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1

        36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of dispersal ecology is a critical component to build robust and practical simulation model for insect popula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multifaceted approaches to examine dispersal capacity, behavior and ecology of brown marmorated stink bug (BMSB),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We first evaluated the baseline flight capacity of adults using flight mill systems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is species has strong flight capacity: adults were found yielding flight distances of >2 km in 24 hours with a small portion of the BMSB population capable of flight into double digits. In the field, we made direct observations on BMSB flight to examine free flight capacity and diurnal patterns. BMSB made flight when ambient temperature was >15 oC and flew with the speed of 3 m/s under field conditions, yielding its prevailing flight directions away from the sun’s position over a day. Dispersal capacity and behavior of nymphal stages (2nd through 5th) were also studied. In the laboratory, video image analysis indicates that all nymphal stages have strong walking capacity comparable to adults. In the field, the walking distance of 3rd and 5th instar nymphs on mowed grass was quantified based on direct observation of individuals. Under these conditions, 5th instars moved nearly two-fold greater distances compared with 3rd instars, but surface temperature affected both nymphal stages similarly. Shorter bouts of movement were common at surface temperatures below 25 oC, whereas individuals showed longer walking distances above 25 oC. These baseline knowledge on BMSB dispersal will be key to building and improving simulation model in order to predict spatiotemporal dynamics of the pest populations.
        36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o solve problems in current compaction control DCPT(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 highly correlated with various testing methods, simple, and economic is being applied. However, it、s hard to utilize DCPT results due to the few numerical analyses for DCPT have been performed and the lack of data accumul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lidation of numerical modeling for DCP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with field tests. METHODS: The ground elastic modulus and PR(Penetration Rate) value were estimated by using PFC(Particle Flow Code) 3D program based on the discrete element method. Those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 of field tests. Also, bac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ground elastic modulus of field tests. RESULTS : Relative errors of PR value between the numerical analyses and field tests were calculated to be comparatively low.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elastic modulus and PR value turned out to be similar. CONCLUSIONS : Numerical modeling of DCPT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describing field tests by carrying out numerical analysis using PFC 3D program.
        4,000원
        36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rmodynamic state variables in superheated region of steam table are not wholy obtained by measurements. This means that steam table contains a little error. In this study small error was artificially added to superheated variables and modeled using neural network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using quadratic spline interpolation method. By and large the relative errors of variables by neural networks were sufficiently small and similar to or less than those by quadratic spline interpolation method. It was concluded that neural networks could be one good way of modeling for superheated steam table.
        4,000원
        36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 means of the model competi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factor of patient management, the factor of policy support, and the factor of medical treatment system. Concretely, the factor of policy support forms a positive effects on the factor of medical treatment system. Practically, well-established healthcare policy provide and facilitate the effective medical treatment system. of the hospital. And, in the effective medical treatment system, hospitals try to develop the patient management of the chronic disease. From the empirical research,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factor of medical treatment system. mediated by the factor of policy support. Also, the factor of medical treatment system promotes the development of patient management in the chronic disease.
        4,000원
        36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인 앨범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훈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적장애로 진단받은 10세 여아 1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2회기로 기초선 과정(A1) 3회기,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과정(B) 6회기, 재 기초선 과정(A2) 3회기로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자신이 과제를 수행하는 사진으로 제작한 앨범을 이용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 없이 학용품 구매 과제 완수율만 측정하였고, 중재 과정 6회기는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후, 과제 완수율과 도움의 양을 측정하였다. 재 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과제 완수율만을 측정하였다. ◉ 결과 : 학용품 구매 활동에 대한 과제 완수율은 기초선 과정에 비해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중재 기간 동안 50%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도움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재 기초선 과정을 통해 중재 종료 후에도 그 효과가 90%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결론 :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학용품 구매 활동 수준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모델형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중재는 지적장애 아동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향상시 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6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is a correlational study to look for causes and factors relating to the design of written documents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and identify those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ommunication designers.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reader’s past experiences and appearance of the written documents. A preliminary survey, such as interviews, discussions, questionnaires and brainstorming sessions a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observable attributes related to perception which are reader’s interest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written documents complexity. Finally, the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nalyze strong and weak correlations between these attribute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ttribute appearances of a written documents with excellent visualizations for information display shows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ests while the attributes importance is weakly correlated with the complexity of the documents.
