감소되었다. 또한 전사인자의 경우 NF-κB는 MDE 44.0%, MEE 16.0%, iNOS는 MDE 44.0%, MEE 55.0%, COX-2는 MDE 45.0%, MEE 40.0% 감소되었다. 추출물 모두 항염증 활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MEE가 염증성 인자의 감소 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과적으로 만자카니의 여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항염증 효능이 확인 되었으며 상대적으로 MEE의 효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으로 유의한 효능을 나타냈으므로 향후 염증으로 인한 피부 손상 나아가 염증관련 질환을 개선하는 제품의 유용한 소재로써 응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7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only limited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adult women. Based on data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2016), a total of 5,332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With increasing fruits and vegetables consumpt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for trend=0.0248). The prevalence of stress perception (p for trend=0.0422)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p for trend=0.0300)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fruit consumpt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p for trend=0.0370) and fruit consumption (p for trend=0.0356) were increased for those Korean women with low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or the obesity group (Body mass index 25 kg/m2),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p for trend=0.0111) and increasing fruit consumption (p for trend=0.0165). In conclusio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adult women.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ult women.
        4,000원
        377.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hromaticity of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powders were evaluated,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thanolic extracts were analyzed by DPPH, ABTS, FRAP, reducing power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a result, Cucurbita moschata was revealed to have high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hil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s were relatively low.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had lower L, a, and b values than the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s,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Also,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was revealed to have a higher polyphenol content, but slightly lower flavonoid content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Based on the data from this study, further experiments on Cucurbita moschata material are necessary.
        4,000원
        37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 of extracts extract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t 30, 55 and 80℃ after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For the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mushroom, β-gluca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ABTS+․Nitrite assay were measured. Also,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freeze drying rather than hot air dry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However, the total pheno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hot air drying rather than freeze dry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both mushrooms,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0.719~0.753 (p<0.01). As a result,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during freeze drying and extraction at 80℃. An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during hot air drying and extraction at 30℃.
        4,000원
        37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외 수중레저활동 관련 법률을 분석하여 국내 수중레저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수중 레저활동자는 ‘수중레저사업자로부터 계약을 통해 수중레저활동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수중레저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둘째, 수중레저활동구역을 설치하는 주체는 ‘수중레저사업자 및 수중레저활동자 등’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레저 테크니컬 다이빙은 나이트록스 또는 혼합 가스 등을 사용하므로 가스 종류가 명확히 기재된 스티커 또는 밴드를 부착하도록 규제가 추가되어야 한다. 넷째, 다이빙 필수 장비에 수면표시부표(SMB)를 추가하고 공기통에 대한 일상 관리 및 정비방법에 대한 규제조항이 추가되어야 한다. 다섯째, 수중레저활동자의 다이빙 보험가입을 적극 권유하도록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수중레저활동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중레저사업자의 응급절차와 다이빙 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4,000원
        38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yogurts added to barley (1, 2, and 3%) and tagatose or sucrose. After inoculation of S. thermophilus, pH, titratable acidity (TA), viscosity, and viable cell count were measured at 4 h intervals for 16 h and color valu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determined after fermentation in triplicate. In the case of yogurt containing only tagatose or sucrose, the pH was hardly decreased, but when 2-3% barley was added, the pH reached below 4.5 before 16 h. In addition, TA and viscosity tended to increase as barely was added. Viable cell count increased slowly in yogurt with tagatose, but rapidly increased when barley was added. As barley content increased, yellowness, redness, and antioxidant activity tended to increase, an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barley tagatose yogurt. Sour strength increase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weetness was not observed when barley amount increase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bility, tagatose yogurt containing 3% barley scored the highest in preference. In conclusion, the fermentation rate of yogurt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tagatose i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barley, and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is considered to play a rol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