        4,300원
        36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상류 댐 및 유입 지류의 물리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암호 수체의 혼합 거동을 해석하고 수질 분포에 미치는 인자로 수체간 혼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시변화 모델, GEMSS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GLLVHT 모델은 상이한 강우 및 유량 조건에서 의암호 내 열수지 및 수체 혼합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모델 보정 결과를 바탕으로 의암호의 수온, 전기전도도 그리고 체류시간의 시∙공간적 분포와 유입지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암호는 상이한 목적을 가진 소양강댐과 춘천댐의 방류량과 유입 지류의 큰 변동폭에 수리 및 수질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의암호는 봄과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은 춘천댐의 방류량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아, 전체적으로 높은 수온 분포를 나타낸다. 반면 가을과 겨울철에는 소양강댐의 방류 유량이 많고 수온이 높고, 춘천댐의 유량이 매우 적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소양강댐 방류수의 수온이 의암호의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기전도도는 춘천하수처리장과 공지천의 높은 유입으로 하류 의암댐 부근까지 높은 전기전도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의암호의 체류시간은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유입되는 상류 수역은 체류시간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며 의암댐 부근의 하류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도 부근의 낮은 수심으로 인해 소양강댐 방류량이 많은 시기에는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체류시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하중도의 우안에서 공지천과 춘천하수처리장이 유입되는 수역, 중도의 우안에서는 연중 20일 이상의 체류시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체수역에서는 지류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유속이 낮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대성장 우려가 있어 수질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 집중 강우시에는 유입 및 유출의 급격한 증가로 체류시간은 크게 감소하며,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는 약 10일 이하의 짧은 체류시간으로 의암호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의암호 내 표층에서는 소양강댐의 방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도의 우안의 상류부까지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중도의 좌안과 붕어섬 상류부에서 소양강댐 방류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춘천댐의 방류량이 큰 경우에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우안을 따라서 그대로 방류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붕어섬 상류부를 통하여 춘천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 및 소양강댐 방류 합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지천의 방류수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많은 시기에 동시에 증가하여 공지천과 의암호 합류부의 상류로 역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4,200원
        36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 사쿠라지마 화산 폭발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화산분화가 잦아짐에 따라 백두산 화산분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화산분화 시 상황에 따라 화산재, 화쇄류 및 화산이류와 같은 화산재해가 발생하며, 이 중 화산재는 기상상황에 따라 한반도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기상 및 지구과학적 측면에서 화산재 확산자체에 대한 모델 적용 또는 경제적 측면에서 재해에 따른 경제적 취약성 계산과 같은 어느 하나의 학문분야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모델링의 결과 값을 공간적으로 표출하는 과정과 이를 근거로 하여 피해 산정 모델링 식에 적용을 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경제적 피해산정이 모델링 결과에 이어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및 프로그램 구현을 진행하였다. 즉, 피해지도는 모델링의 결과와 경제적 피해산정의 결과가 모두 지역단위로 표출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으로, 보통 피해액 산정에 있어 전체 값만을 도출하는 기존 연구와 차이를 보여준다. 실제 이러한 모듈은 화산분화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시스템 적용으로 연결될 것이며, 피해지도(damage map)의 표출 관련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단위의 상세한 공간정보 설계와 지도학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은 화산학, 기상학, 토목공학 및 경제학의 영역의 일부를 모두 포함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질문 “백두산의 화산분화가 우리의 삶과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에 답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그 답은 본 연구의 결과에 분화 당시의 파라미터 값에 따라 동적으로 다양한 결과를 얻게 된다고 할 수 있다.
        4,600원
        369.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ly, smart phones have been rapidly distributed, which has led to changes in people's life cycle. Most people who are under 60 are supposed to use smart phones. Additionally, as the ratio of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physical exercise is increasing, some applications for smart phones can manage dividual's exercise with the web servers. However, most of them can only check how much individual works out and cannot compare other's body type and life environment. Moreover, users cannot share their own data with others. This paper proposed the system which can resolve those kinds of problems through data mining techniques. The suggested model will have ability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body type and the amount of exercise, find out if his work is proper from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can pick out the features which is common to people who have similar body type and the amount of workout by applying data mining techiques. This model also will be able to recommend the proper amount of workout to each individual in order that they keep good health state efficiently.
        4,000원
        37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산은 정상부에 천지가 존재하는 잠재적인 활화산으로 최근 화산활동 분화와 관련된 화산이류 발생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정상부의 칼데라 호수 지점의 분화를 가정한 화산이류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LAHARZ를 적용한 본 연구는 다른 해상도의 수치지형모형을 구동모형의 매개변수를 변화시키며 분화로 야기된 다양한 상황의 화산이류 발생 영향을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민감도 해석은 움푹 패인 곳(sink)을 정의하는 한계치와 수치지형모형의 해상도가 화산이류의 모델링 결과에 주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하천격자의 도출을 위한 한계치와 수치모형의 해상도는 하천격자의 공간적 분포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LAHARZ가 가지고 있는 문제가 흐름 발생 알고리즘 자체의 한계에 기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이한 수치지형 모형의 해상도가 화산이류의 최종 모델링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4,000원
        37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ISO/IEC 19774 H-Anim (Humanoid Animation) defin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modeling data of a human for the generation of human animation. A common character data format is necessary in order to share and exchange characters between different applications, including gaming applications. H-Anim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and is progressing towards further standardization of new functionalities. This paper describes the modeling and animation method of a game character based on H-Anim using a general graphics tool. It also describes an algorithm to convert from H-Anim WRL, the output file generated by the general graphics tool, to H-Anim X3D based on the H-Anim specification. In addition, an experiment is described that shows compatibility of the designed H-Anim character with a general X3D browser. General behavior animations applied directly to the H-Anim character are also included.
        4,200원
        37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형페기물 매립지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기후변화에 대응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국내에서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은 주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매립지 표면에서 직접적으로 flux chamber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측정하거나, 또는 FOD(First Order Decay)방법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FOD방법은 매립특성을 반영한 매립가스발생속도상수(k)를 정확히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고, 또한 표면 발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매립지 표면에서 배출량이 다양하고 측정이 한정된 기간에만 국한된다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plume measurement의 한 방법으로 대기확산모델을 활용한 역모델링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역모델링에 의해서 매립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직접 계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정리하고, 실제 대전매립지에서 측정한 메탄농도를 이용하여 역모델링기법을 적용한 매립지 메탄 배출량 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역모델링 과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임의의 배출량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모델 예측농도와 확산변수 를 계산하였으며, 역으로 예측농도와 확산변수 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재산정 하였다. 재산정한 배출량이 임의의 배출량과 동일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모델링 절차가 적절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역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대전매립지를 대상으로 메탄 배출량 산정하였다. 대전매립지를 대상으로 메탄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29.65~36.68 g/㎡-day로 산정되었으며, 주요 메탄 배출지점은 매립지 내의 유사한 지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본 연구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면, 메탄농도의 측정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불균일한 매립지 표면의 배출량을 비교적 간편하게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제한된 실험에 의한 결과이므로 향후 실제 매립지 배출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또는 추적자 실험을 통해서 그 방법론을 추가로 검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37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arth’s average temperature has risen by 0.78°C over the past century, and is projected to rise another 1.1 to 6.4°C over the next hundred years based on recent announce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Small changes in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planet can translate to large and potentially dangerous shifts in biospher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local distribution of well-known species should be changed in near future. Models, if applied appropriately, give useful and rapid predictions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species. CLIMEX is one of modeling systems that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climatic factors that limi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 species in different parts. Climatic parameters and the climate matching function of CLIMEX enable the risks of an exotic species as well as well-known species to be assessed by directly comparing the climatic condition of a given location with any number of other locations without knowing the full distribution of a species. However, CLIMEX supports only three locations in Korea (Seoul, Pusan and Kangnung province). We generated detail weather database of Korea for CLIMEX, and simulated using the data of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Burgess), a key pest and well-known species in Korea for application of future risk assessment under possible climate change condition in Korea.
        37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ly and chemically activated carbons (ACs) exhibited high adsorption capacities for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compared with other adsorbents due to their expanded sur-face areas and wide pore volume distribution. In this work, seven steam-ACs with different burn-off have been prepared from cotton stalks. The textural properties of these sorbents were determined using nitrogen adsorption at -196°C .The chemistry of the surface of the present sorbents wa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urface functional C-O groups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urface pH, pHpzc, and Boehm’s acid-base neutral-ization method. The textural properties and the morphology of the sorbent surface depend on the percentage of burn-off. The surface acidity and surface basicity are related to the burn-off percentage. A theoretical model was developed to finda mathematical expression that relates the % burn-off to ash content, surface area, and mean pore radius. Also, the chemistry of the carbon surface is related to the % burn-off. A mathematical expression was proposed where % burn-off was taken as an independent factor and the other variable as a dependent factor. This expression allows the choice of the value of % burn-off with required steam-AC properties.
        4,000원
        378.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천연염색에서 각 염료의 혼합 염색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바람으로써 다양한 천연 염료를 사용한 혼한 염색의 결과에 대한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 염색을 위한 염료로는 쪽과 홍화를 사용하였으며 염색을 위한 직물로는 모시를 이용하였다. 쪽 및 홍화의 반복 염색을 통해 염색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모델링하고 이로부터 혼합 염색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즉, 단일 염료에 대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각 염료별로, 염색횟수에 따른 감쇄 계수를 계산하여 분광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염료별로 계산한 감쇄 계수의 1차 선형 조합으로 복합 염색된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쪽과 홍화로 혼합 염색한 실제 시료와 제안한 방법으로 예측한 시료의 영상에 대하여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평균 색차 8 미만의 수준에서 복합 염색의 발색을 예측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379.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cium is an essential nutrient generally obtained from dietary foods. However, its metabolism is a complex biological network requiring an effective analytical tool. In this review, a few notable calcium mechanistic models are assessed, emphasizing the power of mechanistic modeling in analyzing biological systems because no publication has reviewed them in a single place. Reviewed models are categorized by target systems: calcium absorption, calcium excretion, bone turnover, and whole calcium homeostasis. In the calcium absorption model, two transport systems carrying calcium from intestine to blood have been mechanistically described. Since urine calcium excretion is poorly understood, its model has not been explicitly developed although it is modeled as a part of the whole calcium metabolic system. Cell-based bone turnover model has been conceived to describe the mechanism under bone cell regulation. Finally, whole calcium metabolism has been a target to explain the metabolic control of calcium homeostasis that is linked to the endocrine system. Reviewed models focus on explaining how the calcium metabolic system behaves in response to conditional perturbations by involving effective factors such as endocrine system. We expect that not only will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in calcium metabolism, but also that it will suggest what the concepts of biosystem modeling are and how they can be used for assessing the target system.
        4,000원